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295Y1 -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3295Y1 KR890003295Y1 KR2019860014230U KR860014230U KR890003295Y1 KR 890003295 Y1 KR890003295 Y1 KR 890003295Y1 KR 2019860014230 U KR2019860014230 U KR 2019860014230U KR 860014230 U KR860014230 U KR 860014230U KR 890003295 Y1 KR890003295 Y1 KR 89000329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locking
- welding
- rollers
- roller
- tub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92—Deliv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05—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involving a particular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소재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작용을 보인 개략 측면도로서, (a)는 이송로울러 및 연동고무로울러에 의하여 소재가 이송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b)는 고우로울러가 상승되고 용착 절단장치가 하강되어 이송된 소재가 용착절단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도,(c)는 용착 절단장치가 상승되고 고무모울러가 다시 하강된 상태를 보인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 : 이송로울러 4 : 용착 절단장치
5 : 받침판 6,6' : 연동축
7,7' : 고무로울러 11,11' : 작동레버
12,12' : 축핀 13,13' : 연동레버
14,14' : 승강 나사봉 15,15' : 지지봉
16,16' : 접동로울러 17,17' : 작동간
18 : 구동측 19,19' : 구동캠
본 고안은 이송되는 합성수지 튜우브를 일정주기로 승강되는 용착 절단장치에 의하여 용착, 절단하여 소정규격을 가지는 합성수지 포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자동 제대기의 소재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착 절단장치부에 인접 설치되어 상, 하 이송로울러에 의하여 연동되는 상, 하 연동축에 수개의 환상 고무로울러를 교호로 배열설치함과 아울러, 그 상부 연동축이 용착 절단장치부의 승강작동과 병행하여 교대로 승강될수 있게한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 포대 제조기에 있어서는, 소재원판 공급릴로부더 공급되는 합성수지 튜우브를 기대의 상,하에 설치되는 상,하 이송로울러 및 그 전방의 각 연동로 러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수개의 상,하 이송벨트로 이송시키고, 상기·이송장치의 전방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일정주기로 승강작동되는 용착 절단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합성수지 튜우브를 소정길이로 용착 절단하게 한 제대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제대기에 채용되고 있는 소재 이송장치의 이송벨트 즉 다시말하자면, 각 이송로울러와 연동로울러 사이에 걸쳐 권회 연결되는 수개의 이송벨트는 코일상으로 권회된 스프링 벨트릍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수개의 상 하 이송벨트가 각기 교호로 배열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각 상, 하 이송벨트 사이에 통과하는 튜우브는 그 튜우브의 폭방향으로 따라 파상형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용착 절단장치부로 이송되어진다.
따라서 이와같이된 스프링 벨트는 장기간 사용될 경우 각 스프링 벨트의 연결부가 제대기의 가동중에 쉽게 마모절단되는 단점이 발생되고, 이와같이 절단된 스프링 벨트는 그 자체탄성으로 펼쳐저 그 일측단부가 연동로울러의 전방에 근접 설치되어 일정주기로 승강 작동되는 용착 절단장치부의 용착부 및 칼날부에 부딪치게 되는 사례가 종종 유발됨으로써 용착부 및 칼날부를 손살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 스프링 벨트에 의하여 이송되는 합성수지 튜우브는 파상형으로 굴곡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채 용착 절단장치부의 하부 받침판상에 놓여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하강 작동되는 용착 절단장치에 의하여 용착, 절단되므로 그 용착면과 절단면이 균일하게 용착 절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착절단장지의 전방용착부에 의하여 용착 절단된 전방측 포대의 전방 용착부는 그 용착장치의 전방에 설치되는 별도의 강제 분리수단에 의하여 분리되나 그 후방측 용착부는 하부 받침면의 상면에 들러붙게 되는 폐단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태에서 이송벨트에 의한 튜우브의 이송이 진행될 경우 후속 이송되는 튜우브는 평활하게 이송되지 못하고 접히거나 휘어지는 상태로 이송되는 사례가 종종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이송장치가 가지는 제반 난점 및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대의 상, 하에 각기 설치되는 이송로울러와 연동로울러 사이에 튜우브의 이송을 위한 별도의 스프링 벨트를 연결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연동로울러가 고정되는 상, 하 연동측에 수개의 환상 고무로울러를 교호로 배열 설치하여 이들 각 상, 하로울러에 의하여 튜우브를 직접 이송시킬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한 상부 연동축이 용착 절단장치의 승강작동과 병행하여 교대로 승강될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하부 받침판상에 얹혀지는 튜우브의 용착 절단면이 그 받침판의 상면과 평활하게 이송접촉되게 하고, 상승된 연동축의 하강 작동에 따라 받침판의 상면에 들러붙게 되는 튜우브의 내측 용착부에 적절한 충격을 가하여 그 용착부를 받침잔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후속 이송되는 튜우브가 원활히 이송공급될수 있게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재원단의 감겨진 공급릴로 부터 공급되는 합성수지 튜우브(P)가 액센트릭(1) 및 부채꼴기어(2)의 동력을 전달받는 상, 하 이송로울러 (3)(3') 및 연동로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는 이송장치에 의하여 일정주기로 이송되고, 그 이송장치부의 전방에 설치된 용착절단장치(4)의 승강작동에 따라 받침판(5) 상에 이송공급되는 튜우브(P)를 일정주기로 용착 절단하여 소정규격을 가지는 합성수지 포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게 되는자동제대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송로울러(3)(3')와 용착절단장치(4)의 사이에 설치되며 공지의 연동로울러가 축설되는 상, 하 연동축(6)(6')에 일정크기를 가지는 환상 고무로울러 (7)(7')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이들 상,하 고무로울러(7)(7')가 교호로 배열설치되어 있고, 이들 상,하 연동축(6)(6')과 상기한 상,하 이송로울러(3)(3')의 구동축(3a)(3a')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체인스프로켓(8)(8')(9)(9')이 체인(10)(10')으로 연결되어 상,하 이송로울러(3)(3')와 고무로울러(7)(7')사이에 끼워지는 합성수지 튜우브(P)를 일정주기로 이송시킬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상부 이송로울러(3)와 연동축(6)의 상부 양측에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작동레버(11)(11')가 기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어 이들 작동레버(11)(11')의 중간부가 축핀(12)(12')으로 유착되어있고 이와같이 설치되는 각 작동레버(11)(11')의 전방단부가 상기 상부 연동축(6)의 상측에 각기 위치하여 그 연동축(6)의 양단과 각 작동레버(11)(11')의 전방단부 사이에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동레버(13)(13')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작동레버(11)(11')의 후단부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승강나사봉(14)(14')의 상단이 연결되고 각 나사봉(14)(14')의 하단에는 일단이 지지봉(15)(15')에 유착되고 그 중간부에는 접동로울러(16)(16')가 구비된 작동간(17)(17')의 타단이 유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작동간(17)(17')에 설치된 접동로울러(16)(16')에는 기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구동축(18)의 양단에 축설된 구동캠(19) (19')이 각기 접촉되어 있고, 그 구동축(18)은 기대하부에 설치된 액센트릭(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캠(19)(19')의 회전에 따라 승강나사봉(14)(14')을 승강시키게 되고 축편(12)(12')에 유착된 작동레버(11)(11')를 회동시키어 상기 연동축(6)을 승강시킬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연동축(6)의 승강작동은 그 전방에 설치된 용착 절단장지(4)의 승강작동과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20은 상기한 접동로울러 (16)(16')가 구동캠(19)(19')에 긴밀히 접촉될수 있도록 작동간(15)(15')을 상향 탄력 설치시킨 인장스프링을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징송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2도의 (a)는 제대기가 가동되어 부채꼴기어(2)가 화살표로 도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일방향기어를 통하여 맞물린 하부 이송로울러(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그 상부에 접촉된 상부 로울러(3)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들 상, 하 로울러(3)(3')의 회전에 의하여 그 전방의 상, 하연동축(6)(6') 및 이에 축설된 고무로울러(7)(7')가 각기 회전되므로 이들 사이에 끼워진 합성수지 튜우브(P)가 전방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때에는 승강나사봉(14)(14')에 연결된 작동간(17)(17')의 접동로울러 (16)(16')에 각 구동캠(19)(19')의 정원부가 접촉되어 있어 작동간(17)(17') 및 승강나사봉(14)(14')이 상승된 상태에 있고, 이에 따라 축핀(12)(12')으로 유착된 작동레머(11)(1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그 일측단부와 사부와 연동축(6)사이에 연결된 연동레버(13)(13') 가 하강된 상태에 있으므로, 각 상부 고무로울러(7)가 하부 고무로울러(7')의 상부에 이송되는 합성수지 튜우브(P)를 적절한 힘으로 눌러 상, 하 고무로울러(7) (7')사이에 굴곡 상태로 끼워지는 튜우브(P)를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가 있으며, 반면에 그 전방에 설치된 용착 절단장치(4)는 하부받침판(5)으로 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상승되어 있어 상.하 고무로울러 (ㄱ) (ㄱ')에 의하여 튜우브 (P)가 하부 받침판(5)의 상면에 접촉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부채꼴기어(2)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계속 진행되어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로 되면 상,하이송로울러(3)(3') 및 상,하 고무로울러(7)(7')에 의한 튜우브(P)의 일단계 전진 이송이 완료되게 됨과 아울러 상승된 용착절단장치(4)가 점차 하강하게 되는 바, 이때에는 상기 작동간(17)(17')의 접동로울러(16)(16')가 구동캠(19)(19')의 돌출부에 접촉하게 되므로 스프링(20)으로 탄력 설치된 작동간(17)(17')이 지지봉(15)의 유착단부를 중심으로 일정거리만큼 하강하게되며 상승된 승강 나사봉(14)(14')을 하측으로 당기게되고, 이에따라 작동레버(11)(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단부에 연결된 연동레버(13)(13')로 하여금 하강된 연동축(6)을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튜우브(P)의 상면을 누르고 있던 상부고무로울러(7)를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 하 고무로울러(7) (7')가 사이에서 굴곡된 상태로 협지 이송되던 튜우브(P)는 그 상부에서 가해지던 힘이 해소되므로 평활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받침판(5)의 상면에 놓이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하강되는 용착절단장치에 의하여 용착, 절단되므로 튜우브(P)의 용착부 전역에 걸쳐 균일한 용착 및 절단이 이루어지게 되는것이다.
한편, 이와같이 하여 용착 절단된 합성수지 튜우브 포대는 용착 절단 장치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별도의 분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중간의 절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전방용착부가 절단 분리되고, 그 후측 용착단부는 하부 받침판(5)의 상면에 들러붙어 있는 상태에서 하강된 용착절단장치(4)가 다시 상승하게 되는 바, 이와같은 상태에서, 계속되는 액센트릭(1)의 구동에 따라 제2도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채꼴기어(2)의 역방향(시계방향) 회전이 진행되면 그 부채꼴기어(2)에 일방향 전달기어로 연결된 하부 이송로울러(3')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사기와 같은 튜우브(P)의 일단계 이송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반면에 액센트릭(1)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동캠(19)(19')은 계속적으로 회전되는 상태에 있으므로, 각 구동캠(19)(19')의 돌출부가 작동간(17)(17')의 접동로울러(16)(16')에서 점차 벗어나게 되며 다시 사이고아 같은 정원부에 접촉되므로 하강된 작동간(17)(17') 및 승강나사봉(14)(14')은 다시 상승하게 되고 작동레비(11)(11')의 성단에 연결된 연동레버(13)(13') 및 연동축(6)이 함께 하강하게 되면서 각 고무로울러(7)가 하부고무로울리(7')의 상부에 얹혀진 튜우브(P)를 다시 누르게 된다.
따라서, 이때의 충격으로 하부 받침판(5)의 상면에 들러붙은 튜우브(P)의 용착부가 상부로 쳐들리게 되므로, 받침판(5)과 튜우브(P)의 접 상태가 해소되어 튜우브(P)의 다음단계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는 상, 하 이송로울러에 의하여 연동되는 각 연동축에 수개의 환상 고무로울러를 교호로 배열 설치하여 일정주기로 공급되는 합성수지 튜우브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그 상부의 연동축이 용착 절단 장치의 승강작동과 병행하여 교대로 승강될수 있게하여 튜우브의 용착시에는 굴곡상태로 이송된 튜우브가 평활하게 펴진 상태에서 용착절단되게 하고 이와같은 용착 절단이 완료됨과 동시에 하부 받침판상에 들러붙은 용착부를 떼어낼수 있게한 것이므로, 종래와 같은 스프링 벨트의 사용에 따른 용착부 및 절단용 칼날부의 손상요인을 배제할수 있게 됨은 물론, 튜우브 용착부의 전역에 걸쳐 균일한 용착및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수 있게하고 절단된 튜우브의 융착부가 하부 받침판에 들러붙게 됨에 다른 연속제조상의 제반 난점과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튜우브의 이송이 가능하게하여 제대기의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공급릴로부터 풀려나오는 합성수지 튜우브(P)가 액센트릭(1) 및 부채꼴기어(2)의 동력을 상,하이송로울러(3)(3')와 연동로울러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이송되게 하고, 일정주기로 승강되는 용착 절단장치(4)의 작동에 하부 받침관(5) 상에 이송공급되는 튜우브를 일정규격으로 용착 절단하여 합성수지 포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자동 제대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울러(3)(3')에 의하여 연동되는 상, 하 연동측(6)(6')에 일정크기를 가지는 수개의 환상 고무로울러(7)(7')를 교호로 배열 설치하는 한편, 상기 이송로울러(3)(3')의 고무로울러(7)(7')의 상부 양측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작동레버(11)(11')를 축핀(12)(12')으로 유착하여 양 작동레버(11)(11')의 일단과 상부 연동축(6)을 연동레버(13)(13')로 연결함과 아울러, 각 작동레버(11)(11')의 반대측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나사봉 (14)(14') 의 하단부를 지지봉(15)(151)에 유착된 작동간(17)(17') 에 연결하고, 각 작동간 (17)(17')의 중간부에 설치된 접동로울러(16)(16')가 액센트릭(1)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구동축(18)양단의 구동캠(19)(19')에 각기 접촉되게 하여 상기 고무로울러(7)와 용착 절단장치(4) 의 승강작동이 교대로 이루어질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4230U KR890003295Y1 (ko) | 1986-09-13 | 1986-09-13 |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4230U KR890003295Y1 (ko) | 1986-09-13 | 1986-09-13 |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6138U KR880006138U (ko) | 1988-05-30 |
KR890003295Y1 true KR890003295Y1 (ko) | 1989-05-17 |
Family
ID=1925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14230U KR890003295Y1 (ko) | 1986-09-13 | 1986-09-13 |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3295Y1 (ko) |
-
1986
- 1986-09-13 KR KR2019860014230U patent/KR89000329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6138U (ko) | 1988-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2208B1 (ko) | 웨빙 벨트 선단을 곡면 처리하는 장치 | |
US402347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bags from thermoplastic film | |
US3442505A (en) | Automatic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top workpiece from a stack of fabric workpieces and for delivering the separated workpieces | |
US4027577A (en) | Bag-mak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ported bags | |
US4437655A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exible sheets from a stack | |
KR890003295Y1 (ko) | 제대기의 소재 이송장치 | |
KR100423209B1 (ko) | 한방용 침 제조장치 | |
GB2040885A (en) | Apparatus for stacking sections severed from a web of film | |
US3933068A (en) | Trim removal belt for dough cutting apparatus | |
JP2003112330A (ja) | ラグ付きストリップを取り外す方法および装置 | |
US2286326A (en) | Spring construction assembling machine | |
US3551261A (en) | Heat sealing and cutting member for heat sealing overlying films of material | |
CN209921738U (zh) | 一种无纺布包装封口装置 | |
US3550935A (en) | Bag delivery and stacking mechanism for bag-making machine | |
US3464299A (en) | Dough cutting,transporting and depositing apparatus | |
JP2003175552A (ja) | 補強された無端ゴム製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US4331415A (en) | Automatic bundle forming apparatus | |
US2238356A (en) | Unit strip machine and method | |
US2874447A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venetian blinds | |
US4641824A (en) | Cloth spreading apparatus with cutter | |
EP0099678B1 (en) | Slat feeding apparatus for assembling machine | |
US299436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imulated threads in plastic sheet material | |
KR100751586B1 (ko) | 일회용 비닐장화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 |
KR200290978Y1 (ko) | 포장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장치 | |
JPS6015324A (ja) | デパレタイ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050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