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765Y1 - 구멍탄용 온수기 - Google Patents

구멍탄용 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765Y1
KR890006765Y1 KR2019870000565U KR870000565U KR890006765Y1 KR 890006765 Y1 KR890006765 Y1 KR 890006765Y1 KR 2019870000565 U KR2019870000565 U KR 2019870000565U KR 870000565 U KR870000565 U KR 870000565U KR 890006765 Y1 KR890006765 Y1 KR 890006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inlet
water
water hea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0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274U (ko
Inventor
박인진
Original Assignee
박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진 filed Critical 박인진
Priority to KR2019870000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765Y1/ko
Publication of KR880015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inside the tubula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멍탄용 온수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a)도, 제5(b)도는 구멍탄내에 본 고안의 온수가열용 핀이 삽입된 설치상태 예시도.
제6도는 종래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기 몸체 2 : 상판
21 : 유입관 22 : 배출관
3: 저면판 4 : 가열핀
41 : 입구측 42 : 출구측
5 : 격판 6 : 측벽
7 : 폐쇄형 유통로
본 고안은 구멍탄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구멍탄용 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입된 냉수를 보다 짧은 시간내에 온수로 가열 변환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 온수기의 구조를 보면 제6도에서와 같이, 집열용 원판형 저면판(3')과, 상기의 원호형 상판(2')으로 그 내부에 소정크기의 가열공간을 형성함과 동시, 상판의 일측에 온수배출관(22')과 그 하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인출된 냉수(저온수) 유입관(21')이 설치되었으며, 상기 온수기(1')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물통(9')으로부터 배출 및 유입관(22')(21') 사이에 각각 관체가 연결 설치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기(1')를 연소중인 구멍탄(8')의 상부에 위치시키면 저면판(3')을 통해 전도된 고온의 열에 의해 가열공간내의 물이 데워지면서 자연대류 작용에 따라 상부의 배출관(22')으로 상승 배출되고, 그에 비례하는 양의 상대적인 저온수가 물통으로부터 유입관(21')을 통해 가열공간내로 공급 가열되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행하여지므로서 물통내에 부어놓은 저온수가 고온수로 변환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온수기는 가열공간내에 위치하는 저온수의 가열이 전적으로 저면판을 통해 전도되는 열로서 행해지기 때문에 구멍탄의 연소상태에 따라 상부로 전달되는 발열량의 큰 격차와, 구멍탄 자체의 구조상 상부로 전달되는 복사열은 전체 방열량의 약 30%를 넘지 못하게 되므로서, 그에 비례하여 저온수의 가열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고 물통내의 가열된 온수의 양이 유한한 등의 문제점으로 온수기로서의 효용가치 저하는 물론이고 순간적이고 신속한 가열을 요하는 곳에서는 사용하기가 곤란한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온수기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수기의 저면판의 구멍탄 구멍대향 위치 수개소에 각각 구멍탄의 산소공급을 구멍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내부에 격판을 구비한 소정의 길이의 가열관체를 하향 돌출 설치하므로서, 유입관을 통해 들어온 저온수가 구멍탄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연소부와 직접 접하고 있는 각 가열관체를 차례로 지나면서 빠른 속도로 가열되어 고온수로 된 다음, 말단이 가열관체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원판형 저면판(3)과, 유입 및 배출관(21)(22)을 구비한 상판(2) 및, 그 사이의 가열공간으로 온수기 몸체(1)를 구성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도면 제1, 2, 3도에서와 같이 구멍탄(8)의 공기공급용 구멍(81)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하단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구멍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짐과 동시, 내부공간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격판(5)으로서 입구측(41)과 출구측(42)으로 분리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관체형 가열핀(4)을 사이 저면판(3)의 구멍탄 공기공급구멍 대향부에 개구된 상단부위를 관통 고정 결합 설치하였다.
그리고, 입구측(41)이 유입관(21)과 연결된 초기가열용 가열핀(4)으로부터 출구측(42)을 배출관(22)과 연결시킨 최종 가열핀(4) 사이의 각 가열핀 사이에는 상호 측벽(6)으로서 폐쇄형 유통로(7)를 형성하여 유입관(21)으로 공급된 물이 배출관(22)으로 나오도록 하였는데, 상기 폐쇄형 유통로(7)는 측벽(6)이 일축 가열핀(4)의 출구측(42)에서 다음 가열핀(4)의 입구측(41) 사이에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온수기 몸체(1)를 연소중에 있는 구멍탄(8) 상에 위치시키면서, 하향 돌출된 각각의 가열핀(4)을 공기공급 구멍내로 삽입시켜 놓고 유입관(21)에 급수용 수도관을 연결시키게 되면, 온수기 몸체(1)로 들어온 물이 수압에 의하여 초기 가열핀(4)의 격판(5)으로 분리된 입구측(41) 하부를 통해 출구측(42)-폐쇄형 유통로(7)-다음 가열핀(4)을 차례로 거친 뒤, 최종 가열핀(4)의 출구측(42)과 연결된 배출관(22)으로 강제순환 배출되는데, 이때 폐쇄형 유통로(7)를 흐르는 물이 몸체의 저면판(3)에 전도된 구멍탄의 복사연소열에 의해 데워지기도 하지만 이는 미약한 것이고, 주로 연소부와 직접 접하고 있는 각 가열핀(4)내의 입구 및 출구측(41)(42)을 통과시 집중적으로 가열되므로서, 최종 가열핀을 통해 배출관(22)으로 나오는 물은 상당히 가열된 온수로 변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제5(a)도, 제5(b)도는 가열핀(4)의 배열 형태 및 구멍탄내의 삽입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열핀(4)을 구멍탄의 공기공급구멍 숫자(통상 19개)와 같게 설치하면 구멍탄 연소부에 원활한 공기공급을 방해하여 불량연소가 되므로 핀이 삽입되지 않는 구멍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도면 제4도는 유입관(21)이 2개의 가열핀(4)(4')으로 분리 연결된 것을 도시하는 것인데, 이는 가열핀을 2개의 채널로 병렬 연결 서시시의 실시예이며, 이에 따른 배출관은 양측 채녈의 최종 가열핀과 연결됨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유입관을 통해 공급된 물이 연소부와 직접 접하고 있는 각 가열핀을 거치는 사이에 신속하게 가열 고온수로 변환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상기 온수기 몸체를 종래와 같이 항상 구멍탄상에 올려 놓을 필요없이 온수 필요시에만 올려놓고 사용하므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신속하고 빠르게 양질의 고온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판형 저면판(3)과, 유입 및 배출관(21)(22)을 구비한 상판(2) 및, 그 사이에 가열공간으로서 온수기 몸체가 구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구멍판의 공기공급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하단이 밀폐된 상태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내구 공간에는 하부를 제외한 부분이 격판(5)으로 입구 및 출구측(41)(42)으로 분리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관체형 가열핀(4)이 상기 저면판의 소정위치에 관통 고정 설치됨과 동시, 상기 각 가열핀의 출구측 및 인접 가열핀의 입구측 사이에는 각각 측벽(6)으로서 폐쇄형 유통로(7)가 관통 형성되었으며, 유입관(21)은 최초 가열핀의 입구측(41)과 배출관(22)은 말단 가열핀의 출구측(42)과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탄용 온수기.
KR2019870000565U 1987-01-20 1987-01-20 구멍탄용 온수기 KR890006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565U KR890006765Y1 (ko) 1987-01-20 1987-01-20 구멍탄용 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0565U KR890006765Y1 (ko) 1987-01-20 1987-01-20 구멍탄용 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274U KR880015274U (ko) 1988-09-15
KR890006765Y1 true KR890006765Y1 (ko) 1989-09-30

Family

ID=1925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0565U KR890006765Y1 (ko) 1987-01-20 1987-01-20 구멍탄용 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7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274U (ko) 198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6765Y1 (ko) 구멍탄용 온수기
RU197402U1 (ru) Компактный пароперегреватель для банной печи
US4090492A (en) Forced air furnace with liquid heat exchanger
JPS5844174B2 (ja) 風呂釜
CN207816057U (zh) 一种高效节能的燃气加热器换热装置
KR0137710Y1 (ko) 온수열교환기
US5109807A (en) High output mini hydronic heater
JPS5839328Y2 (ja) 小型暖房装置
KR890005743Y1 (ko) 저수압 작동형 온수 열교환기
JP2000018729A (ja) 伝熱フィンを備えた熱交換器
KR900009537Y1 (ko) 연탄 연소열을 이용한 난방 장치
KR100512297B1 (ko) 수관식 증기 및 급탕 보일러
KR910000234Y1 (ko) 구멍탄 보일러
KR900009064Y1 (ko) 온수 보일러용 가열관
KR200207399Y1 (ko) 화목보일러
KR940002811Y1 (ko) 입형 2회로 온수보일러
KR950007455Y1 (ko) 보일러
KR920002271Y1 (ko) 석유풍로용 온수보일러
KR800001673Y1 (ko) 순간 연속온수공급장치
KR200205628Y1 (ko) 온수보일러
KR870001688Y1 (ko) 온수 보일러
KR850002177Y1 (ko) 온수 보일러
KR930001050Y1 (ko) 온수 보일러
KR950014828A (ko) 가스 보일러의 열교환기
KR900002029A (ko) 난방용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