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067Y1 -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067Y1
KR890004067Y1 KR2019860015607U KR860015607U KR890004067Y1 KR 890004067 Y1 KR890004067 Y1 KR 890004067Y1 KR 2019860015607 U KR2019860015607 U KR 2019860015607U KR 860015607 U KR860015607 U KR 860015607U KR 890004067 Y1 KR890004067 Y1 KR 890004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battery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5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793U (ko
Inventor
엄영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5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067Y1/ko
Publication of KR880008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상세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시간설정부
3 : 출력부 R1∼R20: 저항
Q1∼Q5: 트랜지스터 D1∼D7: 다이오드
OP : 연산증폭기 C1∼C5: 콘덴서
본 고안은 배터리를 급속충전시키기 위한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충전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급속충전시키는 장치가 없없고, 급속충전이 가능한 장치는 배터리의 불량으로 발생하는 과충전 전압을 체크하지 못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충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의 급속충전이 가능하고, 과충전의 발생을 방지하는 타이머(Timer)에 의해 시간 적제어를 하는 급속충전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로서,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하여서 배터리의 충전이 최대일때를 체크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와, 급속충전 입력신호에 따라 일반충전과 급속충전이 결정되고 일정시간을 설정하여서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는 충전이 중지되도록 하는 시간설정부(2)와, 제어부(1) 및 시간설정부(2)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되어서 충전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상세한 회로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제어부(1)는 저항(R1∼R9)과 콘덴서(C1∼C3) 그리고 다이오드(D1∼D3)와 연산증폭기(OP) 및 트랜지스터(Q1)로 대응되고, 시간설정부(2)는 저항(R10∼R16)과 타이머(TIM) 및 트랜지스터(Q2) 그리고 다이오드(D5)과 콘덴서(C4, C5)로 대응되며, 출력부(3)는 트랜지스터(Q3∼Q5)와 저항(R17∼R20) 및 다이오드(D5∼D7)로 대응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면 제너다이오드(D1, D3)의 전압을 충전배터리 전압에서 뺀 나머지 전압이 충전되고, 연산증폭기(OP)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자(제2도의 A)에는 제너다이오드(D3)의 전압이 걸리며, 연산증폭기(OP)의 반전단자에 연결된 다이오드(D2)의 애노드단자(제2도의 B)에는 상기 전압보다 낮은 저항(R4)에 걸리는 전압이 인가되어서 연산증폭기(OP)의 출력단신호는 논리"1"(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콘덴서(C2)는 충전루프가 형성되지 않아서 충전되지 못한다.
그러나, 저항(R4)과 콘덴서(C2)사이의 일단(제2도의 C)의 전압은 충전이 진행됨에 따라 상승하여서 "A"점에 걸리는 전압보다 높아지는 순간 연산증폭기(OP)의 출력단에는 논리 "O"(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충전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C"점에 걸리는 전압은 높아져서 "A"점보다 다이오드의 브레이크다운(Break Down)전압이상되면 콘덴서(C2)는 충전루프가 형성되고 충전이 개시된다.
그리고,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최대일때 콘덴서(C1, C2)는 각기 최대값을 갖게 되는데, 충전전압이 하강되면 콘덴서(C1)는 방전을 시작하여 전압이 차츰 하강되나 콘덴서(C2)는 방전루프가 없어서 최대값이 전압을 계속 유지하게 된다.
한편, 콘덴서(C1)에 충전전압이 하강하게될 때 콘덴서(C2)의 전압은 콘덴서(C1)를 거쳐서 "A"점에 양(+)전압을 걸어주고 "B"점에는 음(-)전압을 가해주어서 "A"점은 항상 다이오드(D2)에 의해 제너다이오드(D3)의 전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연산증폭기(OP)의 출력전압은 논리"1"신호가 된다.
그리고, 저항(R11, R12)과 콘덴서(C4)에 의해서 타이머(TIM)의 RC입력이 결정되고, 저항(R14~R16)에 의해서 타이머(TIM)의 기준전압이 결정되며, 이 기준전압은 발진레벨의 상한치를 결정해 준다.
또한 다이오드(D4)와 저항(R10, R21) 및 트랜지스터(Q2)는 급속충전과 일반충전을 결정해주는데, 급속충전에서는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어 타이머(TIM)의 RC시정수결정에서 저항(R10)이 제의된다.
따라서, 타이머(TIM)에서는 RC입력의 주기보다 긴 출력신호가 출력되어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였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1)의 연산증폭기(OP)의 출력단신호와 시간설정부(2)의 타이머(TIM)의 출력단 신호에 의해서 충전공급신호를 출력하는데, 타이머(TIM)의 출력단 신호가 논리 "0"신호에서 논리"1"신호로 변하면 트랜지스터(Q5)는 도통되어서 출력신호(Sout)가 논리"0"신호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제어부(1)의 출력신호가 있을때, 충전 배터리전압이 제너다이오드(D5)에 걸리는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4)가 도통되지 않음에 따라 트랜지스터(Q5)가 제어부(1)의 출력신호에 의해 도통되어서 출력신호(Sout)가 논리"0"신호로 떨어진다.
그러나, 충전배터리의 전압이 제너다이오드(D5)에 걸리는 전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되지 않음에 따라 트랜지스터(Q4)는 도통되어서 트랜지스터(Q5)의 제어에 영향을 주지못하기 때문에 출력신호(Sout)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급속충전과 일반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용 VCR등의 배터리 충전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배터리를 충전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어 충전전압이 최대일 때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와, 급속충전과 일반충전을 결정하고 설정된 일정시간을 경과한 다음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간설정부(2)와, 상기한 제어부(1)와 시간설정부(2)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되어서 충전의 출력신호(Sout)를 출력하는 출력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KR2019860015607U 1986-10-13 1986-10-13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KR890004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607U KR890004067Y1 (ko) 1986-10-13 1986-10-13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607U KR890004067Y1 (ko) 1986-10-13 1986-10-13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793U KR880008793U (ko) 1988-06-30
KR890004067Y1 true KR890004067Y1 (ko) 1989-06-17

Family

ID=1924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5607U KR890004067Y1 (ko) 1986-10-13 1986-10-13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0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793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5233A (en) Battery charger apparatus having multiple modes of operation and automatic switching therebetween
US5477124A (en) Circuit to prevent excessive rechargeable battery discharge
KR100562877B1 (ko) 충방전 제어회로 및 충전형 전원장치
US5177371A (en) Auxiliary battery operation detection circuit
EP0480648A2 (en) NI-Cad battery charge rate controller
JPH0363302B2 (ko)
US5440220A (en) Battery discharge control circuit
JPH049021B2 (ko)
US5587916A (en) Low voltage sensing circuits for battery powered devices having a micro-processor
US4785229A (en) Threshold detecting battery protection circuitry
JPH01174268A (ja) 直流電源瞬断検出装置
KR890004067Y1 (ko) 배터리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JP3838708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源装置
TW201924221A (zh) 電源重置電路
US5298850A (en) Charge indicator of battery
JP3601032B2 (ja) 充電制御装置、充電器、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
JPH06189461A (ja) バッテリー装置
KR970000933Y1 (ko) 니켈-카드뮴 배터리의 충전장치
US20230020200A1 (en)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battery power supply circuit thereof
KR940000522B1 (ko) 배터리 과충전 보호회로
KR200238177Y1 (ko) 캠코더 배터리의 효율향상 및 수명연장을 위한 장치
JPS627764B2 (ko)
JP2647146B2 (ja) 二次電池充電制御装置
JPH10248174A (ja) 充電装置
KR950002023B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 응용회로에서의 cmos 메모리 백업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