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095B1 -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095B1
KR890004095B1 KR1019840002072A KR840002072A KR890004095B1 KR 890004095 B1 KR890004095 B1 KR 890004095B1 KR 1019840002072 A KR1019840002072 A KR 1019840002072A KR 840002072 A KR840002072 A KR 840002072A KR 890004095 B1 KR890004095 B1 KR 89000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tape cassette
motor
housing
magneti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9156A (ko
Inventor
미쯔하루 쯔루오까
게이지 사사끼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068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935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069708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953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01527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270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11796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0449A/ja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제1도의 장치내의 아답터자동 장착탈 기구의 평면도 및 측면다.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아답터의 일예를 상판을 걷어서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아답터에 수납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일예의 사시도.
제6도는 제4도의 아답터내의 모터와 복수의 검출 스위치와의 접촉을 도시하는 회로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4도의 아답터를 우측 및 좌측에서 본 사시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아답터 하우징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 인출 위치에 있을때에서의 상태를 도시하는 아답터 자동 착탈 기구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11a도는 아답터 자동 장착 탈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한 실시예의 회로도.
제11b도는 내지 제11d도는 아답터 자동 장착탈 기구의 모터의 제어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 2 : 전면 판넬
3 : 아답터(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
4 : 상판 5 :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
6 : 커버
10 : 아답터(테이프 카세트)자동 장착탈 기구
11 : 아답터 하우징 12, 13 : 수립 지지판
14, 15 : 측판 15a : 랙기어
16 : 저판 17 : 세폭개판
18 : 피니온 19a, 19b, 19c : 안내홈
20 : 테두리판 30 :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아답터
31 : 아답터 광체 32 : 앞쪽 덮개
33 :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 34 : 소형 테이프 카세트
53 : 카세트 광체 36 : 덮개
37, 38 : 모터 33, 38 : 윔
39 : 치차열 40, 61, 90, 91 : 기어
41 : 암 42 : 스위치 절환캠
43 : 폴 로크용 캠 44 : 특수체인
45, 51 : 로딩암 46, 52 : 축
47, 49 : 벨크 랭크 레버 48, 50 : 링크
53, 54 : 폴 55 : 자기테이프
56 : 테이프 결로 57, 62 : 로크레버
58 : 권취릴 59 : 로크 부재
60 : 톱커버 63 : 레버
64 : 접동 노브 64a : 계지부
65 : 좌측벽 66 : 돌출편
67 : 스프링 68 : 전지
69 : 우측벽 70 : 전원 입력단자
71 : 테이프 언로딩 개시 압력 단자
72 : 테이프 로딩 완료 검출 출력 단자
76 : 아답터 식별용 凹부 77, 84 : 비틀림 코일 스프링
80 : 전원 스위치 81, 82 : 접촉부 그룹
83 : 아삽터 검출 레버 81, 86 : 접동판
92 : 재생 버튼 93 : 기록 버튼
94 : 제1의 이젝트 버튼
95 : 소형 테이프 카세트「유」신호 출력 단자
96 : 톱 커버 폐개 신호 출력 단자
97 : 제2의 이젝트 버튼 99 : 조작 노브
100 : 제어장치
SW1A :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 검출 스위치
SW2A : 톱 커버 폐개 검출 스위치
SW3A : 테이프 언로딩 개시 스위치
SW4A : 보조 스위치
SW5A : 테이프 로딩, 언로딩 완료 검출 스위치
SW6A : 테이프 로딩 완료 검출 스위치
SW1 : 아답터 검출 스위치 SW2, SW3 : 아답터 삽입 검출 스위치
SW4 : 위치 검출 스위치
본 발명은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표준형 테이프 카셋트로부터 소형의 테이프 카세트를 표준형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할때 사용하는 아답터를 제안하였다.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하고, 테이프 로딩을 행하여 아답터내에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전면측 테이프 경로에 대응한 테이프 경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아답터가 기록 재생장치에 장착되는 것이다.
종래의 표준형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아답터내로 수납시키는 동작을 아답터가 장치내에 삽입되기 전의 단계에서 행하여지는 것으로,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교환할 경우에는, 아답터를 장치 밖으로 이탈시켜, 이후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교환하고, 아답터를 재차 장치내에 삽입하는 조작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복수개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순차교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교환하고자 할때마다 아답터를 장치밖으로 이탈시켜, 장치의 외부에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교환하고, 교환후에 아답터를 장치내로 재차 삽입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볼때 조작 방법이 불편하게 되어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소형 테이프 카세트 교환에 따르는 기록 재생 중단 시간이 길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하는 것이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와 대략 동일 형상을 하고, 이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소형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할때 사용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아답터가 삽입되는 아답터용 삽입구와, 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고 또한 이 아답터 삽입구내에 삽입된 상태에 있는 이 아답터에 접근 가능케 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를 설치하고, 이 아답터가 아압터 삽입구로부터 배출되지 않고 아답터 삽입구내에 존재하고 있는 상태로서, 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를 통하여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아답터에 수납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1)는, 앞쪽 판넬(2)에 아답터(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3), 상판(4)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5)를 가진다. 삽입구(5)에는, 커버(6)가 배면측을 축지되어서 설치하고 있다. 커버(6)는, 통상은 삽입구(5)를 닫고 있고(제3도 참조),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탈할때 열린다.
또 장치(1)내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아답터(테이프 카세트)자동 장착탈 기구(10)가 있다. 이 기구(10)는 대략 아답터 하우징(11)을 좌우의 수립 지지판(12), (13)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아답터 하우징(11)은, 좌우의 측판(14), (15)과 양 측판(14), (15)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하측의 저판(16)과 상측의 세폭 개판(17)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구조이고, 측판(14), (15)의 L자상 단면의 랙기어(15a)(측판(14)의 랙기어는 도시하지 않음)를 피니온(18)에 의하여 구동시키고, 수립 지지판(13)의 안내홈(19a), (19b), (19c) 및 수립 지지판(12)의 대응하는 안내홈(도시치 않음)에 안내하여, 아답터(카세트)를 삽입한 배출 위치 A와 아답터(카세트)장착 위치 B와의 사이를, 제10도에 도시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 인출 위치 C를 경우하여 이동시킨다. 또, 하우징(11)은, 위치 C가 스위치 SW4에 의하여 검출된 후 필요에 응하여 이 위치 C에 정지하게된다.
여기서, 위치 C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내에 삽입된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아답터(30)(제4도)의 톱 커버(60)가 상판(4)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5)와 대향하는 위치로 하고 있다. 이 위치 C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답터내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교환된다. 그리고, 아답터(30)는 상판(4)에 근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교환은 하기 쉽게 된다.
또, 상기 세폭 개판(17)은, 후술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 교환을 방해하지 않도록, 즉 위치 C에 있어서, 삽입구(5)를 가로지르지 않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 수립 지지판(12), (13)의 꼭대기 사이에는 내측을 뚫어낸 테두리판(20)이 가로질러 부착되어 있다.
제4도는 제1도의 장치(1)에 장착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아답터(30)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아답터(30)는, 아답터 광체(31)와, 앞쪽 덮개(32)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와 실질상 같은 외형 치수를 하며, 내부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부(33)를 가진다. 제5도는 수납부(33)에 수납되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도시한다. 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는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34)를 도시한다. 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는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보다 소형의 테이프 카세트이고, 자기 테이프를 수납한 카세트 광체(35)와, 이 전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통상은 닫혀 있으며 내부의 자기테이프를 보호하고 있는 덮개(36)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아답터(30)는, 내장되어 있는 모터(37)에 의하여 아답터내에서의 테이프로딩 동작이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모터(37)가 정상 회전하면, 모터(37)의 구동력이 윔(38) 및 치차열(39)를 통하여 기어(40)에 전달되고, 이것에 의하여 이것과 일체 형성하고 있는 암(41), 스위치 전환캠(42) 및 폴로크용 캠(43)이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암(41)의 회동에 의하여, 특수 체인(44)이 감겨져, 로딩암(45)이 축(4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회동한다. 이 암(45)의 회동은, 벨그 랭크 레버(47), 링크(48), 벨그 랭크 레버(49), 링크(50)를 통하여 로딩암(51)에 전달된 후, 암(45)이 축(52)에 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이점쇄선으로 가리키는 위치까지 회동한다.
각 로딩암(45), (51)의 회동에 폴(53), (54)이 수납부(33)내에 수납되어 있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로부터 자기테이프(55)를 인출하여, 아답터내에서 테이프로딩이 행하여지고,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의 전면측 테이프 경로에 대응하는 테이프 경로(56)가 형성된다. 그리고 풀(53)은, 상기 캠에 의하여 회동되는 로크레버(57)에 의하여 최종 위치에 로크된다.
또 모터(37)가 역전하면, 상기의 각 부재가 테이프 로딩시와는 역방향으로 동작하고, 로딩암(45)이 반시계 방향, 로딩암(51)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더우기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내의 권취릴(58)이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테이프 경로(56)를 형성하고 있는 테이프(55)가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내에 잠겨 수납되어서 테이프 언로딩이 행하여진다.
또 상기의 아답터(30)는, 링크(48)와 연동하는 로크 부재(59)가, 수납부(33)을 덮는 톱 커버(60)를 로크하고, 테이프가 카세트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톱 커버(60)가 불필요하게 덮개가 열리지 않도록 된다. 또, 기어(61)에는, 테이프 언로딩 동작시에 회전을 테이프 권취계측에 전달하는 일방향 크래치가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아답터(30)는, 톱 커버(60)가 열려 있는 때에는, 링크(48)가 로크 레버(62)에 의하여 계지 되어서 화살표 X1방향 변위를 제한당하고, 테이프 로딩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 아답터(30)내에는, 모터(37)에 관련하여 이하에 열거하는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스위치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아답터(30)내에 설치하고 있는 스위치에는 소형 부호 [A]를 붙이어서 표시한다. SWA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 검출 스위치이고, 소형 테이프 카세트(34)가 수납부(33)내에 수납되며, 레버(63)에 의하여 눌리어서 닫히게 된다. SWA는 톱 커버 폐개 검출 스위치이고, 톱 커버(60)가 닫힌 상태에서 닫혀진다. SW3A는 테이프 언로딩 개시 스위치이고, 접동 노브(64)를 화살표 X1방향으로 로크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시켰을때, 노브(64)와 일체의 계지부(64a)에 의하여 닫혀진다. 접동 노브(64)는 로크 부재(도시치 않음)에 의하여 슬라이드 조작 위치에 로크되어, 스위치 SW3A로 닫힘 상태로 보조된다. SWA는, 스위치 SW3A의 보조스위치이고, 로딩암(45)이 제4도중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테이프인출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하면 닫혀진다. 그리고, 이 보조 스위치 SW4A는 상기 스위치 SW3A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언로딩 개시후에 닫혀져서, 테이프 언로딩 완료 직전에 스위칭 SW3A가 개방하여도 모터 전원회로를 폐로시키며 통상은 당혀져 있으나, 로딩암(45)이 테이프 인출 완료 위치까지 회동하였을 때에 암(45)에 의하여 눌리어서 개방되고, 암(4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암(45)에 의한 계지를 해제시켜서 닫혀진다.
SW5A는 테이프 로딩, 테이프 언로딩 완료 검출 스위치이고, 상기의 스위치 절환캠(42)에 의하여 테이프 언로딩 완료시에 제6도중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환되고, 테이프 로딩 환료시에는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환된다. SW6A는 테이프 로딩 완료 검출 스위치이고,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한 시점에서 스위치 절환캠(42)에 의하여 닫혀진다. SW7A는 전원 절환 스위치이고, 통상은 닫혀져 있고, 아답터(30)가 하우징(11)내에 삽입되고, 아답터 광체의 좌측벽(65)으로 부터 돌출하고 있는 돌출편(66)(제8도 참조)이 스프링(67)에 저항하여 아답터 광체(31)내에 삽입될때 기방되며, 아답터(30)내의 전지(68)를 모터 회로로부터 이간시킨다.
또 아답터 광체(31)의 좌측벽(65) 및 우측벽(69)에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가 벽면으로부터 노출하는 상태로서 매설되어 있다. 단자는 아답터 광체(31)의 두께(높이)방향으로 줄지어 배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하우징측의 대응하는 접촉부아 접촉한다. 제3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벽(69)에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전원 입력 단자(70), 테이프 언로딩 개시 입력 단자(71), 테이프로딩 완료 검출 출력 단자(7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단자(7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이 위치 C로 되돌아 왔을때, 스위치 SW3A와 병렬로 접속되는 회로를 단자(71)를 통하여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제6도 참조). 단자(72)는 스위치 SW6A와 관련하고 있고, 스위치 SW6A가 닫혀지면, 테이프 로딩 완료 신호가 출력된다.
또 상기 좌측벽(65)에는, 아답터 식벽용 凹부(76)가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의 아답터(30)를 사용할 때의 조작 및 상기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우성 장치(1)의 전원 스위치(80)를 조작하여 온으로 하고,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아답터(30)를 삽입구(3)를 삽입한다. 아답터(30)는 화살표 Y1방향으로 눌리어서 제2도 및 제3도중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하우징(11)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아답터(30)의 좌우의 단자가 각각 하우징(11)의 좌우의 측판(14), (15)의 내면측의 접촉부(81), (82)가 접촉하고, 아답터(30)와 장치(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좌측판(14)측의 아답터 검출 레버(83)의 선단이 상기 凹부(76)내로 감입하여서, 검출 레버(83)는 코일 스프링(84)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을 회동한 위치에 있고, 아답터 검출 스위치 SW1는 닫혀져서 하우징(11)내에 아답터(30)이 삽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아답터(30)의 앞쪽 덮개(32)가 저판(61)의 좌우에 접동 가능케 설치하고 있는 일체의 접동판(85), (86)을 눌러 이것이 화살표 Y1방향으로 다소 접동하고, 회동압(도시치 않음)이 회동하여 측판(14), (15)에 부착하고 있는 아답터 삽입검출 스위치 SW2, SW3가 닫혀진다.
스위치 SW2, SW3가 닫혀지면, 모터(87)가 시동하여 정상 회전하고, 이 구동력이 윔(88), 윔휠(89), 기어(90), (91)등을 통하여 피니온(18)에 전달되고 이것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하우징(11)이 삽입된 아답터(30)와 더블어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더우기는 경사 상방으로 이동하여, 아답터(30)는 장치(1)내에 끌려 들어간다. 하우징(11)이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하는 위치 C에 도달하면, 측판(14)이 지지판(12)에 경사지어 부착되어 있는 위치 검출 스위치 SW4에 접하고, 스위치 SW4가 닫혀진다. 스위치 SW4가 닫혀지면, 모터(87)의 회전이 정지하고, 하우징(11)이 아답터(30)와 함께 위치 C에서 정지한다. 하우징(11)은 소정의 조작을 할때까지 위치 C에 정지한다.
이 이후에, 조작자는, 장치(1)의 상판(4)의 커버(6)를 수직 상태로 되게 덮개를 연다. 이것에 의하여 삽입구(5)가 열리고, 이 바로 아래에 아답터(30)의 톱커버(60)가 위치한다. 이어서, 순가락끝을 삽입구(5)에 삽입하여 아답터(30)의 노브(64)를 화살표 X1에 슬라이드 시키면, 톱 커버(60)가 로크를 해제시키고 코일 스프링(77)에 의하여 대략 수직 상태까지 회동하여 열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삽입구(5)를 통하여 아답터(30)의 수납부(33)내에 수납한다. 여기서, 커버(6) 및 톱 커버(60)는 함께 삽입구(5)의 안쪽의 위치에 수립하고 있고, 삽입구(5)의 앞쪽에는 장해물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는 용이하게 수납부(33)내에 수납된다.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수납한후, 톱 커버(60)를 닫고, 커버를 닫는다. 톱 버커(60)의 덮개가 닫힌 단계에서 스위치 SW1A, SW2A가 닫혀지고, 모터(37)가 장치(1)측의 전원을 단자(70)를 통하여 기동하며, 상기와 같이 아답터(30)내에서 테이프 로딩 동작이 행하여지고, 테이프 경로(56)가 형성된다.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하는 시점에서, 스위치 SW6A가 닫혀지고, 스위치 SW5A가 제6도중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환된다. 스위치 SW5A가 절환되면, 모터(37)가 정지한다.
또 스위치 SW6A가 닫혀지면, 단자(72)로부터 테이프 로딩 완료 신호가 장치(1)측에 출력되어서, 모터(87)가 재차 구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하우징(11)이 화살표 Z2방향으로 하강하여 위치 B로 이동하여, 아답터(30)가 제2도 및 제3도중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록 재생 장치(1)에 정착되어, 모터(87)가 정지한다.
이 상태로서 재생 버튼(92)을 조작하면 아답터(30)로부터 자기테이프(55)가 인출되어 드럼에 접하는 소정 테이프 경로에 장전되어서 주행하고 재생이 행하여진다. 재생 버튼(92)과 기록 버튼(93)을 동시에 조작한 경우에는 기록이 행하여진다.
현재 사용중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교환함에 있어서는, 제1의 이젝트 버튼(94)을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의하여, 모터(87)가 역전하여, 하우징(11)이 아답터(30)와 함께 화살표 Z1방향으로 상승하여 위치 C에 이르고, 여기서, 스위치 SW4A가 재차 닫혀지고, 모터(87)가 정지한다. 또 단자(71)를 통하여 스위치 SW3A와 병렬인 회로가 형성되어, 모터(37)가 역전한다.
따라서, 아답터(30)는 위치 C에서 정지함과 동시에, 아답터(30)에서의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여기서, 예를들면 테이프 언로딩 개시 타이밍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것이 하우징(11)이 위치 C로 되돌아오는 위치에서 닫혀지도록 하면, 테이프 언로딩 동작은 빠른 시점에서 개시되고, 아답터(30)가 위치 C로 되돌아온 후 테이프 언로딩이 완료할 때까지의 기다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최종 단계에 이르면, 톱 커버(60)의 로크가 해제되고, 톱 커버(60)가 스프링(77)에 의하여 수립 상태로 덮개가 열리고, 더우기는 커버(6)도 톱 커버(60)에 의하여 밀려서 자동적으로 열린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는, 삽입구(5)내에 손을 집어 넣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수납부(33)로부터 인출하여, 다른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부(33)내에 수납한다. 이어서 톱 커버(60)를 닫으면 상기의 경우와 동일하게 모터(87)가 정상 회전하고, 하우징(11)이 위치 B로 이동하여 아답터(30)가 장치(1)에 장착된다.
이와같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의 아답터(30)로부터의 인출 및 아답터(30)에의 장착은, 아답터(30)가 장치(1)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상테에서, 삽입구(5)를 통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 교환시 아답터(30)를 장치(1)밖으로 인출하는 불편이 없어지고,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 먼저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이 종료한후 다음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 재생이 개시될때 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즉, 기록 재생의 중단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C의 위치에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아답터(30)로부터 인출하여 아답터(30)를 빈 상태로하고, 톰 커버(60)가 닫힌 경우에는, 모터(87)는 기동하지 않고, 아답터(30)는 위치 C에 정지된 채로 된다. 이 상태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서, 장치(1)의 내부를 빈 아답터(30)의 보관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제1의 이젝트 버튼(94)를 재차 조작하면, 하우징(11)이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A로 되돌아오며, 빈 아답터(30)는 장치(1)밖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제8도중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답터 광체(31)의 좌측벽(65)에, 스위치 SW1A와 접속되어 소형 테이프 카세트「유」신호 출력 단자(95) 및 스위치 SW2A와 접속되는 톱 커버 폐개 신호 출력 단자(96)를 설치하여, 수납부(33)가 빈 상태로 톱 커버(60)를 닫았을 때에, 모터(87)가 역전하여, 빈 아답터(30)가 자동적으로 장치(1)밖으로 송출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의 이젝트 버튼(97)을 조작한 경우에는, 하우징(11)은 위치 C에서 정지하지 않고, 위치 B로부터 위치 A까지 이동하고, 아답터(30)는 삽입구(3)에 송출된다. 하우징(11)이 위치 A로 복귀하면, 모터(87)는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또 아답터(30)가 장치(1)외에 인출된 상태에서 테이프 언로딩을 행할 때에는, 접동 노브(64)를 화살표 X1방향으로 로크되는 위치까지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 SW3A가 닫혀지고, 모터(37)가 전지(68)에 의해 시동하고 역전하며,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행하여 진다. 테이프 언로딩 최종 단계에서, 톱 커버(60)가 로크를 해제하여서 덮개를 연다. 이 로크 해제 동작에 의하여 스위치 SW3A는 개방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스위치 SW4A는 닫혀져 있기 때문에, 모터(37)는 정지하지 않고, 테이프 언로딩 동작은 완료할 때까지 행하여지고,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완료한 단계에서 스위치 SW6A가 절환되어서 모터(37)가 정지한다.
또 상기의 아답터(30)에 있어서는, 장치(1)밖에서 아답터(30)내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장착하고, 톱 커버(60)가 닫히면, 모터(37)가 전지(68)에 의하여 회전하고, 테이프 로딩이 행하여진다. 테이프경로(56)가 형성된 아답터(30)에 있어서는, 스위치 SW6A가 덛혀져 있고, 단자(72)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고 있다. 이 때문에, 테이프 경로(56)가 형성되어 있는 아답터(30)를 삽입구(3)로부터 삽입한 경우에는, 상기의 빈 아답터의 경우와는 상이하고, 하우징(11)은 위치 C에서는 정디되지 않고, B위치까지 이동하고, 아답터(30)는 장치(1)에 장착된다.
또, 상기의 아답터(30)에 있어서 전지(68)가 제거되어 있을 경우에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수납부(33)에 수납하여도 테이프 로딩 동작은 행하여 지지 않는다. 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가 수납부(33)내에 수납만된 아답터(30)를 삽입구(3)로부터 하우징(11)내에 삽입하면, 모터(87)가 정상 회전하여 하우징(11)이 아답터(30)와 함께 이동하여 위치 C로 향한다. 또 아답터(30)가 하우징(11)내에 삽입되면, 장치(1)측의 전원이 단자(71)를 통하여 아답터(30)에 첨가되어, 모터(37)가 동작하여 아답터(30)내에서 테이프 로딩 동작이 개시된다. 즉, 아답터(30)는 내부에서 테이프 로딩 동작이 행하여지면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테이프로딩 동작이 위치 C에 도달한후 완료되고, 하우징(11)은 위치C에서 정지하지 않고 위치 B까지 이동하며, 아답터(30)가 장치(1)에 장착된다.
또,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하였을때에는, 검출 레버(83)가 테이프 카세트의 측면에 의하여 밀려서 회동하고, 스위치 SW1가 개방된다. 이 때문에, 하우징(11)은 아답터(30)가 삽입되었을 때와는 달리, 위치 C에서 정지하지 않고 위치 B까지 이동하여,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는 장치(1)에 장착된다. 이젝트 조작을하면, 하우징(11)은 직접 스위치 A까지 되돌아 오고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가 장치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의 아답터(30)는, 아답터 상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조작 노브(99)(기어(40)의 정상 부분)를 코인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회동시킴에 의하여서도 테이프 로딩 및 테이프 언로딩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수동에 의한 테이프 로딩 및 언로딩 동작이 지장없이 행하여지도록, 치차열(39)를 구성하는 기어에는 미끄러짐 크래치가 내장되어 있다.
또 하우징(11)내에 삽입된 것이 아답터(30)인 것의 식별을 톱 커버(60)가 덮개가 덛혀 있는 것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도록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凹(76)는 불필요하게 된다.
제11a도는 아답터 자동 장착탈 기구의 동작을 저어 회로의 한 실시예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현재 사용중인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교환 하는데 있어선 제1의 이젝트 버튼(94)를 조작한다. 이 조작으로 단자(101)에서 「H」레벨 신호가 가해지며, 플립플롭 회로(102)가 세트되며, Q단자에서 「H」레벨신호가 출력되어서 앤드 게이트(103)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가해진다. 한편, 이때, 스위치 SW4A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단자(104)의 신호는 「L」레벨에 있으며, 이것이 반전되어서 「H」레벨로 되어져서 상기의 앤드게이트(103)의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이젝트 버튼(94)의 조작으로 앤드 게이트(103)가 열리고 이것으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며, 이것이 오아 게이트(105)에 가해지고 오아 게이트(105)에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서 이것이 모터 구동 제어 회로(106)에 가해지며 회로(106)가 동작하여 모터(87)가 시동해서 역전된다. 모터(87)가 역전되면 하우징(11)이 아답터(30)와 더불어 화살표 Z1방향으로 상승해서 위치 C에서 이르며, 여기에서 스위치 SW4가 개방된다. 스위치 SW4가 개방되면 단자(104)가 「H」레벨로되며, 앤드 게이트(103)가 닫히며 오아 게이트(105)의 출력이 「L」레벨로 되며, 회로(106)의 동작이 정지되어서 모터(87)이 정지된다. 또, 제6도중 단자(71)을 거쳐서 스위치 SW3A와 병렬인 회로가 형성되며, 모터(37)이 역전된다.
따라서, 아답터(30)는 위치 C에서 정지됨과 더불어 아답터(30)내에서의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 스위치 SW4의 상기 개방에 따라서 노아 게이트(107)의 출력이 「H」레벨로 되며, 상기의 플립플롭 회로(102)가 리세트된다.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최종 단계에서 이르면 톱 커버(60)의 록크가 해제되며, 톱 커버(60)는 스프링(77)으로 인해 수직 상태로 덮개가 열리며, 또한, 커버(6)도 톱 커버(60)에 밀려서 자동적으로 열린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는 삽입구(5)내에 손을 집어 넣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수납부(33)에서 꺼내어 다른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부(33)내에 수납한다. 이어서 톱 커버(60)을 닫으면 스위치 SW1A, SW2A가 닫혀지며, 제6도의 모터(37)가 기동되며, 아답터(30)내에서 테이프 로딩 동작이 개시된다. 또, 스위치 SW1A, SW2A가 닫혀지면(이때 스위치 SW4는 닫혀져 있으며 단자(104)의 신호는 「H」레벨에 있다), 앤드 게이트(121)는 전부의 입력이 「H」레벨로 되어 열리며, 플립플롭 회로(122)가 세트되며, 이것으로 「H」레벨 신호가 출력되어서 앤드 게이트(123)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가해진다. 이때, 아답터(30)가 장착될때 닫혀져서 아답터의 장착을 검출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개방되어 있으며 단자(124)는 「L」레벨에 있으며, 이것이 반전되어서 「H」레벨로 되어서 상기의 앤드 게이트(123)의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가해져 있다.
이 때문에 플립플롭(122)가 세트되면 앤드 게이트(123)는 열리고 이것에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며 해당 회로(106)가 동작해서 모터(87)는 시동되어 정상 회전한다. 즉, C위치에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교환해서 톱 커버(60)을 닫으면 아답터(30)내에서 테이프 로딩 동작이 행해짐과 더불어 하우징(11)이 위치 B방향으로 이동하며, 아답터(30)는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치(1)에 장착된다. 아답터(30)가 장착되면 아답터 장착 검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닫혀지며, 단자(124)가 「H」레벨로 되며 앤드 게이트(123)이 닫히고, 회로(106)의 동작이 정지되어 모터(87)는 정지된다. 또, 상기 검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닫혀져서 노아 게이트(125)의 출력이 「H」레벨로 되며 상기 플립플롭 회로(122)는 리세트된다.
이같은 소형 테이프 카세트(34)의 아답터(30)에서의 인출 및 아답터(30)으로의 장착은 아답터(30)가 장착(1)의 내부에 머물고 있는 상태이며, 삽입구(5)를 통해서 이뤄지므로 소형 테이프 카세트 교환때마다 아답터(30)을 장치(1)밖에 꺼낼 번거로움이 없고 매우 편리해진다. 또 앞서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 재생이 종료된 다음 다음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 재생이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즉, 기록 재생의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즉, 기록 재생의 중단 시간의 단축이 이루어진다.
또, 예컨대 예정되어 있는 복수개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34)의 최후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는 C의 위치에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아답터(30)에서 꺼내어 아답터(30)을 빈 상태로 하고 톱 커버(60)을 닫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엔 단자(95)는 「H」레벨로 되며 단자(96)은 「H」레벨이 된다. 각 단자(95), (96)의 신호는 접촉부(81)를 통해서 앤드 게이트(108)에 가해지며, 이 출력측의 「H」레벨로 되며, 이 「H」레벨의 신호가 다음 단계의 앤드 게이트(109)의 (-)의 입력 단자에 가해진다. 이 앤드 게이트(109)의 다른 입력 단자에는 단자(104)에서의 「H」레벨 신호가 가해지고 있는데, 앤드 게이드(109)의 또한 다른 입력 단자는 「H」레벨에 있고, 앤드 게이트(109)는 닫힌대로 되며, 전기의 오아 게이트(105)의 출력은 「H」레벨인 채이며, 모터(87)는 기동하지 않는다. 이것으로 하우징(11)은 위치 C에 정지된 채로 되며, 빈 아답터(30)가 장치(1)의 내부에 유보된다. 즉, 장치(1)의 내부가 빈 아답터(30)의 보관에 이용된다.
이 때문에 그후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재생을 할 경우엔 커버(6)와 톱 커버(60)을 열어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삽입구(5)를 통해서 수납부(33)내에 수납하는 것만으로 되며, 아답터를 소정의 보관 장소에서 가지고 오거나 하는 번거로움도 없고 쓰기 편하게 된다.
이 빈 아답터(30)을 장치밖으로 꺼내고 싶을 경우엔 제1의 이젝트 버튼(94)을 재차 조작한다. 이 조작으로 단자(101)에서 「L」레벨의 신호가 앤드 게이트(109)에 가해지며, 앤드 게이트(109)가 열리며 플립플롭회로(110)가 세트된다. 이 세트 출력은 오아 게이트(111)에 가해지며, 오아 게이트(111)의 출력이 앤드 게이트(112)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가해진다. 여기에서 앤드 게이트(112)의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는 단자(113)에서의 카세트 배출 완료시에 「H」레벨로 되는 신호가 반전되어 가해지고 있으며, 아답터(30)가 장치(1)내에 있는 상태에선 앤드 게이트(112)의 상기 다른쪽의 입력단자는 「H」레벨 상태이다. 이 때문에 앤드 게이트(112)는 상기 오아 게이트(111)에서의 출력이 들어옴에 따라 열려서 「H」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며 이것이 전기 오아 게이트(105)에 가해지며 전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로(106)가 동작해서 모터(87)가 기동되어 역전한다. 이것으로 하우징(11)이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해서 위치 A로 되돌아가며, 빈 아답터(30)는 장치(1)밖으로 배출된다.
빈 아답터(30)가 장치(1) 밖으로 배출되면, 단자(113)에서의 신호가 「H」레벨로 되며, 앤드 게이트(112)가 닫히며 이 출력이 「L」레벨로 되며, 회로(106)의 동작이 정지되어 모터(87)는 정지된다. 또, 오아 게이트(114)의 출력이 「H」레벨로 되며, 플립플롭회로(110)는 리세트된다.
다음에 상기의 제1의 이젝트 버튼(94) 대신에 제2의 이젝트 버튼(97)을 조작했을 경우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의 이젝트 버튼(97)을 조작하면 단자(115)에서 「H」레벨 신호가 앤드 게이트(116), (117)에 가해진다. (-)의 앤드 게이트(116)에는 단자(104)에서의 신호가 가해지고 있으며 다른 앤드 게이트(117)에는 단자(104)에서의 신호와 앤드 게이트(108)에서의 신호가 가해져 있다.
아답터(30)가 장착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의 이젝트 버튼(97)을 조작하면, 앤드 게이트(116)가 열리며, 오아 게이트(118)에서의 출력으로 플립플롭 회로(119)가 세트되며, 이 세트 출력이 오아 게이트(111)에 가해진다. 이것으로 전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아 게이트(111), 앤드 게이트(112), 오아 게이트(115)를 거쳐서 회로(106)가 동작되며 모터(87)가 기동되어 역전되며 하우징(11)이 아답터(30)과 더불어 화살표 Z1방향으로 상승한다. 하우징(11)이 위치 C에 이르면 스위치 SW4가 닫여지는데, 플립플롭 회로(119)는 리세트되지 않고 세트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모터(87)은 정지하지 않고 역전을 계속하며, 하우징(11)은 화살표 y2방향으로 위치 A까지 이동되며, 아답터(30)는 삽입구(3)에서 배출된다. 하우징(11)이 위치 A로 복귀되면 단자(113)에서 신호가 「H」레벨로 되며 전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터(87)가 정지됨과 더불어 노아 게이트(20)에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서 플립플롭회로(119)가 리세트된다.
따라서, 제2의 이젝트 버튼(97)은 예컨대 복수개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중 최후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사용된후, 또는 1개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1회 사용하는 경우에 그 사용이 종료된 후에 조작되어 편리하다.
또, 스위치 SW4의 닫혀짐으로 예컨대 릴레이회로(도시하지 않음)가 동작되어 제6도중 단자(71)를 거쳐서 스위치 SW3A와 병렬인 회로가 형성되며 모터(37)가 역전되고 아답터(30)가 위치 C를 통과한 시점에서 아답터(30)내에선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개시된다. 그러나, 아답터(30)는 내부의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완료되지 않는 상태로 위치 A에 도달한다. 그때, 조작자는 아답터(30)가 위치 A에 이른 다음 테이프 언로딩 동작의 완료를 기다려 아답터 (30)을 삽입구(3)에서 빼낸다. 또, 위치A에 이른 아답터(30)를 곧바로 빼낸 경우엔 장치(1)에서 아답터(30)로의 전원 공급은 끊어지는데, 돌출편(66)이 돌출되어 스위치 SW7A가 폐쇄되며, 모터(37)는 전지(68)를 전원으로 회전되며,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행해진다. 테이프 언로딩의 최종 단계에서 톱 커버(62)는 록크 해제 되어서 덮개가 열린다. 이 록크 해재 동작으로 스위치 SW3A는 개방되는데 이 시점에선 스위치 SW4A는 닫혀져 있으므로 모터(37)는 정지됨이 없고, 테이프 언로딩 동작은 완료될 때까지 행해지며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완료된 단계에서 스위치 SW5A가 전환되어서 모터(40)는 정지된다.
또한, 전지(68)가 내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아답터(30)을 곧바로 빼내었을 경우엔 아답터 상면에서 노출되고 있는 조작 노브(99)를 코인을 이용해서 수동으로 회동시키므로서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최종 상태까지 행해진다. 이 수동에 의한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지장없이 행해지도록 치차열(39)를 구성하는 기어엔미끄럼 크래치가 내장되어 있다.
또, 아답터(30)가 빈 상태에서 상기 위치 C에 정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의 이젝트 버튼(97)을 조작했을 경우엔 상기의 앤드 게이트(117)이 닫히며, 오아 게이트(118)를 거쳐서 플립플롭 회로(119)가 세트되며,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터(87)가 역전되며 하우징(11)이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아답터(30)가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아답터(30)가 배출되면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터(87)가 정지되며, 플립플롭 회로(119)가 리세트된다.
또,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했을 경우에는 검출 레버(83)가 테이프 카세트의 측면에 의해 밀려서 회동되며, 스위치 SW1는 개방된다. 이 때문에, 하우징(11)은 아답터(30)가 삽입되었을 경우와는 달리, 위치 C에서 정지하지 않고 B까지 이동하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는 장치(1)에 장착된다. 이 젝트 조작을 하면 하우징(11)은 직접 A까지 되돌아가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가 장치에서 배출된다.
제11b도는 도시하듯이 스위치 SW1A의 닫힘으로 소형 테이프 카세트 「유」신호가 단자(95)(접촉부 그룹(81))을 지나서 또 스위치 SW2A의 닫힘으로 톱 커버폐개 신호가 단다(96)(접촉부 그룹(81))를 지나서 각각 장치(1)의 모터 구동 제어 회로(201)에 가해지며 해당회로(201)로 제어되어서 모터(87)가 재차 구동되어 정상 회전한다. 이것으로 하우징(11)이 화살표 Z2방향으로 하강되어 위치 B로 옮기며, 아답터(30)는 내부에서 테이프 로딩 동작을 하면서 이동하여 제2도 및 제3도중 2점쇄선으로 도시하듯이 기록 재생 장치(1)에 장착되며 모터(87)는 정지된다.
제11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젝트 버튼(94)의 조작에 의해 단자(301)로 부터 이젝트 신호가 입력되어 이것이 앤드 게이트(302)의 한쪽 입력 단자에 가해진다. 한편, 스위치 SW4는 폐쇄되어 있고, 단자(303)의 신호는 「H」레벨이기 때문에 앤드 게이트(302)의 출력은 「H」레벨로 되고, 앤드 게이트(302)의 출력측의 오아 게이트(304)의 출력도 「H」레벨로 되며, 모터 구동 제어회로(305)가 동작하여 모터(87)가 역전한다. 모터(87)가 역전하면, 하우징(11)이 아답터(30)와 함께 화살표 Z1방향으로 상승하여 위치 C에 도달하고 여기에서, 스위치 SW4가 재차 폐쇄되어 단자(303)의 신호가 「H」레벨로 되고 앤드 게이트(302)가 폐쇄되며, 회로(305)가 동작을 정지하여 모터(87)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장치(1)의 내부를 아답터(30)의 보관에 이용할 수가 있다. 또, 단자 거쳐 스위치 SW3A와 병렬인 회로가 형성되어 아답터(71)를 거쳐 스위치 SW3A와 병렬인 회로가 형성되어 아답터(30)내의 모터(37)가 역전한다.
제11d도는 아답터 자동 장착탈 기구의 모터(87)의 제어계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중 앤드 게이트(410)의 입력 단자(411), (412)에는 각각 아답터 및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 SW2, SW3으로 부터의 신호(개방 상태에서 「L」레벨, 폐쇄 상태에서 「H」레벨)가 들어온다. 또 앤드 게이트(413)의 한쪽의 입력 단자(414)에는 아답터 판별 스위치 SW1로 부터의 신호(개방 상태에서 「H」레벨, 폐쇄 상태에서 「H」레벨)가 들어오고, 다른쪽의 입력 단자(115)에는 위치 검출 스위치 SW4로 부터의 신호(개방 상태에서 「L」레벨, 폐쇄 상태에서 「H」레벨)가 들어온다.
아답터(30)를 삽입하기 이전의 상태에서는 (장치(1)의 전원 스위치(80)는 온으로 하고 있다). 스위치 SW2, SW3, SW4는 모두 개발되어 있고, 단자(411), (412), (415)의 신호는 함께 「L」레벨에 있고, 스위치 SW1은 폐쇄되고 있고 단자(414)의 신호는 「H」레벨에 있고, 앤드 게이트(410)의 출력은 「L」레벨 앤드 게이트(413)의 출력은 「H」레벨로 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앤드 게이트(410)와, 앤드 게이트(413)의 출력측의 앤드 게이트(416)의 출력은 「L」레벨 상태에 있고, 모터 구동 제어 회로(417)는 동작하지 않고, 모터(87)는 정지하고 있다.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빈 아답터(30)를 삽입함에 있어서, 삽입물에 관한 정보를 장치(1)측에 주는 조작을 행하는 일이 없고, 빈 아답터(30)를 삽입구(3)내에 직접 삽입한다. 아답터(30)는 화살표 Y1방향으로 밀려서 제2도 및 제3도중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하우징(11)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아답터(30)의 좌우의 단자가 각각 하우징(11)의 좌우의 측판(14), (15)의 내면측의 접촉부 그룹(81), (82)과 접촉하여, 아답터(30)와 장치(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좌측판(14)측의 아답터 검출 레버(83)의 선단이 상기 凹부(76)내에 감입하여, 검출 레버(8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4)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 있고, 아답터 판별 스위치 SW1은 폐쇄되어 하우징(11)내에 아답터(30)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된다. 더우기는, 아답터(30)의 앞쪽 덮개(32)가 저판(16)의 좌우에 접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는 일체의 접동판(85), (86)을 밀고, 이것이 화살표 Y1방향으로 다소 접동하고, 회동암(도시하지 않음)이 회동하여 측판(14), (15)에 부착되어 있는 아답터 및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 SW2, SW3가 폐쇄된다.
이것에 의하여, 앤드 게이트(410)의 출력이 「H」레벨로 되고, 앤드 게이트(416)의 출력도 「H」레벨로 되고, 모터 구동 제어 회로(417)가 동작하여 모터(87)가 시동하여 정상 회전한다. 이 구동력이 윔(88), 윔 휘일(89), 기어(90), (91)등을 통하여 피니온(18)에 전달되어 이것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하우징(11)이 삽입된 아답터(30)과 함께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더우기는 경사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아답터(30)는 장치(1)내에 끌려 들어간다. 하우징(11)이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하는 위치 C에 이르면, 측판(14)이 지지판(12)에 경사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위치 검출 스위치 SW4에 접하고, 스위치 SW4가 폐쇄된다. 스위치 SW4가 폐쇄된 앤드 게이트(413)의 출력이 「L」레벨로 되고, 앤드 게이트(116)의 출력이 「L」레벨이 되어서 모터 구동 제어 회로(417)의 동작이 정지하고 모터(87)의 회전이 정지하고, 하우징(11)이 아답터(30)와 함께 위치 C에서 정지한다. 하우징(11)은 소정의 조작을 할때까지 위치C에 정지한 채로 된다.
이 이후, 조작자는, 장치(1)의 상판(4)의 커버(6)을 수립 상태까지 덮개를 연다. 이것에 의하여 삽입구(5)가 열리고, 이 바로 아래에 아답터(30)의 톱 커버(60)가 위치한다. 이어서, 손가락을 삽입구(5)내에 삽입하여 아답터(30)의 노브(64)를 화살표 X1에 슬라이드시키면, 톱 커버(60)가 로크를 해제시켜 비틀림 코일 스프링(77)에 의하여 대략 수직 상태까지 회동하여 열린다. 이 상태에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삽입구(5)를 통하여 아답터(30)의 수납부(33)내에 수납한다.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수납한후, 톱 커버(60)를 닫고, 커버를 닫는다. 톱 커버(60)의 덮개가 닫힌 단계에서 스위치 SW1A, SW2A가 폐쇄되고 모터(37)가 장치(1)측의 전원을 단자(70)를 통하여 기동하고, 상기와 같이 아답터(30)내에서 테이프 로딩동작이 행하여지고, 테이프 경로(56)가 형성된다.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하는 시점에서, 스위치 SW6A가 폐쇄되고, 스위치 SW5A가 제6도중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환된다. 스위치 SW5A가 절환되면, 모터(37)가 정지한다.
또 스위치 SW6A가 폐쇄하면, 단자(72)로부터 테이프 로딩 완료 신호가 장치(1)측에 출력되어서, 모터(87)가 재차 구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하우징(11)이 화살표 Z2방향으로 하강하여 위치 B로 이동하여 아답터(30)가 제2도 및 제3도중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록 재생 장치(1)에 장착되어, 모터(87)가 정지한다.
이 상태로서 재생 버튼(92)을 조작하면 아답터(30)로부터 자기테이프(55)가 인출되어 드럼에 침접하는 소정 테이프 경로에 장전되어서 주행하고 재생이 행하여 진다. 재생 버튼(92)과 기록 버튼(93)을 동시에 조작한 경우에는 기록이 행하여진다.
현재 사용중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교환함에 있어서는, 제1의 이젝트 버튼(94)를 조작한다. 교환해서 톱 커버(60)을 닫으면 아답터(30)내에서 테이프 로딩 동작이 행해짐과 더불어 하우징(11)이 위치 B 방향으로 이동하며, 아답터(30)는 테이프 로딩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치(1)에 장착된다. 아답터(30)가 장착되면 아답터 장착 검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닫혀지며, 단자(124)가 「H」레벨로 되며 앤드 게이트(123)이 닫히고, 회로(106)의 동작이 정지되어 모터(87)는 정지된다. 또, 상기 검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닫혀져서 노아 게이트(125)의 출력이 「H」레벨로 되며 상기의 플립플롭 회로(122)는 리세트된다.
이같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의 아답터(30)에서의 인출 및 아답터(30)으로의 장착은 아답터(30)가 장착(1)의 내부에 머물고 있는 상태이며, 삽입구(5)를 통해서 이뤄지므로 소형 테이프 카세트 교환때마다 이 조작에 의하여, 모터(87)가 역전하여, 하우징(11)이 아답터(30)와 함께 화살표 C 방향으로 상승하여 위치 C에 이르고, 여기서 스위치 SW4A가 재차 폐쇄하고, 모터(87)가 정지한다. 또 단자(71)를 통하여 스위치 SW3A와 병렬인 회로가 형성되어 모터(37)가 역전한다.
따라서, 아답터(30)는 위치C에서 정지함과 동시에, 아답터(30)에서의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테이프 언로딩 동작에 최종 단계에 이르면, 톱 커버(60)의 로크가 해제되고, 톱 커버(60)가 스프링(77)에 의하여 수립 상태로 덮개가 열리고, 더우기는 커버(6)도 톱 커버(60)에 의하여 밀려서 자동적으로 열린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는, 삽입구(5)내에 손을 집어 넣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수납부(33)로 부터 인출하여, 다른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부(33)내에 수납한다. 이어서 톱 커버(60)를 닫으면 상기의 경우와 동일하게, 모터(87)가 장전하고, 하우징(11)이 위치 B로 이동하여 아답터(30)가 장치(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소형 테이프 카세트(34)의 아답터(30)로 부터의 인출 및 아답터(30)에의 장착은, 아답터(30)가 장치(1)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삽입구(5)를 통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 교환시 아답터(30)를 장치(1)밖으로 인출하는 불편이 없어지고,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 먼저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 재생이 종료한후 다음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기록 재생이 개시될때 까지의 시간이 단축된다. 즉, 기록 재생의 중단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C의 위치에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아답터(30)로 부터 인출하여 아답터(30)를 빈 상태로 하고, 톱 커버(60)가 닫힌 경우에는, 모터(87)는 기동하지 않고, 아답터(30)는 위치 C에 정지된 채로 된다. 이 상태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서, 장치(1)의 내부를 빈 아답터(30)의 보관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제1의 이젝트 버튼(94)를 재차 조작하면, 하우징(11)이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A로 되돌아오며, 빈 아답터(20)는 장치(1) 밖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제8도중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답터 광체(31)의 촤측벽(65)에, 스위치 SW1A와 접속되어서 소형 테이프 카세트 「유」신호 출력 단자(95) 및 스위치 SW2A와 접속되는 톱 커버 폐개 신호 출력단자(96)를 설치하여, 수납부(33)가 빈 상태로 톱 커버(60)를 닫았을 때에, 모터(87)가 역전하여, 빈 아답터(30)가 자동적으로 장치(1) 밖으로 송출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의 이젝트 버튼(97)을 조작한 경우에는 하우징(11)은 위치 C에서 정지하지 않고, 위치 B로 부터 위치 A까지 이동하고, 아답터(30)는 삽입부(3)에 송출된다. 하우징(11)이 위치 A로 복귀하면, 모터(87)는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또 아답터(30)가 장치(1) 밖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테이프 언로딩을 행할 때에는, 접동 노브(64)를 화살표 X1방향으로 로크되는 위치까지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 SW3A가 폐쇄되고, 모터(37)가 전지(68)에 의해 시동하고 역전하며,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행하여진다. 테이프 언로딩의 최종 단계에서, 톱 커버(62)가 로크를 해제하여서 덮개를 연다. 이 로크 해제 동작에 의하여 스위치 SW3A는 개방되지만, 이 시점에서는 스위치 SW4A는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37)는 정지하는 일이 없고, 테이프 언로딩 동작은 완료할 때까지 행하여지고, 테이프 언로딩 동작이 완료한 단계에서 스위치 SW5A가 절환되어서 모터(37)가 정지한다.
또 상기의 아답터(30)에 있어서는, 장치(1)외에 있이서 아답터(30)내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장착하고, 톱 커버(60)가 닫히면 모터(37)가 전지(68)에 의하여 회전하고, 테이프 로딩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하였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함에 있어서도 삽입물이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인 정보를 장치측에 주어지는 조작은 행하지 않고,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를 직접 삽입한다.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하면, 상기의 아답터(3)를 삽입하였을 경우와는 달리, 검출 레버(83)가 테이프 카세트의 측면에 의하여 밀려서 회동하고, 스위치 SW1가 개방된다. 또 스위치 SW2, SW3가 아답터 삽입시와 동일하게 폐쇄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11d도중, 단자(411), (412)는 공히 「H」레벨, 단자(414), (415)는 함께 「L」레벨로 되고, 앤드 게이트(410) 및 앤드 게이트(413)의 출력이 함께 「H」레벨로 되고, 앤드 게이트(416)의 출력이 「H」레벨로 되고, 모터 구동 제어 회로(417)가 동작하여 모터(87)가 시동하여 정상 회전한다. 모터(87)가 정상 회전하면, 상기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우징(11)이 삽입된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와 함께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하고,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가 장치(1)내에 끌려 들어간다. 하우징(11)이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하는 위치 C에 이르면 스위치 SW4가 폐쇄되고, 단자(415)는 「H」레벨로 되지만, 단자(414)가 「L」레벨이기 때문에, 앤드 게이트(413)의 출력은 「H」레벨로 된다. 이것 때문에 앤드 게이트(416)의 출력도 변화하지 않고 「H」레벨로 되고, 제어 회로(417)도 동작 상태로 보존되고, 모터(87)는 정지하지 않고 동작을 계속한다. 따라서, 하우징(11)은 아답터(30)가 삽입된 경우와는 상이하며, 위치 C에서 정지하지 않고 위치 B까지 이동하고,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는 장치(1)에 장착된다. 이 젝트 조작을 하면, 하우징(11)은 직접 위치 A까지 되돌아오고,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 장치로 부터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에 의하면,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아답터에 의해 수납 및 아답터로 부터의 인출을 아답터가 삽입구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삽입구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서 행할수가 있기 때문에,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교환할 때마다 아답터를 삽입구 밖으로 배출하여 재차 삽입구내에 삽입한다고 하는 불편이 없어지고, 특히 복수개의 소형 테이프 카세트에 순차 기록 재생을 행할 경우에 편리하게 되고, 더우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 교환에 수반하는 기록 재생이 중단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Claims (9)

  1.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와 대략 동일 형상을 이루며, 표준형 테이프 카세트보다 크기가 작은 소형 테이프 카세트(34)를 수납하는 아답터(30)에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될때,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테이프(55)상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자기테이프로 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는, 상기 아답터가 삽입되는 삽입구(3)와, 상기 아답터를 수용하는 아답터 하우징(11)과, 상기 삽입구에 대향하는 위치 A와 상기 아답터가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장착되는 위치 B사이에서 소정의 위치 C를 통하여 상기 아답터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87, 19a 내지 19c)과,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을 상기 소정의 위치 C에서 정지시키도록 상기 이동 수단(87, 19a 내지 19c)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00)와, 상기 아답터에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하고 이탈시키기 위한 삽입구(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5)는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의 상판(4)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5)는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의 배면 근처에서 추축 회전하여 지지되는 커버(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87, 19a 내지 19c)은 먼저 상기 아답터용 삽입구(3)의 빈곳으로 부터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을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의 배면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며, 다음으로,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을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의 상판(4)의 빈곳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에 이를때까지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의 배면쪽으로 비스듬하게 상방 이동시키며, 그 다음에 상기 아답터 하우징을 상기 장착위치 B로 하방 이동시키기 위해 안내홈(19a 내지 19c)을 구비하며,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삽입구(5)는 상기 상판(4)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용 수납부(33)와, 상기 수납부(33)내에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수납을 검출하는 제1검출 스위치 SW1A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톱 커버(60)와, 상기 톱 커버(60)의 닫힘을 검출하는 제2검출 스위치 SW2A를 구비하며,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는 상기 아답터 하우징(11)내에 수용된 상기 아답터를 상기 제어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전기 접촉부 그룹(81, 82)을 상기 위치 B를 향해 이동시키며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을 상기 위치 A를 향해 이동시키는 모터(87)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소정의 위치 C에서 상기 아답터 하우징(11)내에 수용되고 상기 톱 커버(60)는 닫혀진 상기 아답터의 상기 수납부(33)내에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수납되어 있을때, 상기 제1 및 제2검출 스위치 SW1A, SW2A의 열림 및 닫힘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87)를 순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어하는 제어회로(103, 108, 105, 1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아답터 하우징(11)내에 수용되고 상기 톱 커버는 상기 수납부(33)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닫혀진 상기 아답터의 상기 수납부(33)내에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때, 상기 제1 및 제2 검출 스위치 SW1A, SW2A의 열림 및 닫힘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87)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제어하는 제어 회로(103, 108, 109, 105, 10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용 수납부(33)와, 상기 수납부(33)내에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수납을 검출하는 제2검출 스위치 SW1A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톱 커버(60)와, 상기 톱 커버(60)의 닫힘을 검출하는 제2검출 스위치 SW2A를 구비하며,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는 상기 아답터 하우징(11)내에 수용된 상기 아답터를 상기 제어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전기 접촉부 그룹(81, 82)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 수단987, 19a 내지 19c)은 순방향 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을 상기 위치 B를 향해 이동시키며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을 상기 위치A를 향해 이동시키는 모터(87)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아답터의 상기 수납부(33)내에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때, 상기 제1 및 제2검출 스위치 SW1A, SW2A의 열림 및 닫힘 상태에 응답하여 상기 모터(8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어하는 제어 회로(103, 108, 105, 1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는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이 상기 위치 B에서 위치 A로 이동함에 있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제1 및 제2 조작 버튼(94 및 97)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 수단(87, 19a 내지 19c)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을 상기 위치 B에서 위치 A로 이동시키는 모터(87)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이 상기 소정의 위치 C에 도달할때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이 상기 정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이 상기 소정의 위치 C에 도달할때 상기 제2조작 버튼(97)의 조작에 응답하며 상기 모터(87)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회로(102, 103, 105, 116 내지 119, 111, 1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는 소형 테이프 카세트 수납용 수납부(33)와, 상기 수납부(33)내에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의 수납을 검출하는 제1검출 스위치 SW1A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톱 커버(60)와, 상기 톱 커버(60)의 닫힘을 검출하는 제2검출하는 스위치 SW2A를 구비하며, 상기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는 상기 아답터 하우징(11)내에 수용된 상기 아답터를 상기 제어 장치(100)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전기 접촉부 그룹(81, 8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 수단(87, 19a 내지 19c)은 순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을 상기 위치 B를 향해 이동시키는 모터(87)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이 상기 소정의 위치 C에 도달함을 검출하며,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아답터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아답터가 상기 아답터용 삽입구(3)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이 상기 소정의 위치 C에 도달할때 상기 모터(87)의 순방향 회전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87)를 제어하며, 상기 소형 테이프 카세트가 상기 아답터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아답터가 상기 아답터용 삽입구(3)를 통하여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아답터 하우징(11)이 상기 소정의 위치 C에 도달하더라도 상기 모터(87)가 순방향 회전을 계속하도록 상기 모터(879를 제어하는 제3검출 스위치 SW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840002072A 1983-04-19 1984-04-19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KR890004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8895 1983-04-19
JP58068895A JPS59193502A (ja) 1983-04-19 1983-04-19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69708 1983-04-20
JP69709 1983-04-20
JP58069708A JPS59195370A (ja) 1983-04-20 1983-04-20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101527 1983-06-07
JP58101527A JPS59227062A (ja) 1983-06-07 1983-06-07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58117964A JPS6010449A (ja) 1983-06-29 1983-06-29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117964 1983-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156A KR840009156A (ko) 1984-12-24
KR890004095B1 true KR890004095B1 (ko) 1989-10-20

Family

ID=2746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072A KR890004095B1 (ko) 1983-04-19 1984-04-19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0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9156A (ko) 198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6201Y1 (ko) 소형 테이프 카세트용 아답터
EP0310114A2 (en)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use with cassette
GB1587229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playing back signals on a magnetic tape contained in a cassette
EP0317370B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US476811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hanging magnetic disc pack
KR890004095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KR930008277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세트 장전기구
US4590528A (e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operable with an adapter for a miniature type tape cassette
KR0143781B1 (ko) 테이프 카셋트 어댑터
US4912581A (en) Magazin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magnetic disc packs each housing a magnetic disc
EP0619579B1 (en) Disc cartridge container, and disc recorder and/or reproducer comprising this container
JPH0252339B2 (ko)
US4160281A (en) Cassette changer
JPH0310182B2 (ko)
JPH0416271Y2 (ko)
JPS6334151Y2 (ko)
JPH0310184B2 (ko)
JPH0252342B2 (ko)
JPH0252341B2 (ko)
JPH0252343B2 (ko)
JPH0252340B2 (ko)
JPH0252344B2 (ko)
JPH0310183B2 (ko)
JP264369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77365B2 (ja) 記録媒体のオートチェンジ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