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759Y1 - 코킹 건(caulking gun) - Google Patents

코킹 건(caulking gu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759Y1
KR890006759Y1 KR2019860004779U KR860004779U KR890006759Y1 KR 890006759 Y1 KR890006759 Y1 KR 890006759Y1 KR 2019860004779 U KR2019860004779 U KR 2019860004779U KR 860004779 U KR860004779 U KR 860004779U KR 890006759 Y1 KR890006759 Y1 KR 890006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upport
piston rod
caulking gun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195U (ko
Inventor
윤선영
Original Assignee
윤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영 filed Critical 윤선영
Priority to KR2019860004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759Y1/ko
Publication of KR870016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 B21J15/48Devices for caulking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킹 건(CAULKING GU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킹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코킹 건의 요부인 동체부만을 확대하여 그 당김레버를 분해 시킨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코킹 건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킹 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체 1a : 지지부
1b : 손잡이부 1c, 1c' : 보강편
1d, 1d' : 안내편 1f : 유착편
1i, 1i' : 지지편 2 : 피스턴로드
3 : 마찰편 3a : 안내홈
4 : 절결부 4b, 4b' : 지지편
4c : 안내레일 4e : 받침편
4f : 정지돌기 5 : 당김레버
15, 15' : 지지편
본 고안은 원형통 카트리지내에 주입된 코킹재를 압출하여 두 접합부재 사이를 밀폐시키는 경우 등에 사용되는 코킹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킹 건의 구동수단인 피스턴 로드와 마찰편 및 당김레버등을 지지안내하는 각 지지체를 판체상 코킹 건동체와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들 각 지지체에 의한 채결부위가 동체의 일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그 가공조립 고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한 코킹 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코킹건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것들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코킹건은 대부분 일회용으로 보급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제조원가를 가능한한 낮출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 같은 종래의 코킹건에 통상, 손잡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ㄱ자상 동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당김 레버와 피스턴 로드, 마찰편 및 제동편 등이 각각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안내되도록 설치되며, 그 동체부의 전방에는 코킹제가 담겨진 원통형 카트리지를 지지 고정하는 카트리지 호울더부가 연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코킹 건의 구체적인 일예를 들면, 일정 규격을 가지는 판상소재를 ㄷ자형으로 전단 절곡하여 좌. 우 양측이 대칭으로 이루어지는 손잡편과 지지편이 일체로된 코킹건동체를 형성하고, 이들 양 지지편사이에 형성되는 요입 공간부내에 2개의 마찰편이 끼워진 피스턴 로드와 당김레버, 스프링 및 제동편등을 삽입 조립하는 한편, 그 동체 지지편의 전당단부에는 개구된 원통형 고정구를 리벳팅등의 방법으로 고정한 다음, 그 고정구의 내면 하측부에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지지편을 용착 고정하여 코킹제 카트리지가 안착되는 호울더부를 구성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된 종래의 코킹건은 양면으로 절곡 형성된 동체부 및 반원통형 호울더부를 가지게 되어 필요 이상의 원자재가 소요되므로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을 갖게될 뿐만 아니라, 상기 동체의 양 지지편 사이에 형성되는 협소한 요입 공간부내에 각 구동부재를 끼워 설치하는 번거롭고 까다로운 가공 조립 고정으로 필요로 하게 되므로, 그 생산성을 크게 저하 시키게 되는 등의 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립상의 난점을 감안하여 코킹 건의 동체와 당김레버 및 호울더부를 알루미늄 또는 아연 등 합금재를 사용하여 다이케스팅 방법으로도 성형한 코킹건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 같은 코킹건은 별도의 금형제작을 필요로 하고 고가인 합금재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을 갖게 되고 그 중량이 무거워 취급사용이 힘들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 금형 제작상의 난점을 덜기 위하여 각 지지체의 형성을 되도록 생략하는 대신에 마찰편이 끼워지는 피스턴 로드를 4각 또는 6각봉으로 사용하여 그 피스턴로드의 안정된 지지 및 안내를 꾀하게 됨에 따라, 원봉형 피스턴 로드에 비하여 고가인 4각 또는 6각봉을 필히 사용하여야만 하므로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종래 코킹 건의 난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취급 사용이 간편한 코킹건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인바, 소정규격을 가지는 판상소재를 일관작업으로 가공하여 그 손잡이부와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평판상 동체의 주연부에 일정폭의 보강편이 절곡 형성되게 함과 더불어 각 구동수단을 지지안내하는 지지체가 그 지지편의 일측부에 일체로 노출형성되게 함으로써, 소요자재의 현저한 절감은 물론 그 가공조립을 간편 용이하게 하여 제조원가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킹건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규격을 가지는 판상소재를 일관작업으로 전단절곡하여 평판상 지지부(1a)와 손잡이부(1b)가 일체로 형성되는 코킹건 동체(1)를 형성하되, 그 지지부(1a)의 전방단부 및 손잡이부(1b)의 하단을 제외한 동체(1)의 주연단부에는 일정폭을 가지는 절곡 보강편(1c)(1c')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하고, 이와 같이된 동체 지지부(1a)의 전방단부 및 그 후단 내측부에는 원봉상 피스턴 로드(2)가 삽입되는 U자형 안내편(1d)(1d')을 상기 각 보강편(1c)(1c')의 절곡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외향 돌출 형성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한 후단 보강편(1c')의 상측부에는 피스턴로드(2)가 삽입되는 안내공(1e)을 그 전방의 각 안내편(1d)(1d')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전. 후 안내편(1d)(1d')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1a)의 중간부 에는 피스턴 로드(2)에 끼워지는 마찰편(3)이 전. 후로 이동될수 있는 적절한 크기의 구형(矩形) 절곡부(4)를 형성하되, 그 절결부(4)의 전. 후단부 주연에는 상기 피스턴 로드(2)의 내측부가 끼워지는 지지공(4a)(4a')을 가진 지지편(4b)(4b')을 상기 안내편(1d)(1d') 및 보강편(1c)(1c')과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고, 그 절결부(4)의 상단 중간부 에는 마찰편(3)의 상단부에 형성한 안내홈(3a)에 끼워지는 일정폭과 길이의 안내레일(4c)을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는 한편, 그 절결부(4)의 하단 후측부에는 손잡이부(1b)의 전방에 설치되는 당김레버(5)의 상단일측 내면부가 접촉 지지되는(4e) 역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고, 그 받침대(4e)의 반대측 즉, 상기 안내레일(4c)의 후측단에는 마찰편(3)의 후면 상단이 접촉되는 구형(矩形) 정지 돌기(4f)를 내향 돌출 형성되게 하였다.
또한, 이와같이된 지지부(1a)의 하단에 형성되는 보강편(1c)의 만곡단부에는 소정크기를 가지는 반원형 유착편(1f)을 지지부(1a)의 설치방향과 평행하게 상향 절곡 설치하고 그 유착편(1f)과 그에 대응하는 지지부(1a)에 대향되게 형성한 축공(1g)(1g')에 당김레버(5)의 상단 유착부를 축핀(6)으로 유착하여, 그당김레버(5)의 선단에 설치한 작동핀(7)의 스프링(8)으로 탄력 설치되는 마찰력(3)의 후면 하단부에 접촉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체(1)의 전방 상. 하단에 위치하는 보강편(1c)(1c')의 외측단부에는 공기 코킹제 카트리지의 주출구가 삽입되는 삽지링(9)이 선단에 고정된 상. 하 지지간(10)(10')의 후단이 용착고정되게 하였은바 이와 같이 설치되는 각기 지지간(10)(10')은 상기 동체(1)와 같은 두께를 가지는 평판소재를 T 자형으로 중첩 절곡하여 그 지지강도를 보강하게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마찰편(3)의 후진이동에 따른 피스턴 로드(2)의 후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체 보강편(1c')에 설치한 제동편이고, 12는 그 제동편(11)을 탄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를 설치시에는 그 상단 양측에 형성한 요빕부(11a)가 동체 보강편(1c')에 형성한 삽지공(1h)에 끼워지게 하여 간단히 체결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동체 절결부(4)의 하단 전방 모서리부에 형성된 4d는 본 고안 동체(1)가 래치트타입 피스턴 로드를 가지는 코킹 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으로 변형사용될 경우, 그 절결부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피스턴 로드의 후진방지용 제동편을 설치할 수 있게 위한 유착부를 나타낸 것이고, 3b는 피스턴 로드(2)가 끼워지는 마찰편(3)의 삽입공이고, 13은 피스턴 로드의 선단에 설치한 피스턴, 14는 그 후단을 업셋단조 가공하여 형성한 후진용 손잡이를 각기 보인 것이다.
이사오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코킹 건의 사용에 따라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는 본 고안 코킹건의 당김레버(5)가 당겨지기 이전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일측 지지편 4b+과 마찰편ㅇ3(사이에 개재된 스프링(8)의 탄성으로 마찰편(3)의 후진되어 그 후면 상단부가 절결부(4) 상단의 정지돌기(4f)에 접촉지지되어 있고 마찰편(3)의 하단이 당김레버(5)선단의 작동핀(7)을 밀어 그 작동핀(7)이 절결부(4)의 후단 모서리부에 접촉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동체(1) 전방의 호울더부에 코킹제 카트리지를 장착하여 당김레버(5)를 당기면 당김레버(5)가 축핀(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그 상단의 작동핀(7)이 피스턴 로드(2)에 끼워진 마찰편(3)의 하단을 전방으로 밀게 되므로, 마찰편(3)의 삽입공(3b)과 그에 끼위진 피스턴 로드(2)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턴로드(2)를 일정거리만큼 전진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턴로드(2) 선단의 피스턴(13)이 카트리지에 내장된 코킹제를 소정량씩 압출하게 됨은 공지와 같다.
그러나, 상기한 당김레버(5)는 작동핀(7)이 설치된 그 선단 일측 내면부가 체결부(4)의 하단에서 외향절곡 형성한 받침편(4e)의 선단에 접촉지지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 동체의 지지부(1a)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축핀(6)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당김레버(5)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 할수 있으며, 또한 그 당김레버(5)를 당김에 따라 전진이동되는 마찰편(3)은 그 상단부의 안내홈(3a)이 절결부(4)상단의 안내레일(4c)을 따라 안내되므로 마찰편(3)의 원활하고 안정된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중 제4도는 본 고안 코킹 건의 다른 실시에를 보인 것으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관작업으로 성형되는 동체 지지부(1a)의 절결부(4) 전. 후단에 상기한 각 지지편(4b)(4b')을 형성하는 대신에, 그 절결부(4)의 전. 후방지지부(1a) 자체를 외향 절곡하여 피스턴로드(2)의 일측 주연부가 삽입 지지되는 반원형지지편(1i)(1i')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들 양지지편(1i)(1i')의 타측기에는 각 지지편(1i)(1i')에 대응하는 별도의 지지편(15)(15')을 용착 고정하여 전진 이송되는 피스턴 로드(2)의 이동경로를 보다 안정되게 설정할 수 있게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코킹 건은 동체(1)자체의 지지강도를 보강하는 일정폭의 보강편(1c)(1c')과 피스톤로드(2) 및 당김레버(5)를 지지하는 각 지지체, 다시 말하자면 지지부(1a)에 형성한 전. 후 안내편 (1d)(1d')과 지지편(4b)(4b')(또는 1i, 1i') 및 정지돌기(4f)그리고 유착편(1f) 및 받침편(4e)등이 프레스 가공에 의한 일관 작업으로 성형되어 그 전체 조립부위가 동체(1)의 일측으로 노출되게 되므로 가공조립이 간편 용이하여 그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종래 코킹 건에 비하여 원자채의 소요량을 반감하고 제품 전체의 중량을 가볍게 하여 제조 원가를 현저히 절감하고 그 취급 사용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그 동체의 지지부(1a)에 설치되는 피스턴 로드(2)가 상기한 각 지지체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당김레버(5)와 피스턴 로드(2)의 조작 및 이동을 보다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할수 있게 하여 제품의 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마찰편(3)이 끼워지는 피스턴로드(2)와 제동편(11) 및 당김레버(5)가 설치되는 동체(1) 지지부(1a)의 하측에 손잡이부(1b)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동체 지지부(1a)의 전방단부에는 코킹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호울더부가 연결 설치되는 코킹 건에 있어서, 평판상 동체(1)의 양측 주연부에 일정폭의 보강편(1c)(1c')을 일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고 그 지지부(1a)의 전, 후단부에는 피스턴 로드(2)가 삽입되는 U자형 안내편(1d)(1d')을 상기 각 보강편(1c)(1c')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는 한편, 마찰편(3)이 설치되는 구형(矩形) 절결부(4)의 전. 후단에 피스턴 로드(2)가 지지되는 또 다른 지지편(4b)(4b')을 일체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절결부(4)의 상단에는 마찰편(3) 상단의 안내홈(3a)이 끼워지는 안내레일(4c)과 그 마찰편(3)의 후단이 접촉되는 정지돌기(4f)를 각기 형성하고, 그 하단 모서리부 내측에 형성한 받침편(4e)에는 일측 보강편(1c)에 일체로 형성한 유착편(1f)에 유착되는 당김레버(5)의 일측선단 내측부가 접촉 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 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지지부(1a)의 절결부(4)양측에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지지편(1i)(1i')을 일체로 형성하고, 각 지지편(1i)(1i')의 반대측에는 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별도 지지편(15)(15')을 용착 고정하여 피스턴 로드(2)가 삽입 지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 건.
KR2019860004779U 1986-04-11 1986-04-11 코킹 건(caulking gun) KR890006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779U KR890006759Y1 (ko) 1986-04-11 1986-04-11 코킹 건(caulking gu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779U KR890006759Y1 (ko) 1986-04-11 1986-04-11 코킹 건(caulking gu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195U KR870016195U (ko) 1987-11-24
KR890006759Y1 true KR890006759Y1 (ko) 1989-09-30

Family

ID=1925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779U KR890006759Y1 (ko) 1986-04-11 1986-04-11 코킹 건(caulking gu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7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195U (ko) 198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87389A1 (en) Light window lifter for vehicles
JP2003113912A (ja) 伝動装置用摺接ガイド
KR890006759Y1 (ko) 코킹 건(caulking gun)
JPH0747610Y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連結装置
US4819855A (en) Tag-pin attaching apparatus
JP2825567B2 (ja) 自動車の外部ドアー引き手
EP3797876A1 (en) Glue-saving mechanism, glue gun handle, glue gun and use method therefor
KR890004606B1 (ko) 스테이플러
CA2514361A1 (en) Control assembly for a door closer
JPH0426223Y2 (ko)
CN212551468U (zh) 折弯装置
GB2328643A (en) Clamping device for saw blades
PT90111A (pt) Ferramenta de puncionamento com matriz flutuante
US1983398A (en) Staple driving machine
JPH0137216Y2 (ko)
US6186588B1 (en) Sunroof device for a vehicle
US11052421B2 (en) Glue-saving mechanism, glue gun handle, glue gun and use method thereof
SU1217544A1 (ru) Ручной клепальный пресс
JPS5914141Y2 (ja) 止金打込機のマガジン
JPS6332765Y2 (ko)
JPH0111871Y2 (ko)
KR850003134Y1 (ko) 의자의 전·후 이동 제어장치
KR0114777Y1 (ko) 자동차용시트의 레버스프링
KR970006629Y1 (ko) 에어 택커(air tacker)의 장전통 구조
KR820002420Y1 (ko) 차량등의 활주식 창문용 와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