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572Y1 -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572Y1
KR890006572Y1 KR2019860012439U KR860012439U KR890006572Y1 KR 890006572 Y1 KR890006572 Y1 KR 890006572Y1 KR 2019860012439 U KR2019860012439 U KR 2019860012439U KR 860012439 U KR860012439 U KR 860012439U KR 890006572 Y1 KR890006572 Y1 KR 890006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ounter
address
character generator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023U (ko
Inventor
박종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2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572Y1/ko
Publication of KR880005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 발생장치
제1도는 종래 문자발생장치의 시스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도의 각부 동작 파형도.
제4도는 각문자 구성 도트매트릭스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카운터 20 : 제2카운터
30 : 문자발생기 40 : 변환기
본 고안은 일반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 문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카운터에 의해 일정한 문자패턴을 반복적으로 화면상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한 문자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발생장치는 모니터상에 소정의 문자나 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장치로 주로 제1도와 같이 구성된 회로를 사용한 기술이 널리 적용되어 왔었다.
제1도는 문자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롬(ROM)이 중앙처리장치(CPU)와 데이타 어드레스 및 콘트롤 버스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처리장치(CPU)의 출력단자 CRT를 제어하는 CRT 콘트롤러(CRTC)가 멀티플렉셔(MUX)의 입력측으로 연결된다. 상기 멀티플렉셔(MUX)에서 멀티플렉싱된 데이타가 비디오 램(V-RAM)으로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비디오 램(V-RAM)에서 출력된 데이타가 문자발생기(C-ROM)에 입력되어 소정의 문자이미지를 발생하여 쉬프트레지스터(SR)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프로그램이 수록된 롬(ROM)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중앙처리장치(CPU)가 처리하여 문자표시를 위한 문자코드 데이타를 멀티플렉셔(MUX)를 통해 비디오 램(V-RAM)에 기록하다. 그리고 상기 문자표시 모드(Mode)에서 중앙처리장치(CPU)가 CRT 콘트롤러(CRTC)를 제어하여 CRT 콘트롤러(CRTC)가 상기 비디오 램(V-RAM)의 리플레쉬 어드레스신호를 14비트 단위로 발생한다.
상기 리플레쉬 어드레스 신호가 멀티플렉셔(MUX)를 통해 비디오 램(V-RAM)에 입력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CPU)를 통해 저장된 상기 문자코드를 리플레쉬한다. 상기 리플레쉬 어드레스에 의해 출력된 문자코드 데이타가 문자발생기(C-ROM)에 입력되고 상기 CRT 콘트롤러(CRTC)에서 발생되는 4비트 정도의 행 라인 어드레스(RA0-RA3)가 상기 문자발생기(C-ROM)에 입력되는 문자발생기(C-ROM)에 이미 만들어져 있는 해당 이미지 문자가 발생된다. 상기 발생문자가 쉬프트 레지스터(SR)에서 직렬로 변환되어 비디오 출력신호로 CRT상에 원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리고 광고용이나 교육용 등의 특수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치에서도 상기 구성에 의해 일정한 형태의 문자를 반복적으로 화면상에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초에 중앙처리장치(CPU)의 제어에 의해 비디오램(VRAM)에 데이타만 기입해 두면 반복적인 동작은 CRT 제어기(CRTC)에 의해서 가능했었으므로 각 소자와 중앙처리장치(CPU)는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특히 상기 중앙처리장치(CPU)를 다른 작업의 처리를 위해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으며, 자주 바뀌지 않는 광고 안내용등에 사용할 경우 상기와 같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용도에 따라 원하는 문자를 발생할 수 있는 문자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고용 안내 및 교육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문자의 수와 도트의 해상도에 따라 쉽게 확장 변환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도트 클럭에 의해 문자 도트 매트릭스에 따라 문자구성을 조절하는 제1카운터와, 상기 문자구성 조절에 따라 문자수만큼 반복적인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와, 상기 반복적인 발생 어드레스에 의해 화면의 문자의 이미지가 기록된 순서대로 문자가 발생되는 문자발생기와, 상기 문자발생기에서 발생된 이미지의 병렬데이타를 쉬프트(Shift)하여 직렬로 변환 출력하는 변환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서, 도트 클럭을 지연하여 변환클럭을 발생하는 동시에 이 지연클럭을 카운트하여 선택문자의 행어드레스인 제1어드레스를 발생하며 카운트 완료시 다음 문자선택을 위한 캐리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10)와, 상기 제1카운터(10)의 캐리신호를 카운트하여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제2어드레스를 발생하며 카운트 완료시 초기화되어 카운트를 재개하는 제2카운터(20)와, 소정수의 문자 패턴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2카운터(20)의 제2어드레스에 의해 해당 문자를 억세스하며 상기 제1카운터(10)의 제1어드레스에 의해 문자의 행 도트를 출력하는 문자발생기(30)와, 상기 문자발생기(30)의 출력 도트 데이타를 상기 변환 클럭에 의해 직렬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변환기(40)로 구성된다.
제3도는 상기 문자발생기(30)가 8 x 8도트 매트릭스의 문자를 저장하고 있을시 제1카운터(10)의 출력파형도로서, 제3(a)도는 도트 클럭 파형도이고, 제3(b)도는 문자발생기(30)의 억세스 시간을 고려한 지연클럭 파형도이고, 제3(c)도는 1문자의 모든 행 라인의 어드레스 발생완료시 발생되는 캐리신호의 파형도이다.
제4도는 1문자가 8 x 8도트 매트릭스로 구성되었을시 문자발생기(30)에 기록되는 도트 형태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제2도, 제3도,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문자발생기(30)에는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들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문자들은 일정시간을 주기로 반복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원하는 문자수 만큼 저장되며, 상기 문자수들의 어드레스는 제1 및 제2카운터(10,20)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제1카운터(10)는 상기 문자발생기(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들의 각 행라인 데이타를 억세스하기 위한 제1어드레스를 발생하며, 제2카운터(20)는 상기 제1카운터(10)에서 선택된 문자의 모든 행라인 어드레스를 발생하였을시 발생하는 캐리신호에 의해 다음 문자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제2어드레스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카운터(10)는 1문자의 행라인 어드레스 수만큼을 카운트하는데, 입력되는 도트클럭을 카운트하여 상기 문자발생기(30)로 순차적인 제1어드레스를 발생하며, 카운트 완료시 캐리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제1카운터를 초기화하여 다시 카운트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카운터(20)는 상기 문자발생기(30)에 저장된 문자수 만큼을 카운트하는데, 상기 제1카운터(10)의 캐리신호를 카운트하여 상기 문자발생기(30)로 제2어드레스를 출력하며, 카운트 종료시 초기화되어 다시 처음부터 카운트를 개시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카운터(10,20)는 반복적으로 각각 제1 및 제2어드레스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문자발생기(30)는 상기 제2어드레스 영역내에 있는 문자에서 상기 제1어드레스가 지정하는 라인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병렬 출력하며, 변환기(40)는 상기 문자발생기(30)의 병렬 출력을 변환 클럭에 의해 직렬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변환클럭은 상기 도트클럭을 1-2클럭정도 지연한 클럭으로, 이는 문자발생기(30)의 억세스시간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문자발생기(30)에 저장된 문자수가 10개이고, 1문자가 제4도와 같이 8 x 8도트 매트릭스로 구성되어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1카운터(10)는 8진 카운터가 되며, 제2카운터(20)는 10진 카운터가 된다.
먼저 제3(a)도와 같은 도트클럭을 입력하는 제1카운터(10)는 상기 도트 클럭을 카운트하여 상기 문자발생기(30)로 8가지의 문자 행라인을 지정하기 위한 제1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1어드레스는 제4도와 같은 1문자 영역에서 R1-R8의 문자 행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이다. 이때 문자발생기(30)는 상기 제2카운터(20)에서 발생하는 제2어드레스 영역의 문자영역중, 상기 제1카운터에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제1어드레스에 의해 R1-R8의 문자 행라인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제1카운터(10)에서 카운트를 종료하면 제3(c)도와 같은 캐리신호를 발생하며, 제1카운터(10)는 다시 초기화되어 처음부터 카운트 재개한다.
상기 캐리신호가 발생되면, 제2카운터(20)는 1문자의 행라인 지정완료를 인지하고, 이를 카운트하여 다음 문자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제2어드레스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2카운터(20)는 캐리신호 발생시마다 업카운트(up count)하여 상기 문자발생기(30)로 제2어드레스를 출력하며, 10개의 문자지정 완료시에는 초기화되어 다시 처음부터 제2어드레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카운터(10,20)는 카운트 완료시 초기화되어 반복적으로 제1 및 제2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이때 문자발생기(30)는 상기 제2어드레스 및 제1어드레스에 따라 순차적으로 문자 행도트를 출력하며, 변환기(40)는 상기 문자발생기(30)의 출력을 입력하여 제3(b)도와 같은 변환클럭에 의해 직렬 도트 데이타로 변환하여 화면상의 비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의 매트릭스가 복잡할수록, 문자가 많아질수록 제2카운터(20)의 계수단위를 크게 하며, 또한 제3(a)도와 제3(b)도의 분주율도 크게 하여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발생기를 문자에 따라 교환하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와 일정한 내용의 문자, 그림, 도형이 고정적으로 내장된 문자발생기를 사용하여 동작에 따라 이미지를 발생시켜 출력 표시장치(CRT, LED, PLASMA, LCD 디스플레이, Neonsign 등)를 통해 간단히 반복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범용으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문자패턴을 반복적으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문자발생장치에 있어서, 도트 클럭을 지연하여 변환클럭을 발생하는 동시에 이 지연클럭을 카운트하여 선택문자의 행어드레스인 제1어드레스를 발생하며 카운트 완료시 다음 문자선택을 위한 캐리신호를 출력하는 제1카운터(10)와, 상기 제1카운터(10)의 캐리신호를 카운트하여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제2어드레스를 발생하면 카운트 완료시 초기화되어 카운트를 재개하는 제2카운터(20)와, 소정수의 문자 패턴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2카운터(20)의 제2어드레스에 의해 해당 문자를 엑세스하며 상기 제1카운터(10)의 제1어드레스에 의해 문자의 행 도트를 출력하는 문자발생기(30)와, 상기 문자발생기(30)의 출력 도트 데이타를 상기 변환 클럭에 의해 직렬 변환하여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변환기(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발생장치.
KR2019860012439U 1986-08-18 1986-08-18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 발생장치 KR890006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439U KR890006572Y1 (ko) 1986-08-18 1986-08-18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439U KR890006572Y1 (ko) 1986-08-18 1986-08-18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23U KR880005023U (ko) 1988-05-11
KR890006572Y1 true KR890006572Y1 (ko) 1989-09-28

Family

ID=1925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439U KR890006572Y1 (ko) 1986-08-18 1986-08-18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5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023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3120A (en) Enhanced video graphics controller
US453685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video signal information
US4926166A (en) Display driving system for driving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displays
US473778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 circuit with variable sequence of backplate scanning and variable duty factor
KR0140426B1 (ko)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JP2797435B2 (ja) 表示コントローラ
US5010324A (en) Sequential page unit image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control memory
US5068651A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890006572Y1 (ko) 카운터를 이용한 문자 발생장치
JPS58159578A (ja) 表示装置
US4901062A (en) Raster scan digital display system
Baskett et al. The design of a low cost video graphics terminal
JPH0223872B2 (ko)
JPS6217833Y2 (ko)
JPS59101697A (ja) カ−ソル表示方式
JPS58182691A (ja) Crtデイスプレイ装置
JPS587999B2 (ja) 表示装置
JP2613933B2 (ja) 表示容量変換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RU21017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и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KR890001307B1 (ko) 그래픽 색상 조절회로
SU15257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JPS58192082A (ja) キヤラクタデイスプレイにおける画面の2分割表示方式
SU48369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элементов чертежа
SU175346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экране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KR940004733B1 (ko) 화면의 수직분할 제어 및 그 어드레스 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