KR890008840Y1 - 냉장고의 정전경보회로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정전경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840Y1
KR890008840Y1 KR2019860009730U KR860009730U KR890008840Y1 KR 890008840 Y1 KR890008840 Y1 KR 890008840Y1 KR 2019860009730 U KR2019860009730 U KR 2019860009730U KR 860009730 U KR860009730 U KR 860009730U KR 890008840 Y1 KR890008840 Y1 KR 890008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or
resistor
power failure
circu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125U (ko
Inventor
오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9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840Y1/ko
Publication of KR880003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의 정전경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6: 저항 C1-C2: 콘덴서
2.4 : 비교기 3 : 부져
Q1: 트랜지스터 RY : 릴레이
본 고안은 냉장고 가동중에 정전이 되면 이를 비교기로 검출한 신호로 경보회로를 동작시켜 타이머 설정시간 동안만 부져가 경보음을 발하도록 하므로서 정전이 됐음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켜 줄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정전 경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정전시에 이를 감지하는 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였기 때문에 정전에 대한 주의력이 흐린 주간에 정전이 되면 사용자가 이를 모르고 그냥 방치해 두는 경우가 빈전하여 냉장고내에 저장한 음식물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게되므로 음식물의 신선도가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음식물이 부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냉장고의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도록 냉장고가동중의 정전을 감지하여 경보해 주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정전이 되었음을 쉽게 인식시켜 냉장고에 저장한 음식물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수 있게하여 항상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한 냉장고의 정전 경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회로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회로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트랜스(T1)와 브릿지 다이오드(D0). 콘덴서(C1) 및 정전압 회로로 구성된 전원회로의 직류 출력단에 다이오드(D2)의 애노드를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2)를 통해 릴레이(RY)와 병렬로 일단이 접지된 저항(R1)타단과 비교기(2)의 반전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비교기(2)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비교 기준전압 설정용 제너다이오드(D3)를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저항(R3)을 통해 다이오드(D2)의 캐소드와 릴레이 접점(a,b)을 통해 건전지(E)에 연결하여 정전여부를 감지토록 하되, 비교기(2) 출력단은 에미터는 접지되고 콜렉터는 부져(3)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1)을 통해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6,R7,R8)과 콘덴서(C2) 및 비교기(4)로된 타이머회로의 비교기(4) 출력단에 연결하여서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D1은 중전용 다이오드, R5는 저항, ACV는 상용교류 전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상시에 상용교류전원(ACV)이 냉장고에 공급되고 있을때는 전원트랜스(T1)의 2차측에 유기된 전압이 브릿지 다이오드(D0)로 정류되고 콘덴서(C1)로 평활되어 정전압회로(1)에 의해 소정전원이 회로에 공급된다.
이때 저항(R2,R1)으로 분압된 전압(V1)이 비교기(2)의 반전입력단자(-)에 가해지고 저항(R3)과 비교기준 전압설정용 제너다이오드(D3)로 분압된 전압이 비교기(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기준전압으로 가해지며 이와같이 정전이 안된 정상상태에서는 비반전 입력단자(+)의 전압이 반전입력단자(-)의 전압보다 낮도록 회로 정수값을 미리 설정해 놓으면 비교기(2)의 출력은 로우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어 부져(3)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경보음은 울리지 않게된다.
또한 이때에는 릴레이(RY)에도 전원이 릴레이(RY)가 구동되므로 평상시 폐쇄접점인 그의 접점(a,b)은 모두 오프되어 저항(R6,R7,R8)과 콘덴서(C2) 및 비교기(4)로된 타이머 회로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원(ACV)이 차단(즉, 정전)되면 브릿지다이오드(D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이 차단되므로 릴레이(RY)가 오프되어 그 접점(a,b)은 모두 온되어 건전지(E)로부터 접점(a,b)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비교기(2)는 반전입력단자(-)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위가 높아지므로 그 출력은 하이가 된다.
또한 건전지(E)로부터 접점(b)을 통해 저항(R6,R7)과 저항(R8)및 콘덴서(C2)에도 전원이 가해지게 되는데 저항(R8)을 통해 콘덴서(C2)에 충전되는 전압 즉, 비교기(4)의 반전입력단자(-)의 전위는 콘덴서(C2)와 저항(R8)으로 정해지는 시정수에 의해 서서히 증가되기 때문에 최초하는 저항(R6,R7)으로 분압되는 비교기(4)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위가 더 높게되어 비교기(4)의 출력도 하이가 된다.
즉, 비교기(2,4)의 출력이 모두 하이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 부져(3)가 울리게되므로써 사용자에게 정전이 되었음을 경보해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콘덴서(C2)의 충전에 의해 소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는 비교기(4)의 반전입력단자(-)의 전위가 비반전압력단자(+)의 전위보다 높아지게 되어 그 출력이 로우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부져(3)는 더이상 울리지 않게되어 불필요한 건전지(E)의 소모를 방지한다.
즉, 저항(R8)과 콘덴서(C2)값에 따라 충전시정수를 적절히 설정하면 부져(3)가 울리고있는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정전이 되었다가 다시 전원(ACV)이 들어오면 릴레이(RY)가 온되어 그 접점(a,b)은 모두 오프되고, 상기한 바와같이 비교기(2)의 반전입력단자(-)에 비반전입력단자(+)보다 높은 전압이 걸리게되어 그 출력은 다시 로우가 되므로서 회로는 원상복귀 상태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은 저항(R8,R6,R7)을 통해 방전되어 다음의 타이머 작용을 할수 있도록 대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냉장고의 가동중에 정전이 된 것을 경보해 주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하여 음식물의 부패나 신선도 저하를 방지할수 가 있음은 물론 필요한 설정시간동안만 부져가 구동되도록하여 불필요한 건전지의 소모도 방지할수가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원트랜스(T1)와 브릿지 다이오드(D0). 콘덴서(C1) 및 정전압회로(1)로 구성된 통상의 전원회로의 직류출력단에 다이오드(D2)의 애노드를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2)을 통해 릴레이(RY)와 병렬로 일단이 접지된 저항(R1) 타단과 비교기(2)의 반전입력단자(-)에 연결하고, 비교기(2)의 비반전입력단자(+)는 비교기준 전압 설정용 제너다이오드(D3)를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저항(R3)을 통해 다이오드(D2)의 캐소드와 릴레이 접점(a,b)을 통해 건전지(E)에 연결하여 정전여부를 감지토록하되, 비교기(2) 출력단은 에미터는 접지되고 콜렉터에는 부져(3)가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4)을 통해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6,R7,R8)과 콘덴서(C2)및 비교기(4)로된 타이머 회로의 비교기(4) 출력단에 연결하여서된 냉장고의 정전 경보회로.
KR2019860009730U 1986-07-07 1986-07-07 냉장고의 정전경보회로 KR890008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730U KR890008840Y1 (ko) 1986-07-07 1986-07-07 냉장고의 정전경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730U KR890008840Y1 (ko) 1986-07-07 1986-07-07 냉장고의 정전경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125U KR880003125U (ko) 1988-04-11
KR890008840Y1 true KR890008840Y1 (ko) 1989-12-05

Family

ID=1925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730U KR890008840Y1 (ko) 1986-07-07 1986-07-07 냉장고의 정전경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8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125U (ko) 198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4436A (en) Smoke detector including an indicator for indicating a missing primary power source which is powered by a substantially nonremovable secondary power source
US38997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attery energy level
US4618857A (en) Low D.C. and loss of A.C. sensor and alarm with service inhibitor
JPH0572636B2 (ko)
US4019112A (en) Battery checker circuit
US4223305A (en) Single station type ionization smoke sensor
KR890008840Y1 (ko) 냉장고의 정전경보회로
US5698971A (en) Device for detecting the end of battery life, power supply circuit having the device, and a portable machine having the power supply circuit
US3680068A (en) Alarm circuit
JPH0954885A (ja) 火災警報器
JPH0322831A (ja) 電源回路
JPH0613353U (ja) 無停電電源装置
JPH011971A (ja) 電池容量警報装置
JPS62229394A (ja) 異常警報装置
JPH0937484A (ja) バッテリ寿命の検知方法及び検知装置
JPS6412056B2 (ko)
JPS5799822A (en) Reset circuit
JPS5824754Y2 (ja) 液面検出装置
JPH0724918Y2 (ja) 電池用定電圧電源装置
JP3113380B2 (ja) 警報装置
CA1067215A (en) Smoke sensing fire alarm
JPS5843408Y2 (ja) 記憶装置の保護装置
JPH0526539Y2 (ko)
JPS5821021Y2 (ja) 蓄積型感知器
JPS62267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