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927Y1 -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 Google Patents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927Y1
KR890007927Y1 KR2019870009304U KR870009304U KR890007927Y1 KR 890007927 Y1 KR890007927 Y1 KR 890007927Y1 KR 2019870009304 U KR2019870009304 U KR 2019870009304U KR 870009304 U KR870009304 U KR 870009304U KR 890007927 Y1 KR890007927 Y1 KR 890007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ead
contact member
recessed par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9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593U (ko
Inventor
정태승
양승철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주식회사
정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주식회사, 정인영 filed Critical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9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927Y1/ko
Publication of KR8900015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5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crew clamp,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조공정 종단면도로서 제2(a)도는 헤드요부에 접점재를 올려놓은 상태도, 제2(b)도는 상부금형으로 접점재를 눌러주는 상태도, 제2(c)도는 상부금형의 내주연 경사면이 볼트헤드의 외면을 구속시켜 완재품이 성형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미날 볼트 2-1 : 요부
2-1a : 요철부 3 : 접점재
3-1 : 너어링 3-2 : 헤드부
5 : 상부금형 5-1 : 경사내벽면
5-2 : 요입부 5-3 : 너어링면
본 고안은 대전류를 필요로하는 전기 기기의 입출력 단자로 사용되는 볼트를 이중화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킨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트의 헤드부 중앙에 요설된 요부의 저면을 톱니형으로 요철하여 요부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구리 접점재를 삽입시킨후 요입부에 너어링면이 형성되고 내주벽이 상협하광의 경사면을 이룬 상부금형으로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접점재의 밑면은 요부저면과 같이 요철되어지고 접점재의 상면은 너어링됨과 동시에 상부금형의 경사측면이 헤드부를 구속하여 충진된 구리접점재를 감싸는 현상이 생기므로 볼트의 헤드부와 접점재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고 국부적인 접촉으로 저항을 줄여줄 수 있게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입출력단자용 터미날 볼트는 헤드부의 요부가 평활하여 접점재와 모재와의 결합강도가 크지 않고 헤드부의 형상이 평평하여 접점시 저항을 증가시키는 현상이 발생되어 실용적이 못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모재와 접점재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고 접촉면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킨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1)의 두부(2) 중앙에 요부(2-1)를 형성하여 바닥면을 요철부(2-1a)로 하고 부식 방지와 접촉저항 감소를 위한 구리도금 및 주석도금을 한후 요부(2-1)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구리 접점재(3)를 넣은후 하부금형(4)에 착설하여 요입부(5-2) 천정에 너어링면(5-3)이 형성되고 상협하광의 경사내벽면(5-1)을 갖는 상부금형(5)을 적당압력으로 압접시켜 접점재의 밑면은 요부와 밀접되고 윗면은 너어링(3-1)됨과 함께 두부(2)와 헤드부(3-2)를 경사내벽면(5-1)이 구속하여 충진된 접점재를 감싸주어 결합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터미날 볼트(1)는 두부(2)의 중앙요부(2-1)에 접점재(3)를 압접시키되 요부(2-1)의 바닥면에 요철부(2-1a)를 주어 모재와 접점재의 접촉면적을 넓혀주므로서 전도성이 좋게하였으며 헤드부(3-2)를 너어링(3-1)하여 국부적인 접촉으로 저항을 감소시켜준 것이다.
이와같은 작용효과를 얻을수있게된 본 고안의 터미날 볼트는 하부금형(4)에 볼트를 안치시키고 볼트(1)의 두부(2) 중앙에 요설된 요부(2-1)에 구리로된 접점재(3)를 넣어 상부금형(5)으로 압접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접점재(3)의 직경은 요부(2-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하여 넣기 쉽게하였으며 요부(2-1)의 요철부(2-1a)위에 접점재(3)가 올려진 상태에서 상부금형(5)으로 적당하게 압접하면 접점재(3)의 밑면이 요철부(2-1a)와 같이 변형되어지며 접점재(3)의 윗면이 상부금형(5)의 너어링면(5-3)과 같이 너어링(3-1) 되어짐과 동시에 계속하여 상부금형(5)이 약간 더 하강하여 접점재(3)를 눌러줌과 동시에 상부금형의 상협하광협 경사내벽면(5-1)은 두부(2)를 구속하여 내측으로 밀어주므로 제2(c)도와 같이 충진된 접점재를 감싸주고 요부(2-1)내에 충진된 접점재는 두부(2)가 포삽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어 결합강도가 향상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제조공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압접시 요부의 톱니형 요철부에 의해 접점재가 충진되어 볼트와 접점재의 결합면적 증가로 결합강도의 향상을 기할수 있고, 접점헤드부의 형상변화로 접촉저항이 감소되고 스파크 현상 억제 효과를 얻게되며 이로인한 금속의 마모율을 저하시켜주고 상부금형의 경사내벽면으로 두부를 구속시켜 주므로 결합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게된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1)의 두부(2) 중앙에 요부(2-1)를 형성하여 바닥면을 요철부(2-1a)로 하고 부식방지와 접촉저항 감소를 위한 구리도금 및 주석도금을 한후 요부(2-1)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구리 접점재(3)를 넣은후 하부금형(4)에 착설하여 요입부(5-2) 천정에 너어링면(5-3)이 형성되고 상협하광의 경사내벽면(5-1)을 갖는 상부금형(5)을 적당압력으로 압접시켜 접점재의 밑면은 요부와 밀접되고 윗면은 너어링(3-1)됨과 함께 두부(2)와 헤드부(3-2)를 경사내벽면(5-1)이 구속하여 충진된 접점재를 감싸주어 결합강도를 향상시킨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KR2019870009304U 1987-06-11 1987-06-11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KR890007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304U KR890007927Y1 (ko) 1987-06-11 1987-06-11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9304U KR890007927Y1 (ko) 1987-06-11 1987-06-11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593U KR890001593U (ko) 1989-03-20
KR890007927Y1 true KR890007927Y1 (ko) 1989-11-10

Family

ID=1926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9304U KR890007927Y1 (ko) 1987-06-11 1987-06-11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9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72B1 (ko) * 2002-07-04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용량 터미널 연결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593U (ko) 198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6643A (ko) 소형 고밀도 다핀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PL345798A1 (en) Battery terminal connection cable
TW375816B (en) Semiconductor device
KR890007927Y1 (ko) 입출력 단자용 터미날 볼트
JPS58121574A (ja) 導線締付接続端子
US61531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an insulator device
JPH04184875A (ja) ケーブルプラグ
FR2422270A1 (fr) Nouveau dispositif de connexion a pression en bout
JPS6446520A (en) Resistance device for preheating plug of diesel engine
US2416643A (en) Spark plug
GB1124865A (en) Wire crimping ferrul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S5623768A (en) Semiconductor device
JPS5918582Y2 (ja) 絶縁ブツシング
JPS6317189Y2 (ko)
KR930008810B1 (ko) 배전기의 캡장치
JPS55154757A (en) S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e of the same
JPH0626032Y2 (ja) 架橋ポリエチレン電力ケーブルの接続端末構造
US2060426A (en) Electrical terminal
US2956259A (en) Transformer connector
JPS6410589A (en)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e thereof
KR910007558Y1 (ko) 브러시의 단자판 부착장치
JPS5919347Y2 (ja) 電気接続子
KR910005513Y1 (ko) 가변저항기의 리드단자 결합장치
JPS6450454A (en) Manufacture of lead frame and semiconductor device
JP3408362B2 (ja) バッテリー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