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650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650Y1
KR890003650Y1 KR2019860011680U KR860011680U KR890003650Y1 KR 890003650 Y1 KR890003650 Y1 KR 890003650Y1 KR 2019860011680 U KR2019860011680 U KR 2019860011680U KR 860011680 U KR860011680 U KR 860011680U KR 890003650 Y1 KR890003650 Y1 KR 890003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hole
outer cylinder
cylind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1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Priority to KR2019860011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50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6도는 제3실시예를 사용되는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사시도.
제7도는 제5도의 정면도.
제8도 (a)-(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 요구의 여러 가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9도 내지 제10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외통에 대해 조작부의 회전통을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하면서 회전이 자유롭게 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립 2 : 외통
3 : 필기축체 4 : 녹크부
4a : 조작부 7 :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
10 : 안내홈 11 : 회전통
27 : 필심파이프 28 : 스프링
29 : 척링 30 : 척
31 : 내통 32 : 지우개고무
33,34 : 경사면 38 : 돌곡구멍면
39 : 절편
본 고안은 샤아프펜슬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조작으로 필기축체의 선단을 외통의 선단에서 돌출시켜주는 한편, 이와 반대와 역회전조작으로 원래의 위치로 인입시켜줄 수 있도록 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필기구는 필기축체의 선단을 외통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거나 원래의 위치로 인입시키는 기구로서 예컨대 회전캠기구를 채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회전캠기구를 채용하고 있는 필기구는, 제1도를 참고하여 설명하여 본다면, 외통(2)의 후단에서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4a)를 인입시키는 스프링(5)에 대항하여 녹크해 줌으로서 필기축체(3)의 선단(6)이 외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지고, 이렇게 돌출되어진 상태를 외통(2)과 필기축체(3) 사이에 설치된 회전캠기구(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의 고정캠에 대한 회전캠의 이동과 회전에 의한 양쪽 캠을 맞추어 줌으로서 고정되어져 있도록하고, 이어 조작부(4a)를 집어넣는 스프링(5)에 대항하여 다시한번 더 녹크해 줌으로서 회전캠기구의 고정지지상태를 해제시켜서 스프링(5)의 복원력으로 필기축체(2)의 선단(6)을 인입시켜 수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에 있어서는 형상과 구조가 복잡한 회전캠기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체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이 용이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고가이면서, 또한 자주 고장이 일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2)내에다 필기축체(3)를 끼워넣고, 상기 외통(2)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어져 나와있는 조작부(4a)를 조작해줌으로서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외통(2)의 선단에서 돌출시켜 고정되도록하는 한편, 상기 조작부(4a)를 반대로 조작해 줌으로서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외통(2)내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축체(3)와 외통(2) 사이에 조작부(4a)의 회전운동을 축방향 이동으로 변환시켜주게 되는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7)를 설치하여 구성시킨 필기구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필기구는 그 조작부(4a)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그에 따른 회전운동이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7)에 의해 직선이동으로 변환되어 필기축체(3)로 전달되게 됨에 따라 상기 필기축체(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외통(2)의 선단에서 돌출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상태에서 조작부(4a)를 역회전시키면 필기축체(3)가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7)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선단(6)의 외통(2)의 선단내로 인입되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종단면도로서, 샤아프펜슬의 에이며, 제2도는 제1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분리 사시도이다.
우선,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도에서 도면부호 3은 외통(2)내에 끼워진 필기축체로서, 이 샤아프펜슬에서 필기축체(3)는 필심파이프(27)를 녹크용 스프링(28)에 접하여져서 그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줌에 따라 척링(29)에 끼워 맞추어진 척(30)를 개폐시켜 필심파이프(27)내의 필심을 척(30)으로 부터 일정길이 만큼 앞으로 내보냄에 따라 내통(31)의 선단부(31a)의 선단(6)으로부터 필심이 일정길이 만큼 내보내어지도록 된 구조로 되어있다.
도면부호 4는 필기축체(3)를 구성한 필심파이프(27)의 후단부 바깥둘레에 끼워 맞추어진 녹크부로서 이는 상기 외통(2)의 후단에 돌출되어있고, 도면부호 32는 필심파이프(27)의 후단 안쪽둘레에 끼워붙인 지우개 고무이다.
또 도면부호 7은 필기축체(3)와 외통(2) 사이에 조립되어 설치된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로서,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다읍과 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즉, 필기축체(3)의 내통(31)의 후단부 바깥둘레면에는 돌기(9)가 돌설되어 있으며, 외통(2)의 안쪽둘레면에는 상기 돌기(9)가 끼워져 내통(31)을 축방향으로 안내 이동시켜주기 위한 안내홈(10)이 형성되어져 있다.
도면부호 4a는 회전통(11)의 후단 바깥둘레에 클립(1)이 부착된 조작부인데, 이 조작부(4a)의 회전통(11)에는 상기 회전통(11)의 전단에 개구된 축 방향의 삽입구멍(12a)과, 이 삽입구멍과 연설되어 원주방향의 종점구멍(12b), 이 종점구멍에 연설되고 나선형태의 거의 반원주로 된 나사구멍(12c), 상기 종점구멍(12b)과 나선구멍(12c)사이에 형성된 돌곡구멍면(38)및, 상기 나선구멍(12c)에 연설되어 원주방향의 시점구멍(12d)이 형성되어있다.
또 상기 조작부(4a)의 회전통(11)은 내통(31)의 돌기(9)를 삽입구멍(12a)에서 끼워넣고, 돌기(9)가 시점구멍(12d)에 위치하도록 외통(2)과 내통(31)사이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면서 회전만 할수 있도록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13a는 회전통(11)의 외면에 설치한 돌부이고, 13b는 상기 돌부(13a)가 끼워 맞추어지는 환상홈으로서 외통(2)의 안쪽둘레에 설치되어있다.
다음에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작부(4a)를 회전시켜주면 회전통(11)이 회전하게 되면서 N점구멍(12d)에 위치한 내통(31)의 돌기(9)가 회전에 의해 나선구멍(12c)을 따라 이동하면서 안내홈(10)내에서 전방향(좌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필기축체(3)및 녹크부(4)가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 한편 돌기(9)가 돌곡구멍면(38)을 다소 무리하게 올라가 종점구멍(12b)에 도달한 다음 멈추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6)의 외통(2)의 선단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녹크부(4)의 녹크를 동작시켜주게되면, 필기축체(3)의 필심파이프(27)가 녹크용 스프링(28)에 대항하여, 그 탄성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척링(29)에 끼워 맞추어진 척(30)이 개폐되어 필심파이프(27)내의 필심을 척(30)에서 일정한 길이만큼씩 내보내므로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에서도 필심을 일정한 길이 만큼 송출시킬수가 있게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필심을 외통내로 인입시켜주고 자할 때에는 녹크부(4)를 녹크용스프링(28)에 대항하여 녹크된 상태를 유지해주면 상기 척(30)이 열려지기 때문에 필심선단을 누름으로서 인입시킬 수가 있게된다.
한편,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집어 넣을때에는 조작부(4a)를 역회전시켜주면 회전통(11)이 역회전하게 되면서 종점구멍(12b)에 위치한 내통(31)의 돌기(9)가 역회전에 따라 돌곡구멍면(38)을 다소 무리하게 타고 넘어가서 나선구멍(12c)을 따라 이동하며 안내홈(10)내에서 후방향(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필기축체(3)와 녹크부(4)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돌기(9)가 시점구멍(12d)에 도달하여 멈추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6)은 외통(2)의 선단에 집어 들어간 상태가 된다.
제3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샤이프펜슬의 다른 예이며, 제4도는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사시도이다.
이 제2실시예는 내통(31)의 후단면을 경사면(33)으로 형성시키되, 이곳에 대항하는 조작부(4a)의 회전통(11)의 전단면도 경사면(34)으로 형성시킴과 더불어 상기 내통(31)의 경사면(33)에 회전통(11)의 경사면(34)을 서로 접하게 하여 상기 회전통(11)을 외통(2)의 안쪽 둘레면에서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면서 회전만 가능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춘다.
이 제2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4a)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회전통(11)이 회전하게되고, 이 회전통(11)의 회전운동은 내통(31)의 돌기(9)가 안내홈(10)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통(11)의 경사면(34)에 경사면(33)이 서로 접하도록 된 내통(31)의 전방향(좌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필기축체(3)와 녹크부(4)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의해 정해지는 이동량 만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6)은 외통(2)의 선단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인입시킬 때에는 상술한 작동의 반대로 역회전시키면 되고, 필기할때의 작동은 상기 제1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새략한다.
제5도는 제3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볼펜의 일예이며, 제6도는 제3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사시도이고, 또한 제7도는 제3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볼펜인 경우 필기축체(3)는 볼펜심이 되고, 이 필기축체(3)의 선단에는 보올(36)이 자유로이 회전할수 있도록 되어있는 한편, 상기 필기축체(3)내에는 잉크가 수용되어져 있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필기축체(3)의 후단에 끼워붙어진 내통(31)의 후단부 바깥면에 돌기(9)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9)가 삽입되어지는 안내구멍(37)은 조작부(4a)의 회전통(11)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2)의 후단부에는 외통(2)의 후단에서 형성된 삽입구멍(12a)과 그에 이어진 원주방향의 시점구멍(12d), 이 시점구멍에 이어짐과 더불어 나선형태의 거의 반원주로된 나선구멍(12c)과, 상기 시점구멍(12d)과 나선구멍사(12c)이에 형성된 돌곡구멍면(38, 제8도(a)를 참조)과 상기 나선구멍(12c)에 연설된 원주방향의 종점구멍(12b)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필기축체(3)의 상기 조작(4a)의 회전통(11)의 바깥면에는 돌부(13a)가 끼워맞추어지는 환상홈(13b)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31)의 돌기(9)는 조작부(4a)의 회전통(11)의 안내구멍(37)에서 끼워넣어지도록 회전통(11)을 내통(31)에다 끼워 설치하고, 상기 외통(2)의 후단에서 필구축체(3)와 이 내통(31)에 끼워 설치된 조작부(4a)의 회전통(11)을 삽입시키며, 필기축체(3)의 내통(31)의 돌기(9)를 외통(2)의 삽입구멍(12a)에 끼워넣어 돌기(9)가 시점구멍(12d)에 위치하도록 하므로서 회전통(11)을 외통(2)의 후단부에 돌부(13a)와 환상홈(13b)에 의해서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면서 회전만 할 수 있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제3실시예에 따른 조작부(4a)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회전통(11)이 회전하게되고, 시점구멍(24d)에 위치한 내통(31)의 돌기(9)가 회전에 의해 돌곡구멍면(38)을 타고 넘어가 나선구멍(12c)을 따라 이동하면서 안내구멍(37)의 전방향(좌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그 결과 내통(31)과 필기축체(3)가 전방으로 이동하게되고, 돌기(9)가 종점구멍(12b)에 도달하여 멈추게 되는데, 이때 필기축체(3)의 선단(6)은 외통(2)의 선단에서 돌출한 상태가 되어 필기 가능상태로 된다.
한편,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인입시켜줄 때에는 조작부(4a)를 역회전시켜주면 회전통(11)이 역회전하게 되면서 종점구멍(12b)에 위치한 내통(31)의 돌기(9)가 역회전에 의해 나선구멍(12c)을 따라 안내구멍(37)의 후방향(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내통(31)과 필기축체(3)가 후방향으로 이동하고 돌기(9)는 돌곡구멍면(38)을 타고 넘어서 시점구멍(12d)에 도달하여 멈추게 되는데, 이때 필기축체(3)의 선단(6)은 외통(2)의 선단에서 인입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조작부(4a)의 조작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곡구멍면(38)을 제8도(b), (c)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점구멍(12b)과 나선구멍(12c) 사이에 설치하거나 상기 나선구멍(12c)과 삽입구멍(12a)경계선에서의 나선구멍쪽과 삽입구멍쪽에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조작부(4a)의 회전통(11)을 외통(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은 할 수 없으면서 회전만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수단으로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부(13a)가 끼워맞추어지는 부분을 회전통(11)의 회전량과 거의 같은 반원주의 호형구멍(13B)으로 하여도 좋고, 또 상기 돌부(13a)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통의 바깥둘레에 ""자형상으로 잘라 절편(39)을 설치하되 이 절편(39)의 선단 바깥면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필기축체(3)를 집어넣는 스프링(5)은 꼭 필요치 않으나 그냥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샤아프펜슬의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7)와 제5도에 도시된 볼펜의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7)를 서로 바꾸어 설치하여도 상관이 없으며, 또한 홈은 구멍으로 구멍은 홈으로 적절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외통(2)의 선단에서 돌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기구로서 회전-직선이동변환기구(7)를 이용하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필기구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극히 드물고, 더구나 필기축체(3)를 인입시키는 스프링(5)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통(2)에 필기축체(3)를 끼워넣고 상기 외통(2)의 후단에 돌출되어져 있는 조작부(4a)를 조작함에 따라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외통(2)의 선단에서부터 돌출시켜 유지시키고, 상기 조작부(4a)를 반대로 조작함에 따라 필기축체(3)의 선단(6)을 원래의 위치로 인입시키도록 되어 있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축체(3)와 외통(2) 사이에 조작부(4a)의 회전운동을 축방향으로 변환시키는 회전-직선 이동변환기구(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19860011680U 1986-08-04 1986-08-04 필기구 KR890003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680U KR890003650Y1 (ko) 1986-08-04 1986-08-04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680U KR890003650Y1 (ko) 1986-08-04 1986-08-04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50Y1 true KR890003650Y1 (ko) 1989-05-31

Family

ID=1925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1680U KR890003650Y1 (ko) 1986-08-04 1986-08-04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6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650Y1 (ko) 필기구
KR890006893Y1 (ko) 필기구
KR970000481Y1 (ko) 필기구
JPH10217673A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2605617Y2 (ja) 筆記具
JPH0529908Y2 (ko)
KR930003581Y1 (ko) 회전식 필기구
JP3844417B2 (ja) 複合筆記具
JP3273860B2 (ja) 複式筆記具
JP3286510B2 (ja) 複合筆記具における筆記機構
JPH0541918Y2 (ko)
JPS6337271Y2 (ko)
JP2566099Y2 (ja) 複式筆記具
JPH0123833Y2 (ko)
US5551788A (en) Writing instrument
JPS6127199B2 (ko)
KR950010432Y1 (ko) 샤아프펜슬
JPS62297199A (ja) 複合筆記具
JPH0686983U (ja) 筆記具
JP2566094Y2 (ja) 複式筆記具
JP3638966B2 (ja) レフィール装置及びその筆記具
JPH0448000A (ja) 棒状物繰出装置付筆記具
JP2566103Y2 (ja) 複式筆記具
JPH0556492U (ja) 棒状体繰り出し装置
JPH041316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