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138B1 -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 Google Patents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138B1
KR890005138B1 KR1019870005833A KR870005833A KR890005138B1 KR 890005138 B1 KR890005138 B1 KR 890005138B1 KR 1019870005833 A KR1019870005833 A KR 1019870005833A KR 870005833 A KR870005833 A KR 870005833A KR 890005138 B1 KR890005138 B1 KR 89000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leakage
neon tube
rela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122A (ko
Inventor
박기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 주식회사
유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 주식회사, 유원영 filed Critical 한국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138B1/ko
Publication of KR89000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네온(Neon)관용 전자안정기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전압파형도.
*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류전원공급부 2 : 구형파발진부
3 : 릴레이구동제어부 T1: 누설승압트랜스
NL1: 네온관 TR1: 스위칭트랜지스터
D1,D1: 다이오드 R1,R2: 저항
RL1: 릴레이
본 발명은 누설승압트랜스에 입력되는 전원을 수십킬로헬쯔 (KHZ)이상의 고주파로 스위칭시켜 네온관을 점등시키게 한 네온관용 전자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네온관용 안정기는 누설프랜스의 입력전원을 상용주파수로 스위칭시켜 네온관을 점등시키게 되어있다. 그런데, 네온관은 다른 방전등에 비하여 방전을 개시하기위한 전압(네온관 1m당 1000V정도)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누설트랜스이 1차권선수에 대한 2차권선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야하고, 이에따라 누설트랜스이 권선수가 많아지게 되어 안정기의 체적이 커지게 되므로 소형, 경량화 할 수없을 뿐아니라, 네온관을 광고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미관상의 문제가 야기되는 결점이있었다. 또한, 네온관의 방전이 일단 개시되면 네온관의 등가저항값이 하락되어 네온관 양단의 전압이 방전 개시전압의
Figure kpo00001
정도로 떨어지므로 누설트랜스가 일반 트랜스일 경우 2차권선에 과부하가 걸려 트랜스가 소손된다. 따라서, 누설트랜스의 1차권선과 2차권선사이에 누설인덕턴스를 갖게 하여 2차권선의 부하가 변동하더라도 누설트랜스가 소손되지 않게 하였으나, 그 누설인덕턴스에서 필요없는 전력소모가 발생되고, 그 누설인덕턴스에서 발생되는 손실전력은 네온관에서 빛을 발하는데 필요한 전력보다도 훨씬크게 되어 안정기에서의 필요없는 전력소모가 대한히 크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례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설승압트랜스의 입력전원을 수십킬로헬쯔의 높은 주파수로 스위칭함으로써 코아를 작게 하여 그 트랜스를 소형, 경향화할 수 있게하고, 텔레비젼고압회로에 적용되는 플라이백회로와 스위칭레귤레이터에 적용되는 인버트회로를 겸용으로 체용함으로써 누설승압트랜스이 누설자속을 크게하지 않고서도 네온관의 방전개시에 필요한 피트전압과 네온관의 정상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모두 얻을 수 있게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류전원공급부(1)의 직류전원출력단자(B+)를 누설승압트랜스(T1)의 1차권선((T11)을 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콜랙터 및 다이오드(D2)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병렬접속된 스파크전압흡수용 콘덴서(C1)및 릴레이(RL1)으 스위치 (RS1)를 통한 후 다시 저항(R)및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상기 직류전원 공급부(1)의 직류전원출력단자(B+)및 1차권선 (T11)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수십 KHZ의 구형파를 발생하는 구형파발진부(2)으 출력측을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직류전원공급초기시에 일정시간동안만 고전위 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구동제어부(3)의 출력측을 상기 리레이(RL1)에 접속하며, 상기 누설승압트랜스(T1)의 2차권서((T12)을 네온관(NL1)및 저항(R2)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리레이 (RL1)의 수위치 (RS1)는 릴레이(RL1)가 구동될때 개방되고 구동되지 않을 때 단락되게 되어있고,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SW1는 주전원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전원스위치(SW1)를 단락하여 교류전원(AC)이 직류전원공급부(1)에 인가되면 그 직류전원공급(1)의 직류전원출력단자(B+)에서 직류전원이 출력되고, 이 직류전원은 누설승압트랜스(T1)의 1차권선(T11)을 통하여 스우칭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 인가된다. 한편, 이때 구형파발생부(2)에서 제2(a)도의 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십KHz의 구형파신호가 발생되어 스위칭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그 스위칭트랜지스터(TR1)는 온·오프동작을 빠른주기로 반복하게 된다. 또한, 이때 릴레이구도제어부(3)에서 일정시간동안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RL1)를 구동시키므로 그 릴레이(RL1)의 스위치(RS1)는 오프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위칭트랜지스터(TR1)가 온된 상태에서는 직류전원공급부(1)에서 출력된 전원이 누설승압트랜스(T1)의1차권선(T11)및 스위칭트랜지스터(TR1)를 통하게 되고, 스위칭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다이오드(D2)를 통하여 플라이백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누설승압트랜스(T1)의 1차권선(T11)에는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피크전압이 발생되고, 이 피크전압은 누설승압트랜스(T1)이 2차권선(T11)에 승압되어 유기되고, 이 유기전압이 네온관(NL1)에 인가됨으로써 방전이 개시된다. 이와같이 네온관(NL1)이 방전을 개시하여 정상적인 방전을 수행하게 되는 시점이후에는 릴레이구동제어부(3)의 출력측에 계속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RL1)이 구동을 중지시키므로 그의 스위치(RS1)는 단락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릴레이(RL1)의 스위치(RS1)가 단락되면서 발생되는 스파크전압의 콘데서 (C1)에서 흡수제거 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 (RL1)의 스위치(RS1)가 단락된 상태에서 스위칭트랜지스터(TR1)가 온될때 누설승압트랜스(T1)의 1차권서(T11)에 축적된 전류는 스위칭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될 때 릴레이 (TR1)의 스위치(RS1) 및 저항 (R1),다이오드(D1)를 통하여 흐리게 되므로 누설승압트랜스 (T1)의 1차권선(T11)에는 제2(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크전압이 발생됨이 없이 사인파에 가까운 파형의 전압이 발생되고, 이 누설승압트랜스(T1)와 1차권선(T11)에 발생된 전압은 2차권선(T12)에 승압되어 유기된후 네온관(NL1)에 인가되므로 네온관 (NL1)은 정상적인 방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이 공급되는 초기상태에서만 누설승압트랜스에서 피크전압이 발생되어 네온관의 방전이 시작되고, 일단 네온관의 방전이 시작되어 정상적인 방전상태로 되는 지점이후에는 누설승압트랜스에서 피크전압이 발생됨이 없이 사인파에 가까운 전압이 발생되어 네온관의 정산적인 방전이 수행되므로 누설승압트랜스의 누설자속이 적게되어 그 누설승압트랜스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게되고, 저렴한 전자안정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 누설승압트랜스에서 필요없는 전력소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정기 자체의 소비전력이거의 없게되고,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되며, 또 역율이 우수하고 방전효율이 향상되며, 또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광고용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릴레이구동제어부 및 구형파발진부의 구동을 간단히 제어하면 되므로 순차점동스위칭로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직류전원공급부(1)의 직류전원출력단자(B+)를 2차권선(T12)에 네온관 (NL1)이 접속된 누설승압트랜스(T1)의 1차권선(T12)을 통한 후 구형파발진부(2)의 발진출력신호에 의해 스위칭제어되는 스위칭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및 다이오드(D2)에 접속하고, 그 접속점을 전원공급초기시에만 릴레이 구동제어부(3)의 제어에 의해일정시간동안 개방되게 한 릴레이(RL1)의 스위치(RS1)및 저항(R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상기직류전원출력단자(B+) 및 1차권선(T11)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오관용 전자안정기.
KR1019870005833A 1987-06-09 1987-06-09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KR89000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833A KR890005138B1 (ko) 1987-06-09 1987-06-09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833A KR890005138B1 (ko) 1987-06-09 1987-06-09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122A KR890001122A (ko) 1989-03-18
KR890005138B1 true KR890005138B1 (ko) 1989-12-11

Family

ID=1926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833A KR890005138B1 (ko) 1987-06-09 1987-06-09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1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122A (ko) 198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8615A (en) Discharge lamp operating circuit
US5223767A (en) Low harmonic compact fluorescent lamp ballast
US5396155A (en) Self-dimming electronic ballast
GB2203607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 direct-current arc discharge lamp
US4525650A (en) Starting and oper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harge lamps
US4484107A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system
JPH06267674A (ja) 冷陰極管点灯装置
US4987347A (en) Lamp driver circuit
JPH08237959A (ja) 電源回路
US5635800A (en) Ballast circuit with a japped transformer flyback converter providing driving energy for start, glow and run modes of a lamp
KR840001992A (ko) 방전램프용 전자안정기
KR890005138B1 (ko) 네온관용 전자안정기
JP2001338789A (ja) 放電灯点灯装置
KR940003431A (ko)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회로
EP0091724A1 (en) Ballast apparatus for operating a discharge lamp
US6172464B1 (en) Compact screw-in fluorescent lamp
KR0169164B1 (ko) 순간점등형 형광램프 점등회로
KR950002537A (ko) 고압 방전등 구동장치
KR100545996B1 (ko) 메탈핼라이드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KR940007026Y1 (ko)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의 고압펄스 발생 장치
JP3291853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900002177Y1 (ko) 다등식 방전등용 안정기 점등회로
JP2691427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840002013B1 (ko) 전자식 형광등 점등장치
JPH0650677B2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