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308Y1 -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 - Google Patents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308Y1
KR890003308Y1 KR2019860004542U KR860004542U KR890003308Y1 KR 890003308 Y1 KR890003308 Y1 KR 890003308Y1 KR 2019860004542 U KR2019860004542 U KR 2019860004542U KR 860004542 U KR860004542 U KR 860004542U KR 890003308 Y1 KR890003308 Y1 KR 890003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ap
board body
chassis support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6336U (ko
Inventor
윤춘복
Original Assignee
삼선교구공업 주식회사
윤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선교구공업 주식회사, 윤춘복 filed Critical 삼선교구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4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308Y1/ko
Publication of KR870016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63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3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
제1도는, 본 고안 라이팅 보오드 본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요부가 체결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라이팅 보오드 본체의 사용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 라이팅 보오드 본체의 또 다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환형 걸림턱 2,4 : 다리 연결대
3 : 환형 고정캡 5 : 환형 회전캡
6,6' : 걸어 맞춤편 7 : 샤시 지지구
8 : 걸림턱 9 : 회전 보울트
10,11 : 관통구멍 12 : 나사구멍
13 : 조임핸들 14,14':요홈
15 : 보오드 본체 16 : 고정샤시
17 : 다리
본 고안은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카펜으로 판서할 수 있는 보오드본체의 양측에, 다리 연결대가 형성된 환형 회전 및 고정캡내에 샤시 지지구를 끼워 맞춤하여 회전 보울트와 나사 결합한 조임 핸들의 나사 조임 조작에 따라, 샤시 지지구에 결합된 보오드 본체의 위치가 자유롭게 결정되게 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라이팅 보오드 본체에 있어서는, 연결 다리 상면에 보오드 본체를 수지, 수평 및 경사위치로 고정시키어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수요자에게 공급시켰던 것으로, 수요자가 수직 라이팅 보오드를 원할시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구입하여야 하며, 이를 사용하고 나서 수평으로 형성된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필요로 할 경우에 있어서는 수직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구입함과 동시에 수평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또다시 구입해야만 하였던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수요자는 필요에 따른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각각 구입하여야만 되었던 것으로, 각각의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설치하여야 하는 공간 및 구입시에 따른 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수평, 수직 및 경사 위치로서 조절이 가능한 일개의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요구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측의 다리와 연결되게 한 환형 고정캡내에 또 다른 타측의 다리와 연결되는 환형 회전캡을 조립하고, 일정 간격의 걸어 맞춤편이 형성된 샤시 지지구가 환형 회전캡내에서 슬라이드 유동되게 조립하여서, 머리 걸림턱이 형성된 회전보울트가 샤시 지지구 및 환형 회전 및 고정캡을 관통하여 조임 핸들로 조임 조작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샤시 지지구의 걸이맞춤편에 보오드 본체 양측의 고정 샤시가 결합되어, 상기의 조임핸들의 조작에 따라 보오드 본체가 수평, 수직 또는 경사위치 결정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개의 라이팅 보오드 본체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수평, 수직 및 경사 위치인 라이팅 보오드 본체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필요 이상의 라이팅 보오드 본체의 구입을 제한함과 동시에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원주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절취시킨 환형 걸림턱(1)(1')과 하향의 일측 다리 연결대(2)가 형성된 환형 고정캡(3) 내측으로 하향의 타측 다리 연결대(4)가 형성된 환형 회전캡(5)을 삽입하여 상기 환형 고정캡(3)과 슬라이트 회전되게 조립한 것이며, 환형 회전캡(5)의 내측에는 상, 하단으로 일정 간격의 걸어맞춤편(6),(6')이 형성된 샤시 지지구(7)를 조립하여서 머리 걸림턱(8)이 형성된 회전보울트(9)를 샤시 지지구(7) 측으로 삽입한 것으로, 환형 회전캡(5) 및 환형 고정캡(3)의 관통구멍(10)·(11)에 상기 보울트(9)가 관통하여 나사구멍(12)이 형성된 조임핸들(13)로서 나사 조임 조작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샤시 지지구(7)의 걸어맞춤편(6),(6')에는 요홈(14)(14')이 형성된 것으로, 보오드 본체(15) 양측의 고정 샤시(16)가 걸어맞춤편(6),(6')의 요홈(14),(14')으로 걸림 결합되어, 조임핸들(13)의 조임 조작에 따라 보오드 본체(15)의 위치가 자유로이 조절 결정되게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7은 보오드 본체(15)를 지지하는 다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술하면, 제2도에서와 같이, 환형 고정캡(3)과 환형회전캡(5)을 조림한 후 걸어맞춤편(6)을 환형 회전캡(5)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머리 걸림턱(8)이 형성된 회전보울트(9)를 샤시 지지구(7)측으로부터 끼워 조립시키면, 환형 회전캡(5)의 관통구멍(10)과 환형 고정캡(3)의 관통구멍(11)으로 환형 회전캡(5) 및 환형 고정캡(3)이 상기 회전 보울트(9)에 걸림결합 지지되는 것이고, 조임핸들(13)로 환형 고정캡(3)과 환형 회전캡(5)을 관통하고 샤시 지지구(7)를 관통하여 설정된 보울트(9)를 조임 조작하면, 간단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샤시 지지구(7)의 걸어맞춤편(6),(6')에 형성된 요홈(14),(14')으로는 보오드 본체(15)의 양측고정 샤시(16)가 걸림고정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조임핸들(13)을 풀이주면 보오드 본체(15)의 회동이 가능하게 샤시 지지구(7)는 환형 회전캡(5)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환형 회전캡(5)과 환형고정캡(3)도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다리 연결대(2),(4)에 형성된 각각의 다리(17)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조임핸들(13)의 조임 조작으로서 회전 보울트(9)릍 나사 조임조작하면, 견고하게 보오드 본체(15)가 샤시 지지구(7)의 걸어맞춤편(6)(6')으로부티 결속됨과 동시에 환형고정캡(3)과 환형 회전캡(5)이 유동되지 않게 조임핸들(13)과 보울트(9)로 구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도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보오드 본체(15)를 유지시키기 위하여는 보오드 본체(15)의 고정샤시(16)의 끝단을 샤시 지지구(7)에 고정시켜 조임핸들(13)을 조이면 보오드 본체(15)는 샤시 지지구(7)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 조임핸들(13)을 회전 보울트(9)에 대하여 풀림 조작하면, 환형 회전캡(5)과 환형고정캡(3)은 서로 삽입 걸림만이 유지되어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환형 회전캡(5) 및 환형고정캡(3)에 형성된 다리 연결대(4),(2)와 연결 형성된 다리(17)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워지게 되기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적인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라이팅 보오드 본체(15)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와 같이, 라이팅 보오드 본체(15)를 괘도 걸이로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보오드본체(15) 양측의 고정샤시 (16)에 형성된 샤시 지지구(7)를 풀어주면 되는 것으로써, 결국 조임핸들(13)을 풀어주면, 환형 고정캡(3)과 환형 회전캡(5)이 환형 고정캠(3)의 걸림턱(1),(1') 사이에서 슬라이드 유동되게 걸림결합됨과 동시에 샤시 지지구(7)가 환형 회전캡(5)내에서 유동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샤시 지지구(7)의 걸어맞춤편(6),(6')으로 걸림결합 지지되었던 보오드 본체(5) 양측의 고정샤시(16)는 샤시 지지구(7)로부터 구속결합되었던 구속 결합력이 소멸되어 보오드 본체(15)의 위치를 괘도 걸이형으로 낮출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보오드 본체(15)는 괘도를 걸 수 있는 형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5도에서와 같이, 보오드 본체(15)를 경사지게 위치 조절하기 위하여는, 보오드 본체(15)의 양측에 형성된 조임핸들(13)을 풀어서 보오드 본체(15)를 회전시켜 경사지게 위치 조절한 후, 다시금 조임핸들(13)을 조이면 샤시 지지구(7)가 보오드 본체(15)의 양측 고정샤시(16)를 고정시켜 주게 되므로, 보오드 본체(15)의 위치를 경사지게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일개의 보오드 본체(15)를 수평, 수직 및 경사위치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더우기 장소의 넓고 적은 공간에 구애됨이 없이 보오드본체(15)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원주 방향에 일정간격으로 절취시킨 환형 걸림턱(1),(1')과 하향의 다리 연결대(2)가 형성된 환형고정캡(3)내에, 하향의 다리 연결대(4)가 형성된 환형 회전캡(5)이 슬라이드 회전되게끔 조립하고, 상기 환형회전캡(5)내에 일정간격으로 걸어맞춤편(6),(6')이 형성된 샤시 지지구(7)를 조립하여, 머리 걸림턱(8)이 형성된 회전 보울트(9)를 샤시 지지구(7)에서 환형 회전캡(5)과 환형 고정캡(3)을 관통하여서, 보울트(9)의 나선부에 조임핸들(13)을 조임 고정시키어, 보오드 본체(15) 양측의 고정 샤시(16)가 각각의 샤시 지지구(7)에결합되는, 위치 결장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Writing Board).
KR2019860004542U 1986-04-09 1986-04-09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 KR890003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542U KR890003308Y1 (ko) 1986-04-09 1986-04-09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542U KR890003308Y1 (ko) 1986-04-09 1986-04-09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336U KR870016336U (ko) 1987-11-30
KR890003308Y1 true KR890003308Y1 (ko) 1989-05-17

Family

ID=1925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542U KR890003308Y1 (ko) 1986-04-09 1986-04-09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3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6336U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3045A (en) Fitting adapted for holding spacedly a support member on an upright wall
US20050254238A1 (en) Holder for a flashlight
JPS649163B2 (ko)
KR890003308Y1 (ko) 위치결정이 자유로운 라이팅 보오드
KR10035743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
KR200212318Y1 (ko) 보트용 낚시대 고정장치
KR20040046634A (ko)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구조
KR200403441Y1 (ko) 가구의 높이 조절구
JPS6237661Y2 (ko)
KR0131983Y1 (ko) 유동방지 구조를 갖는 책상
KR950002778Y1 (ko) 가구용 다리
KR200259290Y1 (ko) 칠판용 조명등기구
KR920005905Y1 (ko) 가구용 다리
KR870001598Y1 (ko) 낚시등 받침틀
JPH0246306Y2 (ko)
KR200229952Y1 (ko) 사무용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JPH0212966Y2 (ko)
KR920000365Y1 (ko) 싱크대용 다리
KR950005697Y1 (ko) 감지기용 베이스 고정구
KR200185232Y1 (ko)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KR870003547Y1 (ko) 절첩식 야전삽
JPS598076Y2 (ja) 楽器用スタンドの脚先構造
KR200304162Y1 (ko) 책, 걸상용 지지다리의 높이조절구조
KR200186553Y1 (ko) 가구용 받침구
KR950005052Y1 (ko) 투영기(Over Head Projector)의 헤드봉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