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577A - 광섬유 부재를 취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부재를 취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577A
KR890008577A KR1019880015564A KR880015564A KR890008577A KR 890008577 A KR890008577 A KR 890008577A KR 1019880015564 A KR1019880015564 A KR 1019880015564A KR 880015564 A KR880015564 A KR 880015564A KR 890008577 A KR890008577 A KR 890008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uri
fluid
passage
inlet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다베이 로드니
로버트 핸들리 그래함
존 워어드-스미드 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비아이씨씨 피엘씨.
코닝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비아이씨씨 피엘씨., 코닝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89000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5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Ropes Or Cable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Paper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섬유 부재를 취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첫번째 실시예의 간략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간략 평면도.

Claims (28)

  1.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부재를 관형 통로 내로 유입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상기 통로와 하류쪽에서 연통된 벤튜리내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광섬유 부재를 벤튜리내로 유입시켜 상기 통로 내로 유입 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체가 기체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유체가 공기인 방법.
  4. 상기 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섬유가 대기압보다 압력이 높은 구역으로부터 벤튜리내로 유입되는 방법.
  5. 상기 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중 일부가 통로로 들어가서 광섬유 부재를 운반시키도록 상기 통로를 따라 통과하고, 또한 나머지 유체는 통기되어 통로로 들어가지 않는 방법.
  6.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관형 통로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시에, 상기 통로와 하류쪽에서 연통된 벤튜리를 형성하는 장치, 유체의 흐름을 벤튜리내로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 및 광섬유 부재를 벤튜리 내로 유입시켜 통로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장치가 유입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관의 상류 단부는 광섬유 부재의 공급과 연통되며 상기 유입관의 하류단부는 벤튜리를 형성하는 장치내에 위치되어 환형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벤튜리를 형성하는 장치로부터 격설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위치를 벤튜리에 대해 종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어서,벤튜리내에서의 관의 하류 단부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간극의 횡단면이 벤튜리의 길이를 따라 변화하는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튜리 내로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정류시키는 장치로 구성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정류장치가 벤튜리의 상류에 배설된 유체 투과성 부재로 구성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정류 장치가 벤튜리의 상류에 배설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연장 배플로 구성된 장치.
  13. 제7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튜리 형성 장치가 유체 유동 방향으로 볼때 내부횡단면이 증가하는 제1부분 및 제1부분의 하류에 있으며 내부횡단면이 대체로 일정한 제2부분으로 구성된 연신관으로 구성되고, 유입관의 하류 단부가 상기 제1부분내에, 또는 근처에, 위치되어 있는 장치.
  14. 제7항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튜리 형성 장치가 유체 유동 방향으로 볼때 내부 횡단면이 서서히 증가하는 부분으로 구성된 연신관으로 구성된 장치.
  15. 제7항 내지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벤튜리가 연신관, 및 유입관의 테이퍼진 선단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진 선단부분이 상기 연신관 내에 위치되어 있는 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벤튜리 형성 장치 및 상기 유입 장치는 광섬유 부재가 통과하는 중앙 종방향 관 및 주입관과 대체로 평행하고 벤튜리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종방향 유체 유동 통로들을 가지고 있는 일체형 부재로 공동으로 구성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 통로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된 장치.
  18. 제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동 통로들이 중앙 종방향 관 둘레에 대칭적으로 배설되어 있는 장치.
  19. 제6항 내지 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유동중 일부가 상기 관형 통로로 들어가지 않도록, 벤튜리의 하류 및 상기 관형 통로의 상류에서 상기 유체 일부를 통기시키기 위한 장치로 구성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통기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으로 구성된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통기 장치가 상기 통로의 상류 단부부분을 포위하는 환형 격실, 및 상기 환형 격실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출구로 구성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통로의 상기 상류 단부 부분을 상기 통로의 상류 단부가 상기 유입 장치의 하류 단부에 인접한 주입 위치와 상기 상류 단부가 상기 유입 장치의 하류 단부로부터 더 멀리 격실된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케 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된 장치.
  23. 제21항 또는 2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격실이 우회 유동 통로를 통해 상기 유체 출구와 연통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우회 유동 통로가 상기 환형 격실과 연통된 일련의 반경 방향 통로들, 및 반경 방향 통로들과 연통되고 또한 상기 유체 출구와 연통된 다른 격실에 의해 마련된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통기 장치는 상기 유체 일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유체 일부의 유동의 통로내에 배설된 유체 투과성 부재로 구성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유체 투과성 부재가 내부는 벤튜리의 하류 단부 및 상기 관형 통로의 상류 단부와 연통되고, 외부는 유체 출구와 연통되게 배설된 관형 부재인 장치.
  27. 제19항 내지 2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기 장치에 잡음 억압 격실이 갖추어져 있는 장치.
  28. 제6항 내지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부재가 이동하는 구역을 관통하는 종방향 연장 평면을 따라 분할되는 복수개의 분리자재 부분들로 성형된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80015564A 1987-11-25 1988-11-25 광섬유 부재를 취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8900085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8727580A GB8727580D0 (en) 1987-11-25 1987-11-25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ing optical fibre member
GB8727580 1987-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577A true KR890008577A (ko) 1989-07-12

Family

ID=1062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564A KR890008577A (ko) 1987-11-25 1988-11-25 광섬유 부재를 취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KR (1) KR890008577A (ko)
AT (1) ATE89933T1 (ko)
DE (1) DE3881352D1 (ko)
DK (1) DK656088A (ko)
FI (1) FI885481A (ko)
GB (1) GB8727580D0 (ko)
NO (1) NO885249L (ko)
PT (1) PT8907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89078A (pt) 1989-09-14
DE3881352D1 (de) 1993-07-01
GB8727580D0 (en) 1987-12-31
NO885249L (no) 1989-05-26
FI885481A0 (fi) 1988-11-25
FI885481A (fi) 1989-05-26
DK656088A (da) 1989-05-26
DK656088D0 (da) 1988-11-24
NO885249D0 (no) 1988-11-24
ATE89933T1 (de) 199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59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ing an optical fibre member
JP4979197B2 (ja) 高リカバリ音速ガス弁
ATE314580T1 (de) Düse eines durchflussreglers mit einer druckregelung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JPS61154825A (ja) フイルム吹出しヘツドから押出される筒状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用冷却装置
DE3780042D1 (de) Sauerstoff-blaslanze.
KR890008575A (ko) 광섬유 설치 방법 및 장치
KR890008577A (ko) 광섬유 부재를 취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574436A (en) Yarn texturing jet
ATE353748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härtung einer auf einer faser aufgetragenen photohärtbaren beschichtung
ATE388771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abilisierung eines mit grosser geschwindigkeit laufenden bandförmigen produktes
US3542020A (en) Fluid flow devices
FI115233B (fi) Laitteisto päänvientinauhan kuljettamiseksi paperikoneessa
US4418789A (en) Muffler for a textile interlacing jet
DE60005025D1 (de) Vorrichtung zum ansaugen eines gases und zum beimischen in eine kraftstoffströmung
RU1818569C (ru) Рабоча часть трансзвуковой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й трубы
JPS5773345A (en) Air supply port for duct capable of changing air stream
US20040240993A1 (en) Air outlet unit for a large blower assembly
SU840535A1 (ru) Струйный усилитель
TH20534B (th) วิธีการและอุปกรณ์สำหรับการขยายยาสูบ
JPH0994251A (ja) 気腹装置
JPH0549584B2 (ko)
TH35822A (th) วิธีการและอุปกรณ์สำหรับการขยายยาสู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