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649Y1 - 기판용 접속기 - Google Patents
기판용 접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7649Y1 KR890007649Y1 KR2019850003835U KR850003835U KR890007649Y1 KR 890007649 Y1 KR890007649 Y1 KR 890007649Y1 KR 2019850003835 U KR2019850003835 U KR 2019850003835U KR 850003835 U KR850003835 U KR 850003835U KR 890007649 Y1 KR890007649 Y1 KR 8900076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base
- substrate
- piece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제안되어 있는 기판용 접속기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기판용 접속기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베이스와 여기에 장착되는 접촉편(片)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기판용 접속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기판용 접속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기판용 접속기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덮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베이스 21-F : 앞면
22-1,22-2 : 접촉편 30 : 삽입홈
23-1,23-2 : 고정홈 24-1,24-2 : 절단면
25 : 고정부 26 : 탄성접촉부
27 : 연결편 28 : 결합편
29 : 단부(段部) 31 : 연장편
35 : 제1의 경사면 37 : 덮개
38 : 판체 39,40 : 결합판체
41-1,41-4 : 결합창 42 : 삽입구
43-1,43-2 : 요부 45-1,45-2… : 압입편
46 : 제2의 경사면 47,48 : 감합요부
49-1,49-4 : 돌기 51-1,51-2 : 결합편
본 고안은 기판의 삽입접속되는 기판용 접속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접속기에 대해서 기판을 장착하므로서, 접속기내에 수용되어 있는 접속편(片)과 기판의 소정의 도체부분이 서로 접속상태가 되는 기판용 접속기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종래 제안되어 있는 이런종류의 기판용 접속기의 일례의 구성을 단면을 취해서 원리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11)에 대해서 그 길이방향에 접촉편(12)이 복수개 서로 평행하게 입설(立設)된다.
이들 접촉편(12)이 베이스(11)로부터의 돌출입설부분이 굴곡되며 이 굴곡부분에는 탄성접촉부(13)가 형성된다.
탄성접촉부(13)는 접촉편의 입설방향과 직각으로 탄성편의 (偏倚)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베이스(11)에 대해서 접촉편이 돌출입설되고 있는 앞면쪽을 덮도록 덮개(!4)가 접촉편의 입설방향에 대해서 접동자재하게 부착된다.
이 덮개(14)의 베이스(11)의 앞면쪽의 판면에는 피접속 기판(16)의 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14)에 일체가 되며 설편(舌片)(17)이 돌출형성되고, 덮개(14)를 기판의 삽탈방향 즉 베이스(11)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설편(17)과 탄성접촉부(13)와는 비접촉상태에 있다.
이 비접촉상태에서 기판(16)을 삽입구(15)로부터 베이스(11)방향으로 삽입하고, 덮개(14)를 기판의 삽입방향 즉 베이스(11)쪽으로 밀고 들어가면 설편(17)이 탄성접촉부(13)상에 위치하는 기판(16)을 접촉편(12)과의 사이에 끼운상태로 접촉편(12)를 그 탄성편의에 대항해서 이동시킨다.
이와같이 해서 기판(16)은, 접촉편(12)과 설편(17)사이에 탄성으로 지지된다.
기판(16)의 장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덮개(14)를 베이스(11)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접동시키면, 설편(17)과 탄성접촉부(13)와의 탄성 접촉이 해제되고, 기판(16)을 삽입구(15)로 부터 원활하게 뽑아낼수 있다.
이러한 종래 제안되어 있는 방식에서는 기판(16)의 착탈에 있어서, 덮개(14)를 베이스(11)에 대해서 기판(16)의 착탈방향으로 비교적 큰 스트로오크로 이동시키는 일이 필요하므로 전체의 구조가 대형화 된다.
따라서 부착을 위한 점유공간이 증대되고, 또 손가락을 넣는 공간을 형성해 놓지 않으면 기판의 장착 및 장탈조작을 행하게 할수 없다.
또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기판(16)이 삽입구(15)로부터 굽은 상태로 삽입되면, 덮개(14)를 이동시켜도, 설편(17)과 접촉편(12)사이에 기판(16)이 탄성협지되지 않아 기판(16)의 장착을 행할수 없는 일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제안되어 있는 이런 종류의 기판용 접속기의 결함을 해결하고, 전체의 형상을 대폭적으로 소형화 할수 있음과 동시에 손가락을 넣을수 없는 한정된 점유공간에 대해서 부착을 해도, 기판의 착탈조작을 원활하게 행할수 있는 기판용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베이스에 대해서 그 앞면쪽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접촉편 수용부가 형성되고, 이 접촉편 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복수개의 접촉편이 한쪽을 베이스의 앞쪽면에 돌출시켜서 입설되어 있다.
이들 접촉편은 그 한쪽으로 굴곡되어, 입설방향과 직각으로 탄성편의 가능한 탄성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가 베이스의 앞면쪽을 덮어서, 도체편의 배열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베이스에 대해서 부착되고, 이 덮개와 베이스의 앞면쪽에는 피접속기판의 삽입구가 접촉편의 배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베이스의 앞면쪽에 있어서의 접촉편의 배열방향의 한쪽 가장자리 변부와 덮개의 내주면에 접동하는 한쪽방향에서 서로 대향해서 접촉하는 제1 및 제2의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덮개를 이 한방향으로 접동시키면 접촉편의 한 가장자리 변부의 제1의 경사면과 덮개내부면의 경사면이 대향해서 접촉하고, 제2의 경사면에 의해서 접촉편이 그 탄성편의력에 대항해서 이동되고, 삽입구는 개구상태가 된다.
이 개구상태에서 삽입구로부터 기판을 삽입하고, 덮개를 삽입구를 개구시킨 방향과 역방향으로 접동시키면, 덮개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의 경사면에 의해 제1의 경사면을 개재해서 행해지는 접촉편의 밀고들어가는 것이 해제된다. 따라서 접촉편은 자체의 탄성편의력에 의해서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기판을 탄성지지면에 대해서 압압하며, 기판은 접촉편과 탄성 지지면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지지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고안의 기판용 접속기를 그 실시예에 의거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에 대해서 그 앞면쪽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접촉편 수용부가 형성되고, 이 접촉편 수용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복수개의 접촉편이 한끝쪽을 베이스의 앞면쪽으로 돌출시켜서 입설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기판용 접속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베이스(21)와 여기에 입설되는 접촉편(22-1)(22-2)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베이스(21)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외형이 대체로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베이스(21)에 그 앞면쪽으로 부터 후방을 향해서 접촉편 수용부가 다음과 같다.
베이스(21)는 앞면(21-F)쪽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중앙위치에 삽입홈(30)이 형성되고, 삽입홈(30)의 한쪽의 내주면은 탄성 지지면이 되며, 이 탄성 지지면에는 삽입홈(30)에 연속해서 등간격으로 대체로 「ㄷ」자 형상의 고정홈(23-1)(23-2)…이 형성된다.
베이스(21)의 삽입홈(30)을 사이에 두고 각각 고정홈(23-1)(23-2)… 에 대향한 위치에 절단면 (24-1)(24-2)…이 형성된다.
접촉편 수용부에 입설수용되는 접촉편(22-1)(22-2)…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부(25)와 접촉편의 판면이 굴곡되어서 형성되는 탄성접촉부(26)가 연결편(27)으로 서로 대략 평행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탄성접촉부(2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촉편은 이 탄성접촉부(26)위치에서 접촉편의 판면과 직가으로 탄성편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정부(25)의 판면이 끊겨일어나서 결합편(2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형성의 접촉편(22-1)(22-2)…이 각각 고정부(25)를 고정홈(23-1)(23-2)…내에 위치시키고 탄성접촉부(26)를 삽입홈(30)과 삽입홈(30)에 연속하는 각각의 절단면(24-1)(24-2)…내에 위치시켜서, 베이스(21)에 대해서 입설된다.
입설된 상태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결합편(28)을 각각의 고정홈내의 단부(29)와 걸어맞추고, 접촉편(22-1)(22-2)…의 연장편(31) 및 연결편(27)을 베이스(21)에 형성된 끌어내는 홈(32)내에 위치시켜서 접촉편(22-1)(22-2)…이 베이스(21)에 대해서 부착되어 진다.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촉편이 짝수번째의 것과 홀수번째의 것은 그 연장편(31)을 각각 베이스(21)의 서로 대향하는 판면쪽으로부터 끌어내는 홈(32)을 통해서 끌어낸 상태에서 베이스(21)에 대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서로 대향해서 연장편(31)을 베이스(21)로부터 끌어냄으로서, 접촉편을 베이스(21)에 대해서 조밀하게 배설할수 있다.
이 경우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홀수번째 접촉편은, 고정부(25)의 판면이 일체가 되게 연장되어서 연장편(31)이 형성된 형상의 것이 사용된다.
또 짝수번째의 접촉편은 탄성접촉부(26)의 판면이 일체가 되며 연장되어서 연장편(31)이 형성된 형상의 것이 사용된다.
이들 접촉편(22-1)(22-2)…의 탄성접촉부(26)의 단부(端部)는 접촉편의 입설방향과 평행으로 배열되고, 이 단부의 접촉편의 배열의 한쪽 가장자리 변부에는 이 한쪽방향에 대해서 베이스(21)의 길이방향과 한쪽판(S-1)에 가깝게 제1의 경사면(35)이 형성된다.
베이스에 대해서 그 앞면쪽을 덮도록 덮개가 접촉편의 배열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부착된다.
덮개(37)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38)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양쪽 가장자리부가 판체(38)와 직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결합판체(39)(40)가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결합판체(39)(40)의 길이방향의 양쪽부근에는, 결합창(41-1)∼(41-4)이 형성되며, 결합판체(39)(40)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판체(38)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게 형성된다.
이들 결합창(41-1)∼(41-4)의 길이방향의 폭은 베이스(21)에 대해서 부착할수 있는 덮개(37)의 길이방향의 접동거리와 거의 같게 설정된다.
판체(38)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그 중앙위치에 피접속기판의 삽입구(42)가 형성된다.
이 삽입구(4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판체(38)의 이면쪽에서 결합요부(43-1)(43-2)가 각각 형성된다.
판체(38)의 이면에서 삽입구(42)를 따라서 판면의 한쪽이 판면의 두께방향으로 절달되고, 이 절단된 부분에 톱니형상의 압입편(42-1)(42-2)…이 형성된다.
이들 압입편의 덮개(37)길이의 한쪽방향에는 각각 그 한쪽방향에서 삽입구(42)에 가깝도록 제2의 경사면(46)이 형성된다.
베이스(2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양쪽면에서 감합요부(47)(48)가 형성되고, 이들 감합요부(47)(48)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결합판체(39)(40)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도 약간 길게 설정된다.
베이스(21)의 이들 감합요부의 윗쪽 가장자리변(邊)부근에는 돌기(49-1)∼(49-4)가 형성된다. 또 베이스(21)의 전면(21-F)쪽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결합편(51-1)(51-2)이 형성된다.
접촉편(22-1)(22-2)…이 입설된 베이스(21)에 대해서 덮개(37)를 감합하고, 결합판체(39)(40)가 감합요부(47)(48)와 각각 감합하고, 덮개(37)이면의 결합요부(43-1)(43-2)내에 베이스(21)의 결합편(51-1)(51-2)이 각각 위치한 상태로 양자가 감합된다.
이감합상태에서, 돌기(49-1)∼(49-4)가 각각 결합창(41-1)∼(41-4)내에 위치하고, 덮개(37)는 베이스(21)의 길이방향으로 접동가능케 부착되어 있다.
이 접동의 양단위치에서는 돌기(49-1)∼(49-4)가 각각, 결합창(41-1)∼(41-4)의 접동방향의 단면과 대향해서 접촉하고, 결합창의 폭이덮개(37)의 접동범위가 된다.
마찬가지로 결합판체(39)(40)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접도의 양단위치에서 감합요부(47)(48)의 길이방향의 양단면과 각각 대향해서 접촉한다. 또 이 접동의 양단위치에서 결합편(51-1)(51-2)도 결합요부(43-1)(43-2)내의 길이방향의 양단면과 각각 서로 맞닿는다.
제3도 및 제5도는 베이스(21)에 대해서 덮개(37)를 길이방향으로 한쪽에 접동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로부터의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덮개(37)를 베이스(21)에 대해서 접동시킬 수있다.
화살표(×)방향으로의 접동을 행하기전의 상태에서는 압입편(42-1)(42-2)…의 제2의 경사면(35)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접촉편(22-1)(22-2)…의 탄성접촉부(26)는 탄성지지면쪽에 자체의 탄성편의력으로 이동한 상태이며, 탄성접촉부(26)가 탄성 지지면을 압접한 상태가 되어 있다.
덮개(37)를 제3도 및 제5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접동시키면, 압입편(45-1)(45-2)…의 제2의 경사면(46)이 접촉편(22-1)(22-2)…의 제1의 경사면(35)과 접촉하고, 다시 접동을 진해시키면, 제2의 경사면(46)이 제1의 경사면(35)을 개재해서 접촉편(22-1)(22-2)…을 눌러, 접촉편을 그 탄성편의력에 대항해서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상태에서 삽입구(42)는 개구상태가 되며, 이 개구상태에서는 삽입구(42)로부터 기판을 접촉기내로 원활하게 삽입할수 있다.
기판을 삽입한 후에 덮개(37)를 베이스(21)에 대해서 제3도 및 제5도의 화살표(×)와 역방향으로 접동시키면, 접촉편(22-1)(22-2)…이 기판을 자체의 탄성편의력으로 탄성 지지면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압압한다.
이 상태에서 기판은 접촉편(22-1)(22-2)…과 탄성 지지면사이에 강하게 지지되며, 완전한 기판의 장착이 행해진다.
기판을 착탈하기 위해서는 덮개(37)를 제3도 및 제5도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접동시키면 접촉편(22-1)(22-2)…이 이동해서 접촉편에 의해 기판의 탄상지지면에 대한 탄성적으로 누르는 것을 해제하므로, 기판을 삽입구(42)로부터 완활하게 뽑하낼수 있다.
덮개(37)를 베이스(21)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작은 스트로오크로 짧은 거리만큼 접동시키므로서 기판의 삽입구(42)의 개구 및 폐색(閉塞)을 행하게 해서 기판을 접속기에 대한 장착 및 장탈의 해제를 행할수 있다.
기판의 장착 및 장탈을 위한 스트로오크 길이가 짧으므로 부착 점유공간이 작아도 되며, 또 손가락 삽입할수 없는 곳에도 부착가능하고, 예를들면 결합판체(39)(40)의 길이방향의 단면과 감합요부(47)(48)의 길이방향의 안쪽 단면사이에 드라이버의 선단을 결합시켜서 덮개(37)를 접동시켜 기판의 장착 및 장탈을 행할수 있다.
또 기판의 삽입에 있어서도 기판을 접촉편과 탄성지지면 사이에 안내되어서 원활하게 삽입되고, 기판의 삽입방향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일이 없이 장착된 기판은 접촉편의 탄성접촉부(26)와 탄성지지면사이에 강한 탄성편의력으로 지지되어 빠지는 일이 없다.
또, 기판의 장탈도 덮개(37)를 접동시키는 조작만으로 원활하게 행할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으하면 소형화가 용이하고, 기판의 착탈을 위한 덮개의 스트로오크가 작아 부착에 있어서의 점유공간이 작아도 되며 또한 손가락을 삽입할수 없는 개소의 부착해도 간단한 조작으로 원활하게 기판의 장착, 장탈을 행하게 할수 있고 기판의 장착지지력도 큰 기판용 접속기를 제공할수 있다.
Claims (1)
- 베이스(21)에 대해서 그 앞면(21-F)쪽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접촉편(22-1)(22-2)…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22-1)(22-2)면도 이 한쪽을 상기 앞면(21-F)쪽에 돌출시켜서 입설하고, 이들 접촉편(22-1)(22-2)…의 상기 한쪽에는 상기 입설방향과 직각으로 탄성편의 가능한 탄성접촉부(26)가 굴곡형성되며, 상기베이스(21)에 대해서 그 앞면(21-F)쪽을 덮도록 덮개(37)가 상기 접촉편(22-1)(22-2)…의 배열방향으로 접동자재케 부착되고, 이 덮개(37)의 상기 앞면(21-F)쪽에는 피접속기판의 삽입구가 상기 접촉편(22-1)(22-2)의 배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덮개(37)의 상기 탄성접촉부(26)와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탄성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1)의 앞면(21-F)쪽에 있어서의 상기 접촉편(22-1)(22-2)…의 배열방향의 한쪽가장자리 변부와 상기 덮개(37)의 내주면에는 상기 접동의 한쪽방향에서 서로 대향해서 접촉하는 제1 및 제2의 경사면(35 및 3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쪽방향으로의 상기 덮개(37)의 접동에 의해서 상기 제1및 제2 경사면(35 및 36)이 대향해서 접촉하고, 상기 제2의 경사면(36)에 의해서 상기 접촉편(22-1)(22-2)…이 탄성편의력에 대항하여 이동해서 상기 삽입구(42)가 개구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기판용 접속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50003835U KR890007649Y1 (ko) | 1985-04-08 | 1985-04-08 | 기판용 접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50003835U KR890007649Y1 (ko) | 1985-04-08 | 1985-04-08 | 기판용 접속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13879U KR860013879U (ko) | 1986-11-20 |
KR890007649Y1 true KR890007649Y1 (ko) | 1989-10-31 |
Family
ID=1924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50003835U KR890007649Y1 (ko) | 1985-04-08 | 1985-04-08 | 기판용 접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7649Y1 (ko) |
-
1985
- 1985-04-08 KR KR2019850003835U patent/KR8900076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13879U (ko) | 1986-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8345B1 (ko) | 복합 전기 커넥터, 복합 전기 커넥터를 위한 홀더,형광관의 접속 구조 및 형광관의 접속 방법 | |
US6261128B1 (en) | Contacting device for a chip card and in particular for a SIM card | |
US3130351A (en) | Modular circuitry apparatus | |
US5536180A (en) | PC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expandable ejector | |
US4469387A (en) |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 |
US5902142A (en) |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flat cable | |
US4077693A (en) | Panel-mountable connector block assembly | |
US4087148A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zero insertion force | |
KR930005622Y1 (ko) | 코넥터 | |
US6224411B1 (en) | Electrical zero-force contact connector device | |
US6059586A (en) | Memory card connector | |
GB2198595A (en) | Circuit card connectors | |
JPH02224395A (ja) | プリント回路カードガイド | |
KR890007649Y1 (ko) | 기판용 접속기 | |
US4924354A (en) | Guide rail comprising attachment means for a plug board | |
US5156280A (en) | Component carrier | |
CA1234608A (en) | Card edge connector | |
US6817886B2 (en) | Through-panel mounted component | |
US5404274A (en) | Assembly for receiving and retaining a circuit board retainer | |
CA2242462C (en) | Reader for chip cards | |
EP0850549B1 (en) | Memory card connector | |
JPH03708Y2 (ko) | ||
JPH0585089U (ja) | 板材ホルダ | |
KR890005209Y1 (ko) | 쉘프의 가이드 고정장치 | |
JP2527210Y2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10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