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353Y1 -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 - Google Patents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353Y1
KR890006353Y1 KR2019840014619U KR840014619U KR890006353Y1 KR 890006353 Y1 KR890006353 Y1 KR 890006353Y1 KR 2019840014619 U KR2019840014619 U KR 2019840014619U KR 840014619 U KR840014619 U KR 840014619U KR 890006353 Y1 KR890006353 Y1 KR 890006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lad
fiber
cores
crosst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4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331U (ko
Inventor
슈우조오 스즈끼
이찌로오 오가사와라
히로시 요꼬다
신 스미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닛본 덴신덴와 가부시끼가이샤
신도오 히사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 쯔네오, 닛본 덴신덴와 가부시끼가이샤, 신도오 히사시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8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02B6/0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 G02B6/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with fibre bundle in form of pl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6Testing the alignment of vehicle headligh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
제1도는 종래의 다심 코어 파이버의 구조를 표시한 단면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 제2(d)도는 본 고안에 관한 파이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파이버의 굴절율 분포도.
제4도는 다심 코어 파이버에 있어서 코어직경에 대한 코어 중심간 거리의 비(d/2a)와 누화량(漏話量)(dB)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며, 제4(a)도는 종래의 구조도, 제4(b)도는 본 고안의 구조예.
제5도는 모우드 차수(M)와 누화량(dB)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제6도는 모우드 차수(M)와 모우드 손실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코어 2,5 : 제1크래트
3,6 : 제2크래트
본 고안은 각 코어의 중심간 거리가 짧아도 누설이 작은 전송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기계적 강도로 큰 다심 코어의 광전송용 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심 코어 파이버의 구조로서는, 제1도의 것이 알려져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1)가 거의 등간격으로 병렬로 착설되고, 크래드(2)가 이 코어(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다심 코어 파이버 구조에 있어서, 단위 단면적당의 코어의 수를 증가하기 위해서는 코어 직경을 일정하게 한 경우, 크래드의 두께를 얇게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으나, 이 경우, 인접 코어간의 거리가 작게되고, 통화용 전송에 상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누화(漏話)를 발생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이 때문에, 통상 인접코어 중심간의 거리(d)는 코어직경(2a)의 2배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여야만 하고 단면적당의 코어의 수를 증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이버는 크래드의 외주형상에 요부(凹部) (3)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파이버에 외적인 응력이 가해졌을때, 이 요부(3)에 응력이 집중되어, 통상의 단심 코어 파이버에 비해서 손상을 받기 쉬운 동시에 요부가 있기 때문에 파이버 바깥표면이 커지며, 따라서 파단확률도 크고, 높은 강도의 파이버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각 코어의 중심거리가 짧아도 누설이 작은 전달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기계적 강도도 큰 광전송용 다심코어 파이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어를 가지는 광 파이버에 있어서, 각 코어 중심이 대체로 일직선상에 있으며, 또한 서로 인접하는 코어 중심간의 거리가 파이버의 길이 방향에 따라 대체로 일정함과 동시에 각 코어를 둘러싸는 제1크래드의 굴절율이 코어의 굴절을 보다 작으며, 이 제1크래드를 둘러 싸는 제2크래드의 굴절율이 제1크래드의 굴절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a)도, 제2(b)도, 제2(c)도, 제2(d)도에 본 고안에 관한 다심코어 파이버의 단면 구조를 표시한다. 도시한 예는 어느것이나 코어가 4개의 경우에 관한 것으로서, 각 코어(4)는 그 중심이 대체로 일직선상에 등 간격으로 배열되며, 이 코어(4)를 피복하는 제1크래드(5)가 착설되고, 또 이 제1크래드(5)를 피복하는 제2의 크래디(6)가 착설되어 있다. 여기서 제2(a)도는 개개의 코어(4)를 제1크래드(5)가 피복한다. 이들을 또 제2크래드(6)가 피복하고, 이 제2크래드(6)는 서로 인접하는 상호간에 서로 연속된 구조예를 표시한다. 다음에 제2(b)도는 제1크래드(5)와 제2크래드(6)가 함께 연속하여 코어(4)를 피복하는 구조이며, 또 제2(c)도는 제1크래드(5)와 제2트래드(6)가 함께 연속해서 코어(4)를 피복하고, 또한 제2크래드(6)의 외주형상에 요부가 없고 외표면이 평탄한 경우의 구조예이다. 제2(d)도는 제1크래드(5)와 제2크래드(6)와의 경계면 및 제2크래드(6)의 외주형상의 어느곳에도 요부가 없는 구조예이다. 이들 각 구조예에 대해서, 각 코어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상에서의 단면 내굴절율 분포를 제3도에 표시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각 코어(4)의 굴절율(n0)에 대하여, 제1크래드(5), 제2크래드(6)의 굴절율(n1), (n2)은 각각 n0n1n2로 되어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코어 직경(2a)에 대한 코어 상호의 중심간 거리(d)의 비와 누화량(㏈)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여기서 코어와 제1크래드와의 굴절율 차이가 약 1%이고, 코어 직경이 20~100㎛의 다중 모우드 전달을 행하는 2길이의 다심 코어 파이버에 대해서, 제1도에 표시한 종래의 다심 코어 파이버의 경우, 코어 중심간 거리의 비와 누화량(㏈)과의 관계를 제4(a)도에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 관한 제2(d)도의 실시예에 대해서 코어 중심간 거리의 비와 누화량(㏈)과의 관계를 제4(b)도에 표시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누화량은 -30㏈ 이하가 요구되므로 종래의 구조예의 경우, 제4(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코어 중심간 거리의 비(d/2a)는 2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이버 전체의 굴절율이
의 관계에 의해서 정해지며, 제4(b)도의 그래프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같이 누화량 -30㏈에 있어서의 코어 중심간 거리의 비(d/2a)는 약 1.5부근이며, 종래의 구조예에 비하여 코어 중심간 거리를 대폭적으로 단축하여도 누화량이 작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즉 상술한 바와같은 굴절율 분포를 가지는 다심코어 파이버에 있어서는, 코어속을 다수의 모우드가 전파된다. 여기서 파이버는 표면 파선로이므로, 전파되는 광 에너지의 일부는 크래드내에 스며들어서 전파된다. 이 경우, 크래드 내로의 스며든 양은, 고차 모우드로 되어감에 따라서 많아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코어로의 누화량은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고차모우드의 쪽이 크게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제1크래드의 주위에 이보다 굴절율이 큰 제2크래드를 배설하고 있으므로 고차 모우드를 방사 모우드에 결합하기 용이하게 하며, 실효적으로 고차 모우드의 손실을 종래의 구조의 것에 비해서 크게 할수 있고, 이와 같은 고차 모우드의 저감에 의해서 누화량의 증대를 억제한 것이다. 이 관계를 제6도에 표시한다. 또한, 제2크래드의 손실을 제2크래드의 손실보다 크게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큰 누화량을 발생하는 고차 모우드로 될수록 그 손실을 크게하여, 이에 의해서 누화량의 증대를 억제한것으로서, 이 결과 제4(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누화특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 실시예의 경우 누화량을 -30㏈이하로 할려면 (d/2a)을 1.5이상으로 하면 되며, 종래의 것이 2이상 필요로 했던것에 비해 코어의 실장(室裝) 밀도를 약 3할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파이버의 강도에 대해서 보면, 일반적으로 크래드의 외표면적이 작을수록, 상처를 받기 쉽고, 단면적당의 강도는 향상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 제2(c)도, 제2(d)도에 표시한 구조예의 것은 크래드의 바깥표면에 요부가 없으며, 제1도에 표시한 종래의 것에 비해서 바깥표면이 작고, 강도가 향상된다. 또 유리 표면에 요부가 있는 경우, 외부응력이 파이버에 가해지면 이 요부에 응력이 집중하기 쉬워져서, 강도저하를 가져온다. 이 점에서 제2(c)도, 제2(d)도의 구조예의 것은 종래의 것에 비해서 강도가 향상된다. 기타, 표면에 요부가 없는 까닭으로 부수적인 효과로서 표면에 피복된 플라스틱을 제거하기 쉽다고하는 이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관한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는 실용상 여러가지의 이점을 가진다.

Claims (2)

  1.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코어(1), (4)를 가지는 광파이버에 있어서, 각 코어(1), (4) 중심이 대체로 일직선상에 있으며, 또한 서로 인접하는 코어(1), (4) 중심간의 거리가 파이버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대체로 인정함과 동시에 각 코어(1), (4)를 둘러싸는 제1크래드(2), (5)의 굴절율이 코어(1), (4)이 굴절율보다 작고, 이 제1크래드(2), (5)를 둘러싸는 제2크래드(3), (6)의 굴절율이 제1크래드(2) (5)의 굴절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크래드 및 또는 크래드보다 바깥쪽의 외주형상에 요부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
KR2019840014619U 1984-01-04 1984-12-31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 KR89000635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000084U JPS60112059U (ja) 1984-01-04 1984-01-04 コンバ−ゼンス装置
JP21 1984-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331U KR860008331U (ko) 1986-07-24
KR890006353Y1 true KR890006353Y1 (ko) 1989-09-21

Family

ID=3047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4619U KR890006353Y1 (ko) 1984-01-04 1984-12-31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12059U (ko)
KR (1) KR8900063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331U (ko) 1986-07-24
JPS60112059U (ja) 198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3852A (en) Multi core optical fiber
US4179185A (en) Coupler for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5855351B2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
US5353365A (en) Multi-waveguide cylindrical optical conductor for telecommunications cab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840007547A (ko) 광섬유
DK0405851T3 (da) Kabel, der har et ikke-metallisk armeringslag
US11828978B2 (en) Multi-core optical fiber and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
JP7528711B2 (ja) 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およびマルチコア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4795232A (en) Fibre optic cable responsive to microbending forces
US12007601B2 (en) Multi-core optical fiber and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
JPH02188706A (ja) 光ファイバカプラ
US11604312B2 (en) Multi-core optical fiber and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
KR890006353Y1 (ko) 광전송용 다심 파이버
US4647146A (en) Interconnection of optical fiber cables
US20230185017A1 (en) Multi-core optical fiber and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
CN115032739A (zh) 一种柔性光纤带
JP6096268B2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
JPS56135807A (en) Optical fiber cable
JPS6257002B2 (ko)
RU2153690C2 (ru) Одномодовое оптическое волокно
JPS5813504U (ja) 低漏話マルチコア光フアイバ
JPS6349707A (ja) 通信用光フアイバ
US20230152513A1 (en) Reduced clad dual-core optical fibers for optical fiber cables and optical fiber interconnects
JP2557097Y2 (ja) 光複合海底ケーブル
JPS61393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9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