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049Y1 -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 - Google Patents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6049Y1 KR890006049Y1 KR2019870006303U KR870006303U KR890006049Y1 KR 890006049 Y1 KR890006049 Y1 KR 890006049Y1 KR 2019870006303 U KR2019870006303 U KR 2019870006303U KR 870006303 U KR870006303 U KR 870006303U KR 890006049 Y1 KR890006049 Y1 KR 8900060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thread
- sides
- threading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7/00—Needle- or looper- threading devices
- D05B87/02—Needle- or looper- threading devices with mechanical means for moving thread through needle or looper ey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을 꿔는 기구의 외관을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을 꿔는 기구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제2(a)도는 사용되지 않는 상태의 단면도, 제2(b)도는 바늘에 실이 꿔어지는 상태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을 꿔는 기구의 작용도로서, 제3(a)도는 밀판의 이동에 따라 그 일측 밀대가 바늘의 귀에 실을 꿔는 상태의 설명도, 제3(b)도는 바늘에 꿔어진 실이 인출되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제3(c)도는 바늘과 실이 삽입관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 후 몸체 2,2' : 안내공
3,3' : 대, 소 바늘삽입관 5 : 밀판
6,6' : 좌, 우 밀대 7 : 조작버튼
9,9' : 환상요홈 10,10' : 안내링
본 고안은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에 따라 이동되어 대, 소 바늘에 각기 실을 꿔는 좌, 우 밀대를 밀판의 하부 양측에 대향되게 설치하여 기구 몸체의 양측에 돌출 설치되는 대, 소 바늘 삽입관의 상단이 기구몸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게함과 아울러, 각 바늘 삽입관의 수직 안내공 하단에는 바늘귀에 꿔어진 실이 원활히 인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안내링을 구비하여서 된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실을 꿔는 기구이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좌, 우 바늘 삽입공의 안내공을 통하여 관출되는 상, 하 밀대를 하나의 조작버튼으로 작동되는 일체형 밀판의 상, 하에 함께 형성하여 소유부품의 절감 및 그 조립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게함과 아울러 상, 하 밀대의 이동경로를 보다 안정되게 설정할 수 있게한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가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하여 1986년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19645호로 선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선원 고안의 실 꿔는 기구에 있어서는 기구 몸체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좌, 우 바늘 삽입관부가 소정높이를 가지는 기구몸체의 상단보다 높은 길이를 가지고 상부로 돌출 설치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만이 기구 몸체에 연결 지지되는 취약한 배열 설치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와같이 돌출된 양 바늘 삽입관부에 의하여 기구의 취급 사용시 거추장 스러움을 주게될 뿐만아니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등에 의하여 가장 많은 접촉을 갖게되는 취약부로 노출됨으로써 이들 각 삽입관부가 쉽게 파손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 바늘 삽입관부의 삽입공에 적교되게 관출되는 양 밀대엠 의하여 바늘 귀에 실이 꿔어진 상태에 섬 바늘을 인출할 경우에는 바늘을 따라 인출되는 실의 일단이 상호 조립된 전, 후 몸체의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미소한 틈새를 따라 끼워지게 되는 난점이 유발됨으로써, 그 바늘 및 실을 원활히 인출할 수 없게 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제반 결함 및 문제점을 갖지 않는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대, 소 바늘 삽입관에 관출되는 좌, 우 밀대가 밀판의 양측 하단에 일직선상으로 위치하게 함과 아울러, 기구몸체의 양측에 돌출 설치되는 대, 소 바늘 삽입관이 그 기구몸체와 같은 높이를 갖게하여 취급 사용시에 유발되는 바늘 삽입관부의 파손요인을 배제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이들 각 바늘 삽입관의 안내공 하단부에는 바늘 귀에 꿔어진 실이 전, 후 몸체의 결합부 틈새에 끼워지지 않게 하는 안내링을 설치하여 실이 꿔어진 바늘 및 그 실이 원활히 인출될 수 있게한 것인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각기 도시된 바와같이, 상호 대칭형으로 된 전, 후 몸체(1)(1')의 양측에는 안내공(2)(2')이 형성된 대, 소 바늘 삽입관(3)(3')이 상향 돌출 형성하고, 그 전, 후 몸체(1)(1')의 내부에 스프링(4)(4')으로 탄력 설치되는 밀판(5)에는 좌, 우 밀대(6)(6')가 형성되어, 조작버튼(7)의 조작으로 이동되는 각 밀대(6)(6')의 선단부가 각 바늘 삽입관(3)(3')의 안내공(2)(2') 하단에 직교되게 연통 형성된 바늘 귀통로(8)(8')를 통하여 각기 외부로 관출될 수 있게 되는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밀판(5)에 형성되는 좌, 우 밀대(6)(6')를 그 밀판(5)의 양측벽부 하단에 대향되게 형성하여 양 밀대(6)(6')가 동일직선상에 위치하게 하고, 상호 결합된 몸체(1)(1')의 양측에 설치되는 대, 소 바늘 삽입관(3)(3')의 선단이 그 몸체(1)(1')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갖게하는 한편, 이와같이 설치되는 대, 소 바늘 삽입관(3)(3')의 각 안내공(2)(2') 하단부 즉, 상기 바늘귀통로(8)(8')의 형성부 상측에는 일정폭과 깊이를 갖는 환상요홈(9)(9')을 안내공(2)(2')의 외측연부와 연통되게 형성하여 이들 각 환상요홈(9)(9')내에는 일정크기의 안내링(10)(10')이 각기 삽입되게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a, 5a'는 그 밀판(5)의 상단에 설치되어 후방몸체(1')의 상측에 설치된 수개의 체결겸 안내돌조(1a)에 의하여 지지 안내되는 안내편이고, 1b 및 1b'는 바늘(N)에 꿸실(T)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의 양측과 그 외측부의 대소바늘 삽입관(3)(3') 사이에 형성된 요입단부이며, 1c, 1c'는 상, 하 몸체(1)(1')의 조립을 위하여 전방몸체(1)의 체결요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각기 체결될 수 있게 설치되는 체결돌조겸 스토퍼를 보인 것이고, 1d 및 1d'는 상기 밀판(5) 및 그 좌, 우 밀대(6)(6')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안내겸 체결돌조이며, 11은 상호 체결조립되는 전, 후몸체(1)(1')의 하단에 결합되는 받침판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을 꿔는 기구는 상호 결합된 기구몸체(1)(1')의 양측에 돌출 설치되는 대, 소 바늘 삽입관(3)(3')의 선단부가 일정높이를 가지는 몸체(1)(1')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취급 사용할 경우 각 바늘 삽입관(3)(3')부가 쉽게 파손되지 않고 그 설치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보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b)도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 기구를 사용하여 작은 바늘에 실을 꿔는 일예를 보인 것으로, 이를 위하여는 종래와 같이 바늘(N)의 귀부분이 하부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바늘 삽입관(3')의 삽입공(2')을 통하여 바늘(N)을 삽입하고 그 내측의 요입단부(1b')에 실(T)을 걸친 후 전방몸체(1)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버튼(7)을 조작하여 그 내부에 설치된 밀판(10)을 이동시키게 되면, 제3(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일측의 밀대(6')가 외측으로 이동되며 그 선단부로써 상기 요입단부(1b')이 끼워진 (T)을 바늘귀통로(8')에 위치하는 바늘(N)의 귀에 끼워넣게 됨과 아울러 밀대(6')의 단부와 실(T)이 바늘귀통로(8')의 외부로 일정길이만큼 관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 버튼(7)을 조작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밀판(5)에 설치된 스프링(4')의 탄성으로 조작버튼(7)과 밀판(5) 및 밀대(6')가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그 바늘(N)의 귀에 꿔어진 실(T)의 일단부만이 상기 바늘귀통로(8')를 통하여 삽입관(3')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이와같은 상태에서 바늘삽입관(3')의 상부에 노출된 바늘(N)을 당겨 뽑게 되면 제3(b)도 및 제3(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늘(N)을 따라 인출되는 실(T)이 안내공(2') 하단의 환상요홈(9')내에 삽입관 안내링(10')을 따라 그 안내공(2')의 상부로 원활히 인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삽입관부(3')의 결합부에 실(T)이 끼워지는 현상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실을 꿔는 기구는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밀판을 이동시키고 그 좌, 우 밀대로써 기구몸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각 바늘삽입관의, 안내공에 삽입되는 바늘귀에 실을 꿸수 있게함에 있어서, 상기 밀판에 형성되는 좌, 우 밀대를 동일직선상에 위치시키어 양 바늘 삽입관의 선단이 기구몸체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갖게하고, 실이 꿔어진 바늘 및 그 실이 인출되는 각 바늘 삽입관의 안내공 하단에는 인출되는 실이 상, 하 바늘 삽입관의 결합부에 끼워짐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링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므로, 기구의 취급 사용시 유발되는 양 바늘 삽입관부의 손상요인을 배제하열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바늘에 꿔어진 실이 원활히 인출될 수 있게하여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 상호 대칭형으로 결합되는 전, 후 몸체(1)(1')의 양측에는 안내공(2)(2')이 형성된 대, 소 바늘 삽입관(3)(3')이 상향 돌출 형성하고, 조작버튼(7)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밀판(5)의 양측에는 안내공(2)(2') 하단의 바눌귀통로(8)(8')에 삽입관출되는 좌, 우 밀대(6)(6')가 설치되는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 우 밀대(6)(6')를 밀판(5)의 양측 하단에 일직선상으로 설치하여 양측 대, 소 바늘 삽입관(3)(3')의 선단이 몸체(1)(1')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갖게하고, 그 안내공(2)(2')의 하단에 형성한 환상요홈(9)(9')에는 바늘에 꿔진 실이 원활히 인출될 수 있는 안내링(10)(10')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06303U KR890006049Y1 (ko) | 1987-04-28 | 1987-04-28 |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06303U KR890006049Y1 (ko) | 1987-04-28 | 1987-04-28 |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9739U KR880019739U (ko) | 1988-11-28 |
KR890006049Y1 true KR890006049Y1 (ko) | 1989-09-11 |
Family
ID=1926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06303U KR890006049Y1 (ko) | 1987-04-28 | 1987-04-28 |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6049Y1 (ko) |
-
1987
- 1987-04-28 KR KR2019870006303U patent/KR8900060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9739U (ko) | 1988-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67076U (es) | Un aparato de sujecion y fijacion de seguridad combinado. | |
NZ215027A (en) | Injection syringe: provided with a secondary aperture for deaerating the syringe | |
KR890006049Y1 (ko) | 바늘에 실을 꿔는 기구 | |
KR860007674A (ko) |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용 체결관계류형 안내딤블 | |
KR900008096A (ko) | 재봉틀 | |
KR960016025A (ko) | 커넥터와 회로 기판 사이의 연결 구조물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커넥터 | |
US2317318A (en) | Knitting machine | |
US4492325A (en) | Needle threading device | |
GB827794A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iding machines | |
SU1227196A1 (ru) | Иглодержатель | |
DE59006933D1 (de) | Separator für Nahtmaschinen. | |
GB719597A (en) | Device for manufacturing thread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according to the ribbon meltspinning process | |
US2922597A (en) | Pendulous bobbin holder for spinning frames and the like | |
KR950004897Y1 (ko) | 투포원 연사기용 니이들 투입기 | |
KR860002109A (ko) | 중성자 소스봉의 위치 선정 기구 | |
KR830002074Y1 (ko) | 수편기용 캐리지 | |
KR970006629Y1 (ko) | 에어 택커(air tacker)의 장전통 구조 | |
JPH03104955A (ja) | ジャカードの横針押し用補助ロッド装置 | |
US2366137A (en) | Yarn guide means | |
KR200183348Y1 (ko) | 전자총 전극 조립장치의 전극 지지봉 | |
KR960000965Y1 (ko) | 색연필 교환 및 인출용 홀더 | |
US2628582A (en) | Self-threading sewing machine needle with improved block | |
KR910004112Y1 (ko) | 전압 철편의 조립장치 | |
KR870003288Y1 (ko) | 소켓의 딘레일 장착용 홀더 | |
KR960006296Y1 (ko) | 투포원 연사기(two-for-one twister)의 개량 트래버스바메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