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399Y1 -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399Y1
KR890008399Y1 KR2019870001270U KR870001270U KR890008399Y1 KR 890008399 Y1 KR890008399 Y1 KR 890008399Y1 KR 2019870001270 U KR2019870001270 U KR 2019870001270U KR 870001270 U KR870001270 U KR 870001270U KR 890008399 Y1 KR890008399 Y1 KR 890008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lower body
protrusions
upper body
sti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957U (ko
Inventor
박정자
배남선
Original Assignee
박정자
배남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자, 배남선 filed Critical 박정자
Priority to KR2019870001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399Y1/ko
Publication of KR880015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9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3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쇄개 1a : 상체
1b : 하체 3,3' : 상, 하부 패킹
4 : 지지테 5 : 나압구
6,6' : 돌기삽입구 7,7' : 경사면
8 : 천공부 9 : 삽입돌환
10,10' : 돌기
본 고안은 주방용 씽크대의 배수구에 부착하여 각종 오물을 분쇄시켜 배출케 하는 씽크대 배수구용 분쇄기의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우터가 내설되는 하체와 씽크대에 장착되는 상체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모우터가 내설된 하부를 필요시에만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평소에는 씽크대의 하중을 줄이고, 씽크대에 장착되는 상부는 상, 하부 패킹 및 나사식으로 나압하게 되는 나압구로 씽크대에 견고히 장착될 수 있도록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오물 분쇄기를 장착함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통체로 구성된 분쇄기를 씽크대의 배수구에 항상 장착케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시 분쇄기의 하중에 의하여 씽크대가 원형을 잃게 되어 외관을 손상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싱크대의 배수구에는 틈이 발생되어 누수를 초래하였던 것이며,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기와 부엌바닥 사이에 별도의 지지체를 부설하여된 것이 있으나 이는 행동에 제약을 받는 결점이 있었고 최근에는 상, 하부 분리식 분쇄기도 나온게 있으나 통상적인 보울트 너트의 결합방식으로 구성되어 분리,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여 실용적이 못되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 분쇄기를 씽크대에 부착함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분쇄기 상단에 나선이 형성되어 씽크대의 배수공에 단순히 나삽하는 정도로서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분의 마모로 인한 견고성이 결여되므로 누수를 초래함은 물론 각종 음식물의 찌꺼기가 끼이게 되어 위생상 불결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날판(11)및 모우터(12)가 내설된 분쇄기(1)를 상체(1a)와 하체(1b)로 분리, 결합할 수 있게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체(1a)의 외주연부에 나선(2)을 형성한 다음, 상부패킹(3)및 하부패킹(3'), 지지테(4), 나압구(5)를 순차 환설하고 그 저부에는 일측에 경사면(7)(7')을 갖는 돌기 삽입구(6)(6')및 이와 일치하는 천공부(8)를 상호 대향되게 일체로 구성하며, 하체(1b)상부의 삽입돌환(9)에는 역시 대향하는 돌기(10)(10')를 일체로 형성하여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13)은 씽크대, (14)는 배수공, (15)는 오수 배출구, (16)는 정수 유입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상체(1a)를 씽크대(13)의 배수공(14)으로 삽입하되 상부패킹(3)는 배수공(14)의 가장자리 상면에 접면되게 하고 하부패킹(3')및 지지테(4)는 인위적으로 오무려, 배수공(14)의 저부에 위치케한 다음 저부의 나압구(5)로 돌려주면 나압구(5)는 나선(2)에 의하여 상승되면서, 하부패킹(3')및 지지테(4)를 상측 이동시키게 되며, 나압구(5)가 완전히 상승되면 상체(1a)는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상,하 패킹(3)(3')이 씽크대(13)의 배수공(14)가장자리 상면 및 저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히 고정되고, 이어서 하체(1b)상부의 삽입돌환(9)에 형성된 돌기(10)(10')를 상체(1a)저부의 돌기 삽입구(6)(6')로 끼어주면서 삽입돌환(9)을 상체(1a)저부 내측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하체(1b)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하체(1b)의 돌기(10)(10')가 돌기 삽입구(6)(6')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경사면(7)(7')을 타고 약간 상승, 안내되면서 돌기(10)(10')는 그 지름의 폭과 일치하는 천공부(8)에 이르러 꼭 끼이게 되므로 하체(1b)는 상체(1a)와 견고히, 결합된다.
한편 모우터(12)의 작동이 필요치 않아 하체(1b)를 분리할 경우에는 하체(1b)를 다시 역방향 즉, 돌기삽입구(6)(6')쪽으로 돌려주면 하체(1b)의 돌기(10)(10')는 경사면(7)(7')을 타고 다시 내려와 이와 일체로 형성된 돌기 삽입구(6)(6')를 통하여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고 상체(1a)역시 나압구(5)으 해지에 의하여 씽크대(13)에서 분리,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상체(1a)는 상, 하 패킹(3)(3')에 의하여 배수공(14)의 가장자리를 완벽히 밀폐하여 줄 수 있고 또한 결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게가 무거운 하체(1b)는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서 씽크대에 무리가 가지않는 것이며, 그 분리, 결합방법이 하체(1b)상부의 돌기(10)(10')를 상체(1a)저부의 돌기 삽입구(6)(6')및 경사면(7)(7')에 의하여 간단히 결합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회전날판(11)및 모우터(12)가 내설된 분쇄기(1)를 상체(1a)와 하체(1b)로 분리, 결합할 수 있게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체(1a)의 외주연부에 나선(2)을 형성한 다음, 상부패킹(3)및 하부패킹(3') 지지테(4), 나압구(5)를 순차 환설하고 그 저부에는 일측에 경사면(7)(7')을 갖는 돌기 삽입구(6)(6')및 이와 일치하는 천공부(8)를 상호 대향되게 일체로 구성하며, 하체(1b)상부의 삽입돌한(9)에는 역시 대향하는 돌기(10)(10')를 일체로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KR2019870001270U 1987-02-06 1987-02-06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KR890008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270U KR890008399Y1 (ko) 1987-02-06 1987-02-06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270U KR890008399Y1 (ko) 1987-02-06 1987-02-06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957U KR880015957U (ko) 1988-10-07
KR890008399Y1 true KR890008399Y1 (ko) 1989-11-25

Family

ID=1925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270U KR890008399Y1 (ko) 1987-02-06 1987-02-06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3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957U (ko) 198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7021B2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KR890008399Y1 (ko) 씽크대 배수구용 오물 분쇄기의 부착장치
US5404596A (en) Plunger
US5388610A (en) Flush valve for urinals
KR200365001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US3449775A (en) Kitchen sink plug
KR200286128Y1 (ko) 개폐 가능한 배수구를 갖는 씽크대
KR200308700Y1 (ko) 양변기 s 트랩 소재구 설치 방법
KR200286127Y1 (ko) 개폐 가능한 배수구를 갖는 씽크대
JPS63164945U (ko)
JPH0484471U (ko)
JP2559748Y2 (ja) シンクのごみ収納排水装置
KR200286129Y1 (ko) 개폐 가능한 배수구를 갖는 씽크대
KR950005378A (ko) 화장지 분쇄기
KR20150063993A (ko) 싱크대 배수구 개폐장치
JPS5811381Y2 (ja) 厨芥処理装置
JP3261997B2 (ja) ディスポーサーの取付構造
KR970003936Y1 (ko) 소형으로 제작가능한 배수전
CN2184717Y (zh) 防臭止逆地漏
KR0116685Y1 (ko) 세면대배수구 개폐장치의 개폐구
KR890005098Y1 (ko) 가정용 기름틀
KR200176013Y1 (ko) 세면대용 배수밸브
KR800000785Y1 (ko) 수 도 꼭 지
KR200146690Y1 (ko) 직수 및 분사 겸용 수도전
US20010054196A1 (en) Lavatory st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