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117Y1 -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117Y1
KR890003117Y1 KR2019860017240U KR860017240U KR890003117Y1 KR 890003117 Y1 KR890003117 Y1 KR 890003117Y1 KR 2019860017240 U KR2019860017240 U KR 2019860017240U KR 860017240 U KR860017240 U KR 860017240U KR 890003117 Y1 KR890003117 Y1 KR 890003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late
fixed
attached
conve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818U (ko
Inventor
윤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7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117Y1/ko
Publication of KR880009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3/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ransport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요부 정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판 2 : 중간체대
3 : 체대 4 : 유압시린너
5 : 로라 6 : 고정핀
7 : 로라하우정 8 : 컨베이어상판
9 : 캠 10,10' : 브라켓
11,11' : 베어링 12,12' : 베어링하우징
13 : 고정축 14,14' : 스프링지지구
15 : 스프링 16,16' : 지지대
17 : 정지대 18 : 우레탄고무
본 고안은 전자산업 분야에서 PCB기판등의 제품 제조공정중예 전 공정에서의 컨베이어(C/V)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후공정으로 제품을 이송하려 할 경우 전공정 컨베이이와 후공정 컨베이어 사이에 사용되는 컨베이어로써 원활히 제품을 이송해줄수 있도륵 한 컨베이어(C/V)의 각도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제품 제조공정중에서 전공정높이 위치가 낮고 후공정높이 위치가 높을경우 낮은 위치에서 높은위치로 제품을 이송할때 기울기각을 갖는 컨베이어가 필요하므로 이때 컨베이어의 일정각도 유지장치로써 크레바이스타입의 시린더를 사용하여 컨베이어가 일정한각을 갖도록 제작하였기 때문에 높이의 유동에 따라 조절이 불가능하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의 제작하기 위해서는 전공정의 높이와 후공정높이의 차이를 결정확인한 후에 이에 맞게 중간 컨베이어를 일정각도를 갖게끔 설계하여 제작 설치해야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키 위해 시린더를 장착하여 컨베이어의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할수 있게 된 것으로써 첨부된 도면에 따라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판(1)과 중간체대(2)가 체대(3)에 결착되어진 공지의 컨베이어에 있어서, 중간체대(2) 중앙 일측에 유압시린더(4)를 설치하여 고정판(1)을 통과한 단부에 로라(5)를 고정핀(6)으로 로라하우징(7)에 장치하며 그 직상부의 컨베이어상간(8)에 캠(9)을 장착하였고, 고정판(1) 상면 일측 양쪽에 브라켓(10)(10')을 결착하여 컨베이어상판(8)에 결착된 베어링(11)(11')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12)(12')과 접하게 하여 고정축(13)을 양쪽의 베어링하우징(12)(12')과 브라켓(10)(10')을 통해 장착하여 나사결착하며 또한 컨베이어상판(8)과 고정판{1)에는 스프링지지구(14)(14')를 설치하여 스프링(15)을 장착하면서 고정판(1) 양쪽에 지지대(16)(16')를 장착하여 정지대(17)를 결착하고 그 직상부의 컨베이어상판(8)에 우레탄고무(18)를 부착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와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의 제조공정중에서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제품을 단계적인 제조공정으로 이송하는데 있어서 전공정 위치의 높이와 후공정위치의 높이가 차이가 있을때에 전공정의 컨베이어와 후공정 컨베이어의 중간에 설치하는것으로써 컨베이어의 높낮이 차이에 의한 기울기를 갖게한 것이여 본 고안의 경우 중간체대(2)에 장착된 유압시린더(4)를 동작시켜 전진하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압시린더(4)의 상단부에 로라하우징(7)으로 장착된 로라(5)는 컨베이어상판(8)과 고정판(1)을 통해 장착된 스프링(15)에 의해 컨베이어상판(8)의 캠(9)과 로라(5)는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압시린더(4)의 전진동작에 의해 컨베이어상판(8)은 상향으로 브라켓(10)(10')과 베어링하우징(12)(12')으로 결착된 고정축(13)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때 한정된 유압시린더[4)의 행정길이내에서 컨베이어상판(8)의 기울기 각도를조절하여 전공정 컨베이이와 후공정의 컨베이어사이를 연결시킬수 있다.
또한 전, 후 제품 제조공정의 위지높이가 동일할 경우는 유압시린더(4)를 후퇴시켜 컨베이어상판(8)은 그 하중과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지지대(16)(16')에 의해 설치된 정지대(17)와 컨베이이상판(8)의 하부에 부착된 우레탄고무(18)가 접지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 것으로써 즉, 일정행정길이 범위내에서 전공정의 컨베이어와 후공정의 컨베이어 사이에 일정한 각을 조절하여 제품의 이송을 원활히 할수있게되어 종래의 중간 컨베이어의 결점을 해소시켜 임의의 경사각도 조절을 할수 있게된 것이다.

Claims (1)

  1. 고정판(1)과 중간체대(2)가 체대(3)에 결착되여진 공지의 컨베이어에 있어서, 중간채대(2) 중앙일측에 유압시린더(4)를 설치하여 고정판(1)을 통과한 단부에 로라(5)를 고정핀(6)으로 로라하우정(7)에 장착하며 그직상부의 컨베이어상판(8) 하부에 캠(9)을 장착하였고, 고정판(1) 상면 일측 양쪽에 브라켓(10)(10')을 결착하여 베어링(11)(11')을 내장한 베어링하우징(12)(12')과 접하게 하여 고정축(13)을 양쪽의 베어링하우징(12)(12')과 브라켓(10)(10')을 통해 장착하며 또한 컨베이어상판(8)과 고정판(1)에는스프링지지구(14)(14')를 설치하여 스프링(15)을 장착하면서 고정판(1) 양쪽에 지지대(16)(16')를 장착하여 정지대(17)를 결착하고 그 직상부의 컨베이어 상판(8)에 우레탄 고무(18)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KR2019860017240U 1986-11-06 1986-11-06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KR890003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240U KR890003117Y1 (ko) 1986-11-06 1986-11-06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240U KR890003117Y1 (ko) 1986-11-06 1986-11-06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18U KR880009818U (ko) 1988-07-23
KR890003117Y1 true KR890003117Y1 (ko) 1989-05-15

Family

ID=1925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240U KR890003117Y1 (ko) 1986-11-06 1986-11-06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1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356B1 (ko) * 2011-07-11 2013-07-15 변유신 경사형 경계석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356B1 (ko) * 2011-07-11 2013-07-15 변유신 경사형 경계석 절삭장치 및 절삭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18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8000A (en) Conveyor system including discharge pulley
US5358098A (en) Belt conveyor training idlers
KR0148473B1 (ko) 나사이송장치
KR890003117Y1 (ko)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WO1995018308A1 (en) Peristaltic action precision pump filler
KR100237607B1 (ko) 부품 이송 장치
EP0652168A1 (en) Return pipe conveyer
US5560469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floating hanger
KR940003944B1 (ko) 본딩장치용 xy 테이블
GB1494960A (en) Moving belt conveyor mechanisms
ES2049366T3 (es) Limpiador de cinta transportadora con rasqueta segmentada.
US4718350A (en) Small lightweight driverless vehicle
CN1058680C (zh) 具有扶手带失速检测器的乘客传送机
US5031895A (en) Self-compensating document drive system
JPH06183556A (ja) ガラス板の位置決め装置
JPH0343167B2 (ko)
KR890003118Y1 (ko) 캠을 이용한 컨베이어의 각도 변환장치
CN216971122U (zh) 一种货物转向装置及输送设备
KR102463286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가이드장치
CA2194311C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laughtered poultry from a first suspension conveyor towards a second suspension conveyor
CN218840690U (zh) 皮带机防跑偏装置
CN212238220U (zh) 一种皮带传动防跑偏结构及色选机
KR930001639Y1 (ko) 베어링 장착장치
KR850003215Y1 (ko) 전자식 메모리 타자기의 캐리지 이송장치
CN115402764A (zh) 物料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