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426B1 - 씨 모오스 입력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씨 모오스 입력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426B1
KR890004426B1 KR1019860009885A KR860009885A KR890004426B1 KR 890004426 B1 KR890004426 B1 KR 890004426B1 KR 1019860009885 A KR1019860009885 A KR 1019860009885A KR 860009885 A KR860009885 A KR 860009885A KR 890004426 B1 KR890004426 B1 KR 89000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gion
semiconductor
semiconductor regio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783A (ko
Inventor
장득수
강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0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426B1/ko
Publication of KR88000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4Thyristor-type devices, e.g. having four-zone regenerative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씨 모오스 입력 보호회로
제1도는 종래의 씨 모오스 입력 보호 회로도.
제2도는 폴리실리콘 저항을 사용한 제1도의 종래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확산저항을 사용한 제1도의 종래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입력전압과 전류의 관계 특성 곡선도.
제6도는 제4도의 회로도를 반도체 장치에 실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X-X'에서의 단면도.
본 발명은 씨 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개량된 입력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전압의 입력전압에 대해 씨 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 다이오우드와 폴리 저항을 게이트 전극으로 하는 필드 트랜지스터로 된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MIS(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구조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같은 절연막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는 게이트 전극 아래에 있는 게이트 절연막이 강한 전계에 의해 파괴가 된다. 이 강한 전계는 인체 또는 포장재료에 충전된 정전기가 상기 반도체 장치를 통해 방전하면서 높은 서어지 전압이 입력하면서 발생한다. 특히 사람이 상기 반도체 장치를 취급하면서 인체에 충전된 정전기가 정전방전(Electro Static Discharge ; 이하 ESD라 칭함)에 의해 상기 절연층이 파괴되는 일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씨 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층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입력 보호회로가 있다. 입력패드(10)에 저항 R1이 접속되어 씨 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단자(12)가 접속되며 상기 게이트와 병렬로 클램핑 다이오우드 D2및 클램핑 다이오우드 D1이 각각 접지 및 공급전압(Vcc) 단자(11)에 접속된다.
제1도의 저항 R1은 폴리실리콘 저항일 수도 있고 확산저항일 수도 있다.
저항 R1이 폴리실리콘 저항일경우 제1도의 입력 보호회로를 반도체 칩상에 실현한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 제2도이다.
제2도의 종래의 입력보호 방법은 Dewitt G.Ong이 저술한 Modern Mos Technology의 제273면에 게재된 방법으로써 N형 기판(19) 상에 입력패드(10)가 폴리실리콘 저항(13)과 접속되어 있고 P형 웰(18) 내에 N+P접합 디이오우드(15)가 형성되고 이 다이오우드를 둘러쌓고 반도체 표면에 P+의 보호링(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도체 기판(19) 표면에는 P+N접합 다이오우드(17)가 형성되고 이 다이오우드를 둘러쌓고 상기 기판표면에 N+의 보호링(16)이 형성되어 제1도와 같은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도와 같은 종래의 폴리실리콘 저항을 사용한 입력보호 장치는 정전방전중 보호 다이오우드들(15)(17)이 순방향 바이어스가 될때 전류가 상기 보호링들에 의해 수집되거나 션트(Shunt)가 되기 때문에 래치업에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형 웰(18)과 기판(19)은 고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전압방전중 상기 보호 다이오우드(15) 또는 (17)의 역방향 브레이크다운 동작에 의한 상기 보호 다이오우드(15)와 보호링(14) 사이의 동적저항과 상기 보호 다이오우드(17)와 보호링(16) 사이의 동적저항이 커져 게이트 절연막의 파괴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적저항을 작게하려면 기판과 웰의 저항을 낮추거나 보호다이오우드들의 형성면적을 크게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판과 웰의 저항을 저항을 낮추려는 것은 반도체 장치에 사용하는 전압이 낮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보호 다이오우드들의 형성면적을 크게 하는 것은 칩의 크기를 크게하는 것이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폴리실리콘 전항을 사용하는 입력 보호회로는 래치업에는 이점이 있으나 높은 정전방전에 대해서는 불이익을 갖게된다.
제3도는 제1도의 저항 R1을 확산저항으로 한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와 다른점은 고정항의 확산저항층(21)을 형성한 것이외에는 동일하다. 제3도의 확산저항 R2을 사용하는 것은 상기 확산저항층(21)과 기판사이의 분포 다이오우드가 상기 확산저항 R2에 의해 높은 정전방전 전압에 유리한 점이 있음은 1971년 3월에 발행된 IEEE TRANSACTION ON ELECTRON DEVICES의 제 250-252면에 기재된 바와같다.
그러나 이와같은 확산저항을 사용하는 입력 보호회로는 확산저항층(21)과 기판(19)과 웰(18)로 이루어지는 PNP의 횡방향 트랜지스터 Q1와 기판(19)과 다이오우드 형성영역(15)으로 이루어지는 NPN의 종방향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는 PNPN구조가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횡방향 트랜지스터(Q1)의 전류증폭율 β1은 1이하의 작은값을 갖게되고 종방향 트랜지스터(Q2)의 전류증폭율은 통상수십의 값을 갖게 되므로 만약 β12가 1보다 크게되면 이 PNPN구조의 SCR은 트리거되어 전류증폭 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반도체 장치가 파괴되는 문제가 일어난다.
이와같은 래치업의 현상은 P+의 보호링(14)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의 저항 RW2즉 P형 웰(18)의 저항값을 작게하면 방지될 수 있으나 P형 웰(18)의 저항값을 작게하는 것은 전술한 반도체 장치의 동작전압을 낮추는 것이 되어 한계를 갖게된다.
따라서 제3도의 확산저항을 사용하는 입력 보호회로는 높은 정전방전에 대해서는 이점을 갖게되나 래치업에 있어서는 불이익을 갖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업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정전방전에 의한 게이트 절연층의 파괴전압을 높일 수 있는 개량된 씨 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입력보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칩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씨 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입력보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씨 모오스 반도체 장치의 입력 보호회로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중 입력단자(30)는 반도체 장치의 금속도체층으로 형성되어 도선 용접이 되는 입력패드와 접속되는 단자이다.
상기 입력단자(30)와 직렬로 접속된 저항 R1과 R2는 폴리실리콘으로 된 저항이며, 출력단자(31)는 도시하지 않은 씨 모오스 반도체 장치에 접속이 된다.
또한 출력단자(31)에는 양의 서어지 전압을 방전을 하기 위한 클램핑 다이오우드 D1의 애노드와 접속이 되며 상기 다이오우드 D1의 캐소드는 전원공급전압 VDD와 접속이 된다.
한편 상기 출력단자에는 음의 서어지 전압방전을 위한 클램핑 다이오우드 D2의 캐소드와 접속이 되며 애노드는 통상적으로 접지가 되는 반도체 기판 전압 저압 VSS에 접속이 된다.
또한 상기 폴리실리콘으로 된 저항 R1은 피형 필드 트랜지스터 FTP의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되며 상기 저항 R1의 하부는 두꺼운 필드 산화막으로 된 게이트 절연막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필드 트랜지스터 FTP의 소오스는 단자(33)를 통해 전원공급전압 VDD에 접속이 되며 드레인은 출력단자(31)과 접속이 된다.
또한 폴리실리콘 저항 R2도 엔형 필드 트랜지스터 FTN의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된다. 상기 필드 트랜지스터 FTP의 소오스는 반도체 기판에 접속이 되고 드레인은 출력단자(31)에 접속이 된다.
지금 입력단자(30)로 전원공급전압 VDD보다 큰 양의 서어지 전압 또는 정전방전 전압이 입력하고 상기 전압이 엔형 필드 트랜지스터 FTN의 드레쉬홀드전압 VTFN보다 작다 가정하면 즉 VDD<VIN<VTFN일 경우 폴리실리콘 저항 R1및 R2는 전류를 제한하는 제한하는 작용을 하고 클램핑 다이오우드 D1이 도통을 하므로 V..-VIN에 의한 전류는 상기 다이오우드 D1을 통해 전원공급단자(32)를 통해 전원으로 흘러나간다.
따라서 출력단자(31)에 접속된 씨 모오스 반도체 장치는 보호가 되게 된다.
한편 양의 서어지 전압이 상기 전워공급전업 VDD및 엔형 필드 트랜지스터 FTN의 드레쉬홀드 전압보다 크다 가정하면 폴리실리콘 저항 R1및 R2와 클램핑 다이오우드 D1및 엔형 필드 트랜지스터 FTN이 보호회로로 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VIN-VDD에 의한 전류는 클램핑 다이오우드 D1및 전원공급단자(32)를 통해 전원으로 흘러나가며 동시에 VIN-VTFN에 의한 전류는 클램핑 다이오우드 D1및 전원공급단자(32)를 통해 전원으로 흘러나가며 동시에 VIN-VTFN에 의한 전류의 일부는 상기 엔형 필드 트랜지스터 FTN의 도통에 의해 반도체 기판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다이오우드 D1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종래 회로보다 작기 때문에 래치업에 유리한 점을 준다.
또한 음의 서어지 전압이 반도체 기판에 공급되는 기판 전압 VSS(통상적으로 접지) 보다 작고 피형 필드 트랜지스터 FTP의 드레쉬홀드전압 VTFP보다 크다고 가정하면 폴리실리콘 저항 R1및 R2와 클램핑 다이오우드 D2의 동작에 의해 VSS-VIN에 의한 전류는 반도체 기판에서 상기 클램핑 다이오우드 D2와 폴리실리콘 저항 R2및 R1을 통해 입력단자(30)로 빠져나간다.
한편 입력단자(30)로 입력하는 음의 서어지 전압이 피형 필드 트랜지스터 FTP의 드레쉬홀드전압 VTFP보다 작다고 가정하면 폴리실리콘 저항 R1및 R2와 클램핑 다이오우드 D2및 피형 필드 트랜지스터 FTP가 보호회로로 동작을 하므로써 VSS-VIN에 의한 전류는 클램핑 다이오우드 D2를 통해 흘러나가고 VSS-VIN-VDD에 의한 전류는 피형 필드 트랜지스터 FTP를 통해 전원공급단자(33)의 전원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피형 필드 트랜지스터 FTP를 통해 입력전류가 분류되므로 클램핑 다이오우드 D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래치업에 유리한 점을 주게 된다.
제5도는 입력전압에 대해 제4도의 각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특성곡선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면중 A는 폴리실리콘 저항 R1및 R2에 흐르는 전류는 나타낸 것이며 B 및 B'는 각각 엔형 및 P형 필드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낸 것이고 C 및 C'는 클램핑 다이오우드 D1및 D2에 흐르는 전류는 나타낸 특성곡선이다.
또한 도면중 VT는 클램핑 다이오우드 D1및 D2의 정방향 드레쉬홀드전압(통상적으로 실리콘의 경우 0.7볼트)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입력저항과 클램핑 다이오우드만을 사용한 입력 보호회로는 제5의 A곡선과 같이 입력전압에 대해 다이오우드에 흐르는 전류가 선형적으로 증가함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제4도의 회로도에서 클램핑 다이오우드 D1및 D2에 흐르는 전류는 곡선 C 및 C'와 같이 되므로 전류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래치업 현상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회로도를 반도체 웨이퍼상에 실시한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중 절선 X-X'로 절단하여 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출발물질로 사용된 웨이퍼는 비저항 5-6Ω Cm N형 실리콘 반도체 기판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상기 웨이퍼중 제4도의 회로도만 나타낸 부분임을 유의하여야하며 각 제조공정은 공지의 공정들이다.
N형 기판(60) 상에는 씨 모오스 제조공정시 P채널 모오스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기판(60)과 반대가 되는 도전형인 P형 웰영역(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P형 웰영역(61)은 보론을 이온주입하여 형성한 영역으로써 깊이 약 5-6μ이다.
상기 웰영역(61)의 반도체 표면에는 고농도의 N형이 되며 상기 웰영역(61)과 N+P의 접합으로 제4도의 클램핑 다이오우드 D2가 되는 제1반도체영역(62)이 상기 웰영역(61)의 중앙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웰영역(61)의 반도체 표면에 상기 제1반도체영역(62)와 N채널영역(100)을 통해 이격하고 상기 제1반도체영역(62)을 둘러쌓는 고농도 N형의 제2반도체영역(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N채널영역(100)의 상에 있는 약 5000-6000Å의 필드 산화막(70) 상에는 인이 도우핑된 폴리실리콘층(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층(72)는 제4도의 폴리실리콘 저항 R2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상기 필드 산화막(70) 상에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반도체영역(62)과 제2반도체영역(63)을 횡방향으로 각각 드레인 및 소오스로 하고 상기 필드 산화막(70)을 게이트 절연막으로 하며 상기 폴리실리콘층(72)을 게이트전극으로 하는 제4도의 엔형 필드 트랜지스터 FTN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반도체영역(63)과 접하며 기판(60) 및 웰영역(61)의 반도체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웰영역(61)의 반도체영역과 횡방향의 트랜지스터 형성을 방지하고 소수 캐리어의 흐름을 방지하는 가아드 링(guard ring)이 되는 고농도 p형의 제3반도체영역(67)이 깊이 약 1.5μ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웰영역(61)과 필드 산화막(68)을 통해 이격한 기판(60)의 반도체 표면에는 상기 기판(60)과 P+N접합을 이루는 고농도 P형의 제4반도체영역(66)이 형성되 있다.
따라서 상기 제4반도체영역과 기판(60)으로 형성되는 접합면에 의해 제4도의 클램핑 다이오우드 D1이 형성된다.
상기 제4반도체영역(66)은 상기 기판(60) 표면상의 필드 산화막(69)에 의해 이격되어 상기 제4반도체영역(66)을 둘러쌓는 고농도 P형의 제5반도체영역(6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드 산화막(69)의 상부에는 보론이 도우핑된 폴리실리콘층(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층(71)의 상기 필드 산화막(69)의 상부에 CVD방법으로 도포되어 상기 제4반도체영역을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둘러쌓고 있으며 제4도의 폴리실리콘 저항 R1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4반도체영역(66)과 제5반도체영역(65)는 각각 제4도의 P형 필드 트랜지스터 FTN의 드레인 및 소오스가 되며 P채널영역(101) 상부에 있는 필드 산화막(69) 및 폴리실리콘층(71)은 각각 상기 필드 트랜지스터 FTN의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이 된다.
또한 상기 제5반도체영역(65)가 기판 표면에서 인접하여 형성된 고농도 형의 제6반도체영역(64)는 상기 제5반도체영역(65)을 둘러쌓고 있고 또한 제3반도체영역(67)을 필드 산화막(68)을 게재하여 둘러쌓고 있는 가아드링이 된다.
또한 필드 산화막(68)(70)과 산화막(73) 및 폴리실리콘층(71)(72)의 상부에는 패시베이숀이 되는 PSG(Phospho Silicate Glass) 층(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PSG층(74)의 상부에는 입력패드와 연결되는 제1금속도체층(75)이 형성되어 폴리실리콘층(71)과 개구(77)을 통해 오움익 접속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4반도체영역(66)은 제2금속도체층(76)과 개구(84)를 통해 오움익접속을 이루고 있을 뿐만아니라 개구(90)를 통해 제1반도체영역(62)와도 오움익접속을 이루고 있으며 폴리실리콘층(72)와도 개구(91)를 통해 접속이 되어 있으며 폴라인(92)을 통해 내부의 씨 모오스 반도체 장치와 접속이 된다.
또한 상기 PSG층(74)의 상부에 형성된 제3금속도체층(78)(79)는 각각 개구(80)(81)를 통해 폴리실리콘층(71)과 접속되며 각각 개구(82)(83)를 통해 또하나의 폴리실리콘층(72)과 접속이 된다.
또한 상기 PSG층(74)의 상부에 형성된 제4금속도체층(85)는 개구(86)를 통해 제5및 제6반도체영역(65) 및 (64)와 접속이 되며 상기 제4금속도체층(85)에는 전원공급전압 VDD가 인가된다.
따라서 가아드링이 되는 제6반도체영역(64)에는 전원공급전압 VDD가 공급되므로서 소수 캐리어를 수집하며 반도체 표면상에 횡방향으로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5금속도체층(87)은 개구(89)를 통해 제2및 제3반도체영역(63)(67)과 접속이 되고 상기 제5금속도체층(87)에는 기판전압 VSS가 인가된다.
따라서 가아드링이 되는 제3반도체영역(67)에 상기 기판전압 VSS가 인가되므로써 소수 캐리어의 수집이 일어나고 횡방향 트랜지스터의 형성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4도의 피형 필드 트랜지스터 PFT와 클램핑 다이오우드 D1이 형성되는 영역과 엔형 필드 트랜지스터 NFT와 클램핑 다이오우드 D2가 형성되는 영역이 제6반도체영역(64)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영역에는 전원공급전압 VDD가 인가되므로써 상기 두영역 사이의 채널형성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반도체 장치에도 누설 캐리어의 제공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게된다.
또한 폴리실리콘 저항 R1,R2가 되는 폴리실리콘층(71)과 (72)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 작은 면적으로 소기의 저항값을 얻을 수 있고 서어지전류 레벨의 결정을 작은 면적으로 효율성 있게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정전방전전압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래치업 형상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3)

  1. 씨모오드 반도체 장치의 입력 보호외로에 있어서, 입력패드와 접속되고 서어지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직렬접속의 한쌍의 저항(R1)(R2)와, 상기 직렬접속된 상기 저항의 출력단과 전원전압공급단자 및 기판전압공급단 사이에 각각 상기 전압에 대해 역방향으로 접속된 제1클램핑 다이오우드(D1) 및 제2클램핑 다이오우드(D2)와, 상기 제1클램핑 다이오우드(D1)와 상기 전원전압 공급단자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저항(R1)을 게이트전극으로 하는 피형 필드 트랜지스터(FTP)와, 상기 제2클램핑 다이오드(D2)와 상기 기판전압 공급단자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저항(R2)을 게이트전극으로 하는 엔형 필드 트랜지스터(FTN)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씨 모오스 입력보호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제1도전형의 기판(60)과, 상기 기판의 표상의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1도전형과 반대도전형의 웰영역(61)과, 상기 웰영역(61)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도전형과 동일도전형이며 상기 웰영역과 다이오우드 접합을 형성하는 제1반도체영역(62)과, 상기 웰영역(61)의 반도체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반도체영역(62)과 제1채널영역(100)을 이격하여 상기 제1반도체영역(62)을 둘러 쌓고 있는 제2반도체영역(63)과, 상기 웰영역(61) 및 기판(60)의 반도체표면에 상기 제2반도체영역(63)과 인접하며 기판공급전압(VSS)이 인가되고 가아드링을 형성하는 제3반도체영역(67)과, 상기 제1채널영역(100) 상의 절연막(7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우핑된 제1폴리실리콘층(72)과, 상기 웰영역(61)과 이격하고 기판(60)의 반도체 표면상에 형성된 상기 기판(60)과 반대도전형이며 상기 기판과 다이오우드 접합을 형성하는 제4반도체영역(66)과, 상기 제4반도체영역(66)을 둘러쌓고 있는 제2채널영역(101)을 개재하여 상기 기판(60)의 반도체표면에 형성된 상기 기판(60)과 반대도전형의 제5반도체영역(65)과, 상기 제5반도체영역(65)과 인접하며 상기 웰영역(61)과 필드 산화막(68)을 개재하여 이격되있는 가아드링을 형성하는 상기 기판(60)과 동일도전형이며 전원공급전압(VDD)가 인가되는 제6반도체영역(64)과, 상기 제2채널영역(101) 상의 산화막(69)의 상부에 형성되어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제2폴리실리콘층(71)과, 상기 제1및 제2폴리실리콘층(71)(72)과 산화막(68)(69)의 상부에 형성된 절연막을 형성하는 패시베이숀층(74)과, 상기 패시베이숀층(74)의 상부에 형성되며 입력패드와 접속되고 상기 제2폴리실리콘층(71)의 한 단부과 접속이 되는 제1금속도체층(75)과, 상기 제4반도체영역(66) 및 제1반도체영역(62)과 제1폴리실리콘층(72)의 한단부와 접속이 되는 제2금속도체층(76)과, 상기 제2폴리실리콘층(71)의 타단부와 상기 제1폴리실리콘(72)의 타단부와를 접속하는 제3금속도체층(78)(79)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및 제2폴리실리콘층(71)(72)이 원형 또는 사각형의 페루우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19860009885A 1986-11-22 1986-11-22 씨 모오스 입력 보호회로 KR890004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885A KR890004426B1 (ko) 1986-11-22 1986-11-22 씨 모오스 입력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885A KR890004426B1 (ko) 1986-11-22 1986-11-22 씨 모오스 입력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783A KR880006783A (ko) 1988-07-25
KR890004426B1 true KR890004426B1 (ko) 1989-11-03

Family

ID=1925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885A KR890004426B1 (ko) 1986-11-22 1986-11-22 씨 모오스 입력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4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783A (ko) 198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0401A (en) CMOS ESD protection circuit with parasitic SCR structures
US6399990B1 (en) Isolated well ESD device
KR100240872B1 (ko)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 및 그것을 구비하는 집적 회로
US5548134A (e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an integrated circuit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s
US5682047A (en) Input-output (I/O) structure with capacitively triggered thyristor for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US5465189A (en) Low voltage triggering semiconductor controlled rectifiers
KR100305238B1 (ko) Esd보호를위한실리콘제어정류기
US5903420A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ng circuit having a plurality of current paths in both directions
US6804095B2 (en) Drain-extended MOS ESD protection structure
KR890004472B1 (ko) Cmos 집적회호
US5751042A (en) Internal ESD protec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s
US4609931A (en) Input protection MOS semiconductor device with zener breakdown mechanism
US5504362A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KR100200352B1 (ko) 반도체 장치의 보호 소자
US4922317A (en) CMOS device having Schottky diode for latch-up prevention
EP0242383B1 (en) Protection of igfet integrated circuits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US7342281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 using triple welled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US4656491A (en) Protection circuit utilizing distributed transistors and resistors
US7075123B2 (en) Semiconductor input protection circuit
US6670678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SD protective transistor
JPH03224263A (ja) Cmos集積回路の静電放電保護構造
US5148250A (en) Bipolar transistor as protective element for integrated circuits
EP0257774A1 (en) Protection circuit for large-scale integrated circuit
JP3559075B2 (ja) Cmos技術の集積電子回路用の極性反転保護装置
US6894320B2 (en) Input protec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