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423Y1 - 전화기 발신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 발신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3423Y1 KR890003423Y1 KR2019860002808U KR860002808U KR890003423Y1 KR 890003423 Y1 KR890003423 Y1 KR 890003423Y1 KR 2019860002808 U KR2019860002808 U KR 2019860002808U KR 860002808 U KR860002808 U KR 860002808U KR 890003423 Y1 KR890003423 Y1 KR 8900034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circuit
- contact
- power supply
- telepho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기계적 타이머 스위치를 채용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
제2도는 전자식 타이머 스위치를 채용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송화갑 R : 수화갑
N1-N3: 유도코일 HS1, HS2: 훅크스위치
MS1, MS2: 타이머스위치 RY : 릴레이
K1, K2, K3: 타이머 스위치 접점 SW : 기동스위치
AMP : 신호증폭회로 To : 트랜스
Rv : 볼륨 SP : 스피커
Vcc : 전원 HS3: 전원스위치
본 고안은 전화기의 발신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수화기를 들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얼링이 가능하며 또한 상대방측에서의 착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전화기의 발신회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상용되고 있는 전화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먼저 송수화기를 들어 귀에 대고 발신음을 확인한 후 원하는 번호에 맞춰 다이얼링하여 상대방을 선택하고 착신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화기에서는 상대방에게 발신하는 시점부터 착신이 되는 시점까지 줄곧 송수화기를 들어 귀에 대고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아울러 통화가능한 시점까지 상대방측에서의 착신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까닭에 사용자는 발신시 송수화기의 연결코드의 반경범위내에서만 활동할 수 밖에 없는 행동의 제약을 받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으로서, 송수화기와 전화기 본체 사이의 연결코드가 제거된 소위 코드레스폰(Cordless Phone)이 등장하였으나, 이는 가격이 비쌀뿐 더러, 기존의 전화기에는 도저히 그 특징을 적용할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어떤종류의 전화기에 대해서도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 발신, 즉, 다이얼링을 가능케 하는 동시에 착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전화기 발신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신시 송수화기를 들지 않게하여 사용자에게 행동의 자유를 줄 수 있는 전화기 발신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자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전화기 발신회로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6-2174호에, 송화갑, 수화갑, 유도코일 및 훅크스위치와, 전령 및 다이얼 수단, 콘덴서등을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한 훅크스위치의 양단에 발신스위치와 타이머를 병렬로 설치하고, 수화갑의 양단에 발신스위치와 연동하는 스위치를 개재하여 신호 증폭회로, 볼륨, 트랜스 및 스피커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전화기 발신회로를 제안한 바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선출원의 구성중 대체로 푸시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진 발신스위치와 타이머의 결합적 구성을 타이머 스위치로 간단히 구성함과 아울러, 수화갑의 양단에 신호 증폭회로의 입력단을 직접 결합하되 신호 증폭회로의 전원전압 인가단과 전원사이를 상기한 타이머스위치의 접점을 개재하여 연결하여 구성한 점에 특징을 두고 있다.
이에 의해, 전화기 발신회로의 조작이 간편하여짐과 동시에 신호 증폭회로에서의 누설 전류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600형 자동 전화기에 기계적 타이머스위치(MS1)를 사용하여 본 고안이 실시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2도는 600형 자동 전화기에 전자식 타이머스위치(MS2)를 사용하여 본 고안이 실시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공지된 부분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L1과 L2는 교환기에서 전화기로 들어오는 외부 인입선이며, 0dB 및 3dB은 교환국으로 부터 근거리 또는 원거리 가입자의 송수화기 레벨을 선택하기 위한 감쇄회로 선택 러그이다.
저항(R1)(R2) 및 콘덴서(C2)는 의사선로로서 3dB 무장하 선로 손실 보상회로를 구성한다.
콘덴서(C1)는 자석전령(MB)에 직류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단자(L1), 콘덴서(C1), 훅크스위치(HS1)의 접점, 자석전령(MB), 단자(L2)는 전령회로 즉, 호출회로를 구성한다.
도면에서, 훅크스위치(HS1)(HS2)는 송수화기가 전화기에 놓여진 상태 즉, 통화를 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 도시 되어 있다.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자 송수화기를 들면 훅크스위치(HS1)(HS2)의 접점이 동작하여 자석전령회로(MB)는 차단되고 후술하는 통화회로와 연결이 된다.
참조부호 DI는 다이얼 임펄스 접점을 나타내며, T는 송화갑을 나타낸다. 그리고 DS접점은 다이얼 조작시 송화기 회로를 단락하여 송출 임펄스를 확실히 한다.
유도코일(N1)(N2)(N3)과 저항(R4)(R5) 및 콘덴서(C3)는 송화갑(T)에서 수화갑(R)으로 유입되는 측음을 조정하는 작용을 하며, 콘덴서(Co)는 국선으로부터 수화기에 유입되는 전류를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바리스터(VR)는 수화갑(R)에 과전압이 걸릴때 도통되어 이를 저항(R6)으로 흡수시켜 클릭을 감소시킨다.
또한 다이얼 임펄스 접점(DI)과 병렬로 연결되는 콘덴서(C1)와 저항(R3)은 다이얼시 DI접점에 인가되는 과전압을 흡수하여 DI접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자동교환기로 부터 착신신호 전류가 유입되면, 외선단자(L1), 콘덴서(C1) 그리고 훅크스위치(HS2)접점을 통하여 자석전령(MB)과 외선단자(L2)로 회로가 연결되어 호출신호 전류는 자석전령(MB)을 구동시킨다.
응답을 하고자 송수화기를 들면 훅크스위치(HS1)(HS2)의 접점이 동작하여 상기한 전령회로(호출회로)를 차단하고 통화회로와 연결이 된다.
그 다음에, 발신가입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서 송수화기를 들면 훅크스위치(HS1)의 접점이 닫혀 송화갑(T), 유도코일(N1), 다이얼 임펄스 접점(DI)를 거쳐 직류회로를 구성하여 교환기를 가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훅크스위치(HS2)의 접점도 닫혀져 상기한 DI접점보호를 구성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종래의 제1도의 회로구성에 있어서 훅크스위치(HS1)(HS2)의 양단에 기계식 타이머스위치(예컨대 선풍기의 타이머스위치와 같은 종류의 것)(MS1)를 병렬로 접속하되, 제1접점(K1)의 양단은 훅크스위치(HS1)의 양단에, 제2접점(K2)의 양단은 훅크스위치(HS2)의 양단에, 그리고 제3접점(K3)의 양단은 전원(Vcc)과 신호 증폭회로(AMP)의 전원인가단에 각각 연결하여 접속한다. 그리고 수화갑의 양단에는 신호 증폭회로(AMP), 볼륨(Rv), 트랜스(To), 스피커(SP)를 설치한다.
기계식 타이머스위치(MS1)의 접점(K1-K3)은 서로 연동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노브(Knob)를 조작하여 가동상태로 하였을때 이들 접점은 ON상태로 되며 소정의 설정시간이 경과하여 부동작 상태로 될때 상기의 접점들은 OFF상태가 된다.
전원(Vcc)은 신호증폭부(AMP)에 전원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스위치(HS3)는 전술한 훅크스위치(HS1)(HS2)와는 배타적으로 동작하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회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송수화기가 전화기에 놓여 있는 상태, 즉 훅크스위치(HS1)(HS2)의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입자가 다이얼링을 하기 위하여 타이머스위치(MS1)를 조작하여 접점(K1-K3)을 닫힌(ON)상태로 하면, 상기한 접점(K1-K3)의 ON상태는 소정의 설정시간동안, 예컨대 30초-3분 동안 계속 유지됨으로써 회로는 송수화기가 전화기에 놓여 있는 상태이지만 발신 가능한 상태로 되어 수화갑(R)의 양단에 교환기로 부터 발신음이 전달된다.
이 발신음은 신호 증폭회로(AMP)에서 증폭된 뒤 볼륨(Rv)에 의해 음량이 소정의 레벨로 조정되며, 트랜스(To)를 지나 스피커(SP)를 통하여 발신자에게 들리게 된다.
이때 발신자가 희망하는 국번을 다이얼링하여 상대방을 선택하게 되면, 상대방에 대한 호출음(착신신호)이 발신자 전화기에 있는 스피커(SP)를 통해서도 들려지므로 발신자는 송수화기를 직접 귀에 대지 않고도 착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대방이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이어서 다시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점(K1-K3)이 개방되었다가 다시 닫힌 상태로 되도록 타이머스위치를 조작하면 된다.
그러나, 일단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송수화기를 들어 통화상태에 이르게 되면, 발신자는 자신의 송수화기를 들고 통화를 하면 된다. 이때 훅크스위치(HS1)(HS2)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닫혀진 상태로 되며, 전원스위치(HS3)는 개방된 상태로 되어 신호 증폭부(AMP)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타이머스위치(MS1)의 접점(K1-K3)은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자동으로 OFF되어 전화기의 정상적인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제2도는 600형 자동전화기에 전자식 타이머스위치(MS2)를 사용하여 본 고안이 실시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실시예에서의 접점(K1-K3)은 릴레이(RY)의 자력에 의해 ON 또는 OFF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식 타이머 스위치(MS2)는 전원(Vcc)에 연결된 가동스위치(SW)의 ON동작에 따라 동작 개시하여 소정시간 동안 릴레이(RY)에 전류를 흘려주어 그 자력에 따라 접점(K1-K3)을 ON상태로 하며 소정시간 경과후에는 릴레이(RY)에 흐르는 전류를 영(0)상태로 하여 접점(K1-K3)을 OFF상태로 하여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다.
제2도의 기타의 회로동작은 제1도의 동작과 같으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화의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도 다이얼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신 여부를 확인할수 있고, 그에 따라 발신시 다른 업무를 볼 수 있는 행동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실용성이 얻어진다.
Claims (1)
- 외부펄스가 콘덴서(C1), 훅크스위치(HS1)의 접점, 자석전령(MB), 훅크스위치(HS2)의 접점으로 이루어진 전령회로를 통해 다이얼 수단(DI)와 직결된 유도코일(N1-N3) 및 수화갑(R)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유도코일(N1-N2)사이에 송학갑(T)을 연결하며, 유도코일(N2-N3)사이에 저항(R4,R5)과 콘덴서(C0,C3)를 설치하고, 상기 수화갑(R)의 양단에 신호증폭회로(AMP), 볼륨(Rv), 트랜스(TO) 및 스피커(SP)를 설치하며, 상기 신호증폭회로(AMP)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Vcc)을 전원스위치(HS3)와 직렬로 연결하고, 전원스위치(HS3)가 훅크스위치(HS1)(HS2)와 배타적으로 작동되게 연결된 전화기 발신회로에 있어서, 상기 훅크스위치(HS1)(HS2)의 양단에 타이머스위치(MS1) 접점(K1)(K2)의 양단을 병렬로 연결하되 제1접점(K1)의 양단은 훅크스위치(HS1)의 양단에 연결하고, 제2접점(K2)의 양단은 훅크스위치(HS2)의 양단에 연결하며, 제3접점(K3)의 양단에는 전원(Vcc)와 신호 증폭회로(AMP)의 전원전압 인가단에 연결하고, 타이머 스위치가 릴레이 코일(RY)의 자력에 의해 온/오프 되도록 타이머 스위치(MS1)의 아래에 릴레이 코일(RY)을 설치하고, 릴레이 코일(RY)의 양단을 전원(Vcc)와 가동스위치(SW)에 연결된 타이머스위치(MS2)에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발신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02808U KR890003423Y1 (ko) | 1986-03-10 | 1986-03-10 | 전화기 발신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02808U KR890003423Y1 (ko) | 1986-03-10 | 1986-03-10 | 전화기 발신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15569U KR870015569U (ko) | 1987-10-26 |
KR890003423Y1 true KR890003423Y1 (ko) | 1989-05-22 |
Family
ID=1924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02808U KR890003423Y1 (ko) | 1986-03-10 | 1986-03-10 | 전화기 발신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3423Y1 (ko) |
-
1986
- 1986-03-10 KR KR2019860002808U patent/KR890003423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15569U (ko) | 1987-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246082A (en) | Telephone hold program system | |
EP0284401B1 (en) | Telephone equipment with multiple function | |
KR100206178B1 (ko) | 키폰전화기의 모니터방법 | |
EP0660628A2 (en) | A radio telephone adaptor | |
US4468538A (en) | Wireless telephone system with high level dial pulse signalling | |
US4468539A (en) | Wireless telephone system with intercom signalling and auxiliary station | |
KR890003423Y1 (ko) | 전화기 발신회로 | |
CA1206651A (en) | Telephone substation transmitter muting circuit | |
US4469918A (en) | Wireless telephone system with high level dial pulse signalling | |
CA1044790A (en) | Intercept arrangement for key telephone systems | |
US4471167A (en) | Wireless extension telephone | |
CA1204234A (en) | Wireless telephone system with combination filter/oscillator circuits | |
US4471166A (en) | Wireless telephone extension unit with high level dial pulse signalling | |
US4471168A (en) | Wireless telephone extension unit with combination filter/oscillator unit | |
JPH036057Y2 (ko) | ||
JPH03145849A (ja) | 電話装置 | |
JPH0432845Y2 (ko) | ||
JPS59119954A (ja) | 電話回路切替装置 | |
JPS5910832Y2 (ja) | コ−ドレス電話装置 | |
JP2835968B2 (ja) | 電話機回路 | |
JP2561456B2 (ja) | ボタン電話装置 | |
JPH079477Y2 (ja) | 送受話回路用切り替え回路 | |
KR100265119B1 (ko) | 자동응답기능을갖는전화기의메시지자동전송방법 | |
JPS6028334A (ja) | 電話機 | |
JPS61251260A (ja) | 拡声電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