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135Y1 - 음성응답 열쇠고리 - Google Patents

음성응답 열쇠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135Y1
KR890007135Y1 KR2019860017804U KR860017804U KR890007135Y1 KR 890007135 Y1 KR890007135 Y1 KR 890007135Y1 KR 2019860017804 U KR2019860017804 U KR 2019860017804U KR 860017804 U KR860017804 U KR 860017804U KR 890007135 Y1 KR890007135 Y1 KR 890007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key ring
output
amplifier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380U (ko
Inventor
김환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무역
김환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무역, 김환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무역
Priority to KR2019860017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135Y1/ko
Publication of KR880010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응답 열쇠고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저역차단 및 증폭부(3), 정류 및 지연부(4), 직류증폭부(5), 트리거펄스 발생부(6)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회로도.
제3도는 제1도의 스위치부(8)과 발진부(9)의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에조버저 2 : 디멀티 플렉서
3 : 저역차단 및 증폭부 4 : 정류 및 지연부
5 : 직류증폭부 6 : 트리거 펄스 발생부
7 : 타이머부 8 : 스위치부
9 : 발진부 10 : 멜로디 IC
본 고안은 음성응답 경보기를 열쇠고리에 응용한 음성응답 열쇠고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박수소리나 휘바람에 응답하여 일정시간동안 발진음 또는 멜로디음을 내는 음성응답 열쇠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쇠를 가지고 외출이나 여행을 한후 문을 열고들어와 열쇠를 책상위나 주변 가까운곳 또는 임의의 장소에 두고 소정의 시간후에 다시외출할때 열쇠가 놓여진 장소가 갑자기 생각이 나지않아 한참이나 찾아헤메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손쉽게 열쇠를 찾게하기 위하여 휘바람에 응답하여 발진음을 내는 열쇠고리가 고안되었으나, 이는 특정주파수의 음성에만 응답하는 관계로 휘바람을 잘불지 못하거나 또는 그 특성주파수의 휘바람을 낼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따러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것으로써, 박수소리나 다양한 주파수의 음성영역에서도 응답을 하고 또 그 발신음이 일정발진음 또는 멜로디음을 낼수 있도록하여 그 응답신호를 다양화 하는 음성응답 열쇠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고안의 음성응답 열쇠고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기본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피에조버스(1)를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DEMNX)(2)의 공동입력단자(IN)에 접속하고, 아날로그 디멀티 플렉서(2)의 일측출력단(OU1)에 저역차단 및 증폭부(3)의 입력단을 연결하며, 그 출력은 다시 정류 및 지연부(4)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그 출력단은 다시 직류증폭부(5)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직류증폭부(5)의 출력단 신호가 트리거 펄스발생부(6)에 입력이 되고 트리거 펄스발생부(6)의 출력이 타이머부(7)의 트리거 단자에 입력되며 그 제어 입출력(TO1)은 발진부(9)의 전단 스위치부(8)를 제어하도록 연결되고, 그 제어타출력은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2)의 제어입력단(CO)에 연결된다.
한편, 타이머부(7)의 일 제어출력(TO1)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치(8)의 출력은 발진부 (9)려의 제어입력단자(TR)에 연결되어 발진부(9)의 발진시간을 제어하도록 하며 발진부출력단은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2)의 타출력단(OU2)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회로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면을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피에조버져(1)에 입력된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2)의 입력단(IN)과 일출력단(OU1)을 통하여 저역차단 및 증폭부(3)에 입력된다.
여기서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2)의 제어입력단(CO)에서 상시 "하이(H)"신호가 입력되어 있어 입력단(IN)과 일출력단(OU1)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만일 제어입력단(CO)에 "로우(L)"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단(IN)은 타출력단(OU2)에 연결된다. 또한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2)는 쌍방향성 이므로 신호의 흐름은 입출력이 반대로 연결되어도 관계없다.
저역차단 및 증폭부(3)에 입력된 음성신호는 먼저 매우낮은 저주파성부(둔탁한 주변소음으로 인한)을 차단한 다음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음성신호만 증폭시킨다.
이렇게 매우낮은 저주파(1000HZ이하)를 차단시키는 이유는 주변잡음(대개주파수가 낮음)에 지나치게 예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증폭된 음성 신호는 다시 정류 및 지연부(4)에서 직류로 변환됨과 동시에 일정시간지연시킨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음성신호를 직류로 바꾸었을때 일정한 지연을 주지않으면 펄스성 노이즈에 지나치게 민감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휘바람등의 음성신호에 동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직류화되고 지연된 음성신호는 다시 한번 직류증폭부(5)에서 직류증폭되고 이신호는 타이머의 트리거를 위한 트리거펄스발생부(6)에 입력되어 음성신호 유무에 따라 하나의 펄스를 발생시키며 이 펄스가 타이머부(7)의 트리거입력단자에 입력된다. 타이머부(7)에는 두개의 출력단자(TO1, TO2)가 있는데(TO1)은 상시 "로우(L)"출력을 갖고 (TO2)는 상시 "하이(H)"출력을 낸다. 타이머부(7)이 트리거 펄스에 의해 트리거되면 출력단(TO1, TO2)의 상태는 타이머에 정해진 일정시간동안 그 출력상태가 반대로 된다. 즉, 타이머의 지연시간동안(TO1)은 "하이(H)", (TO2)는 "로우(L)"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타이머부(7)의 일출력단(TO1)의 출력이 타이머의 동작으로 일정시간 "하이(H)"로 바뀌면 이신호는 스위치부(8)을 기동시키고 따라서 발진부(9)가 동작하여 발진음을 발생시키고 이 신호가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2)의 타출력단(OU2)와 입력단(IN)을 거쳐 피에조비져(1)에 출력되어 피에조버저(1)에서 발진음을 발생시켜서 음성입력에 응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2)의 제어입력단(CO)에는 "로우(L)"신호가 타이머부(7)의 타출력단(TO2)로 부터 입력되어 있어서 입력단(IN)과 타출력단(OU2)이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음성신호 입력은 차단되고 발진음이 출력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음성응답경보회로를 열쇠고리에 내장시켜 손벽휘바람등에 응답하는 음성응답 열쇠고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특히 저역차단특성의 개선과 정류 및 지연특성의 개선으로 음성응답 특성으로 현저히 개선하였으며 특히 증폭부와 정류부 및 트리거펄스 발생부의 회로를 간단히한 특징을 갖는다.
저역차단 및 증폭부(3), 정류 및 지연부(4), 직류증폭부(5) 및 트리거 펄스발생부(6)의 상세한 실시예의 회로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회로는 어디까지나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와 유사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그러한 것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포함된다.
콘덴서 C1으로 저역차단회로를 구성하고, 저항(R1, R2, R3, R4, R5, R6)트랜지스터(T1, T2)로 이단직결 증폭회로를 구성하며, 다이오드(D1)콘덴서(C2)로 정류 및 지연부를 구성하고, 저항(R7, R8)과 트랜지스터(T3)로 직류 증폭회로를 구성하고 저항(,R9, R10, R11)과 트랜지스터(T4) 및 다이오드(D2)로 트리거 펄스 발생부가 구성된다.
특히 트랜지스터(T1)의 의 바이어스를 자기바이어스로 하여 증폭의 안정을 기하였고, 트랜지스터(T2)의 동작점을 직류바이어스가 제거 되도록 잡아 음성신호에만 정확히 응답되게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발진부(9)의 구성을 멜로디(IC)에 의해 멜로디움을 발생하도록 한것이다.
이에 관한 실시예는 제3도에 나타낸었다. 스위치부(8)의 트랜지스터(T5)가 온되면 멜로디 IC(10)은 연주를 개시하도록하여 그 출력을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부(2)를 거쳐 피에조버져에 출력하도록 하여 휘바람 또는 박수소리에 따라 열쇠고리에서는 아름다운 멜로디를 들을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음성응답 열쇠고리는 음성신호(휘바람 박수)에 응답하여 발신음 또는 멜로디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열쇠를 주변에 방지하여 잃어버렸을때 쉽게 찾게 할뿐만 아니라 특히 맹인들에게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피에조버져(1) 및 아날로그 디멀티플렉서(2)를 통한 음성신호 성분중에서 매우 낮은 저주파성분을 제거하고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저역차단 및 증폭부(3)와, 증폭된 음성신호를 정류하고 지연시키는 정류 및 지연부(4)의 출력을 증폭하는 직류증폭부(5)와, 상기한 직류증폭부(5)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 타이머부(7)에는 트리거 펄스를 공급하는 트리거 펄스 발생부(6)와, 일정시간동안 디멀티플렉서(2) 및 스위치부(8)를 각각 제어하는 타이머부(7)와, 스위치부(8)의 동작에 의해 일정한 발진음 또는 멜로디음을 발생하는 발진부(9)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음성응답경보회로를 열쇠고리에 결합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응답 열쇠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저역차단 및 증폭부(3)는 콘덴서(C1) 및 저항(R1-R6)과 트랜지스터(T1)(T2)로 구성하며, 정류 및 지연부(4)를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로 구성하며, 직류증폭부(5)와 트리거 펄스발생부(6)를 저항(R7-R11), 트래지스터(T3)(T4), 다이오드(D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응답 열쇠고리.
  3.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부(8)와 발진부(9)를 저항(R12) 및 트랜지스터(T5)와 멜로디 IC(1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응답 열쇠고리.
KR2019860017804U 1986-11-15 1986-11-15 음성응답 열쇠고리 KR890007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804U KR890007135Y1 (ko) 1986-11-15 1986-11-15 음성응답 열쇠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804U KR890007135Y1 (ko) 1986-11-15 1986-11-15 음성응답 열쇠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380U KR880010380U (ko) 1988-07-27
KR890007135Y1 true KR890007135Y1 (ko) 1989-10-16

Family

ID=1925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804U KR890007135Y1 (ko) 1986-11-15 1986-11-15 음성응답 열쇠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1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380U (ko) 198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8239A (ko) 자동 전력 제어장치
KR890007135Y1 (ko) 음성응답 열쇠고리
KR920005455A (ko) 증폭 회로
US4017748A (en) Monolithic AC level detector
JPH03171766A (ja) 電力増幅装置
KR890002619Y1 (ko) 회바람소리에 응답하는 신호기
GB2077011A (en) A bedroom light control device
KR890003753B1 (ko) 음성신호 응답 경보회로
JPS6012234Y2 (ja) 発音装置
US6427136B2 (en) Sound device for expansion station
KR900003442Y1 (ko) 알람 장치가 된 오디오 장식장
JPS62151261U (ko)
KR950001491Y1 (ko) 무신호시 마이크 출력 뮤팅 회로
KR920001493A (ko) 윤곽 보정 회로
KR940001479Y1 (ko) 음향 기기의 뮤트(mute)차단회로
KR910000156Y1 (ko) 초기출력레벨 경고회로
KR910006894A (ko) 비상신고용 경보장치
GB90501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noise generators
KR950010589Y1 (ko) 뻐꾸기발성음 시보회로
JPS63127123A (ja) 人体センサ付アラ−ム時計
JPH0313756Y2 (ko)
KR950002766Y1 (ko) 오디오 기기의 에코 노이즈 방지 회로
JPH0212758Y2 (ko)
JPS6239439Y2 (ko)
CA1106933A (en) Body capacitance intrusion alarm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