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550Y1 -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550Y1
KR890006550Y1 KR2019870001678U KR870001678U KR890006550Y1 KR 890006550 Y1 KR890006550 Y1 KR 890006550Y1 KR 2019870001678 U KR2019870001678 U KR 2019870001678U KR 870001678 U KR870001678 U KR 870001678U KR 890006550 Y1 KR890006550 Y1 KR 890006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support
seat plate
stroll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184U (ko
Inventor
이오걸
Original Assignee
이오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걸 filed Critical 이오걸
Priority to KR2019870001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550Y1/ko
Publication of KR880016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A"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받침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4(a)도는 받침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받침다리와 고정구의 단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받침다리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6도 (가)는 받참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받침다리와 고정구의 단면도, (나)는 (가)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판 4 : 고정구
4a : 걸림공 5 : 지지간
6 : 받침다리 7 : 걸림편
8 : 스프링 9 : 핀
10 ; 스프링
본 고안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판의 하방에 파이프를 ㄷ자 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받침다리를 설치하고 그 받침다리에 바퀴를 부착하여 흔들침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모차에 있어서, 받침다리를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이나 운반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유모차는 좌판의 전방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고정구를 결합하여 이 고정구에 받침다리의 양측선단을 끼워 고정하고 받침다리의 후방은 좌판 저면에 설치된 지지간과 결합하여 고정구와 지지간에 의해 좌판이 일정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유모차로 사용할 때에는 바퀴를 펴서 사용하고 흔들침대를 사용코저 할때에는 각 바퀴를 내측으로 접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모차는 고정구가 좌판의 전방에 고정식으로 결합되어 이 고정구가 단지 받침다리의 선단을 지지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장시 포장부피의 축소를 위해서는 받침다리를 고정구와 지지간으로 부터 분해한 상태로 포장하여야 했고, 이에 따라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직접 받침다리의 선단을 고정구에 끼운후 지지간과 결합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반대로 운반이나 장기간 보관시에는 받침다리를 다시 분해한 후 포장상자에 넣어 보관하여야 하는등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좌판의 전방에 고정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받침다리를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도 유모차의 포장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판(2)과 받침판(3)이 결합된 좌판(1)의 양측 하단부에 걸림공(4a)을 가진 고정구(4)를 설치함과 함께 좌판(1)의 후방 저면에는 지지간(5)을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고 고정구(4)와 지지간(5)사이에 결합되는 받침다리(6)의 양측 전방에는 걸림편(7)을 스프링(8)으로 탄력 설치하여 걸림편(7)이 걸림공(4a)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좌판(1)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구(4)를 핀(9)에 의해 결합하여 고정구(4)가 핀(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고정구(4)의 전면벽과 받침다리(6)의 전방 끝단부 사이에는 스프링(10)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받침다리에 결합된 바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모차의 사용시에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받침다리(6)의 양측을 고정구(4) 내로 밀어 넣어 받침다리(6)와 고정구(4)가 결합되게 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받침다리(6)의 양측 전방을 고정구(4)내로 삽입하여 받침다리(6)에 설치된 걸림편(7)이 고정구(4)에 형성된 걸림공(4a)에 이르게 되면 스프링(8)의 탄력에 의해 걸림편(7)이 걸림공(4a)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좌판(1) 역시 받침다리(6)와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모차를 사용하다가 운반이나 보관을 위해 유모차를 포장상자에 넣고저 할때에는 받침다리(6)를 절첩하여 포장부피를 축소시킨 후 포장하게 되는데, 받침다리(6)의 절첩시 먼저 걸림공(4a)에 끼워져 고정된 걸림편(7)을 눌러주면 제6도와 같이 받침다리(6)의 끝단부와 고정부(4)의 전면벽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해 걸림편(7)이 걸림공(4a)에서 이탈하게 되고 걸림편(7)이 걸림공(4a)과의 걸림상태에서 해제 된 후 좌판(1)을 하방으로 눌러주면 고정구(4)가 핀(9)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내측으로 절첩되어 포장부피가 축소되는 것이다.
즉, 유모차의 사용시에는 제3도와 같이 유모차 후방의 높이(h2)가 전방의 높이(h1) 보다 높아 받침다리(6)를 분해하지 않고 포장하는 경우 포장부피가 크게 되지만 본 고안을 이용하여 받침다리(6)를 절첩하는 경우 제5도와 같이 유모차의 전방과 후방이 같은 높이가 되므로 받침다리(6)를 분해하지 않고도 유모차의 포장부피를 축소시켜 포장할 수 있으며, 보관이나 운반 후 다시 사용코저 할때에는 좌판(1)의 후방을 들어 올려 주기만 하면 다시 걸림편(7)이 걸림공(4a)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별다른 조립 과정이 필요없이 유모차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유모차의 받침다리를 절첩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운반이나 보관시 포장부피의 축소를 위해 받침다리를 분해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시에도 받침다리의 조립이 필요없게 되어 유모차의 사용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좌판(1)의 전방 양측 하단부에 걸림공(4a)을 가진 고정구(4)를 설치함과 함께 후방 저면에는 지지간(5)을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고 받침다리(6)의 전방 양측에는 걸림편(7)을 스프링(8)으로 탄력 설치하여 걸림편(7)이 걸림공(4a)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것에 있어서, 고정구(4)를 핀(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고정구(4)의 전면벽과 받침다리(6)의 전방 끝단부 사이에는 스프링(10)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KR2019870001678U 1987-02-16 1987-02-16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KR890006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678U KR890006550Y1 (ko) 1987-02-16 1987-02-16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678U KR890006550Y1 (ko) 1987-02-16 1987-02-16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184U KR880016184U (ko) 1988-10-07
KR890006550Y1 true KR890006550Y1 (ko) 1989-09-28

Family

ID=1925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678U KR890006550Y1 (ko) 1987-02-16 1987-02-16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5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184U (ko) 198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466B1 (ko) 절첩식 놀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잠금장치
US5460430A (en) Seat for infant
US4798411A (en) Collapsible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US6594840B2 (en) Baby bouncer/bassinet
US5161811A (en) Trolley with a foldable seat assembly
US4921261A (en) Infant conversion stroller
US20230200558A1 (en) Crib
US6701547B2 (en) Foldable frame for bassinet, playyard, pen, stroller, and the like
CA2469501C (en) Foldable crib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814368B2 (en) Foldable stroller
US4245850A (en) Scissor frame lock
US5829826A (en) Convertible childs chair
US7059255B2 (en) Plastic tabletop with longitudinal mid-support arrangement for foldable table
US20030209883A1 (en) Sports utility stroller
KR890006550Y1 (ko) 유모차의 받침다리 절첩장치
TWM579607U (zh) Baby folding cart
US6086147A (en) Standard chair to rocking chair adapter
KR200321315Y1 (ko) 절첩식 휴대용 쇼핑카트
US3822069A (en) Compactly storable combination wagon, sled and chair device
KR200445283Y1 (ko) 접이식 테이블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US3009733A (en) Baby walker
KR200248107Y1 (ko) 절첩식 운반수레
CN218348323U (zh) 一种折叠脚架结构及其收纳箱
KR900004833Y1 (ko) 보행기용 지지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