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041Y1 - 펀치 겸용 지퍼 커터 - Google Patents

펀치 겸용 지퍼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041Y1
KR890003041Y1 KR2019870008974U KR870008974U KR890003041Y1 KR 890003041 Y1 KR890003041 Y1 KR 890003041Y1 KR 2019870008974 U KR2019870008974 U KR 2019870008974U KR 870008974 U KR870008974 U KR 870008974U KR 890003041 Y1 KR890003041 Y1 KR 890003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handle portion
punch
cutt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162U (ko
Inventor
유훙록
Original Assignee
유흥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흥록 filed Critical 유흥록
Priority to KR2019870008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041Y1/ko
Publication of KR890000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0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펀치 겸용 지퍼 커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퍼 커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퍼 커터의 결합상태을 보인 종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퍼 커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지퍼 커터의 작용을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본체 1a, 2a : 집게부
1b,2b : 손잡이부 1d : 판스프링
3 : 축핀 4.4',5.5' : 압착블록
7.7' : 안내공 10 : 압착레버
10b : 손잡이부 11 : 절단펀치
본 고안은 예를들어 지퍼의 파스너 테이프에 고정된 결합 엘레멘트를 절단분리시키거나 가방지나 직물지등에 구멍을 뚫는데, 사용되는 펀치 겸용 지퍼 커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합 엘레멘트로 체결되는 슬라이드 파스너 즉, 통칭 지퍼를 가방이나 의류등에 부착 사용하기위하여는 두루말이 상으로 감겨진 파스너 테이프 소재를 풀어 이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절만된 파스너 테이프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결합 엘레멘트 부분을 각기 소정폭으로 절단제거시킨 후, 그 결합 엘레멘트에 슬라이더를끼우고, 상기 결합 엘레멘트의 제거부위의 내측 단부를 고정철편등으로 압착고정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임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지퍼의 개폐 사용에 따른 슬라이더의 정지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한 다음 이를 가방등의 소요부분에 설치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파스터 테이프 소재의 결합 엘레멘트를 제거함에 있어서, 통상 상호 결합된 좌. 우파스너 테이프의 양단을 벌린 후치나 니퍼등을 사용하여 각 엘레멘트 부분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절단하여 왔으므로, 그 제거 작업이 번거롭고 힘들뿐만 아니라 소정개수의 결합 엘레멘트를 일일이 제거하는데에는 많은절단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난점을 갖게되어 그 생산성이 극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난점과 문제점을 갖지 않고 지퍼의 결합 엘레멘트를 신속 용이하게 절단제거할 수 있는 지퍼커터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커터의 절단날부를 교체함으로써 각종 직물지등에 요구되는 형상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펀치로 겸용할 수 있게한 것인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커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그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커터는 상호 대향되는자형 단면의 집게부(1a)(2a)및 손잡이부(1b)(2b)를 가지는본체(1)(2)와, 이들본체(1)(2)가 유착되는 축핀(3)으로 함께 내장되고 그 후방의 손잡이부(10b)가 상기 일측 본체(1)의 손잡이부(1b)를 통하여 외향관출되는 절단레버(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2)의 집게부(1a)(2a)와 손잡이부(1b)(2b)는 그 중간부에 형성된 절곡유착부(1c)(2c)에 의하여 X자형으로 엇갈리게 조립되어 있고, 상호 접촉되는 상, 하 집게부(1a)(2a)의 내부 양측벽 사이에는2개 1조로된 장방체상 압착블록(4)(4'),(5)(5')이 수개의 고정나사(6)(6')에 의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있어,이들 각조의 압착블록(4)(4'),(5)(5')사이에는 상기 절단레버(10) 선단의 절단펀치(11)가 끼워질 수 있는 수직안내공(7)(7')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압착레버(10)의 절단펀치(11)는 그 상단에 형성된 축수부(11a)를 통하여 끼워지는 체결핀(12)이 절단레버(10) 선단의 장방형 축공(10a)에 끼워져 있어, 상기 축핀(3)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절단레버(10)의 작동에 따라 그 절단펀치(11)의 선단부가 상기 상부 압착블록(4)(4')사이의 수직안내공(7)을 통하여 하부로 관출됨과아울러 그 하부압착블록(5)(5') 사이의 안내공(7')에 끼워질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일측본체(1)의 손잡이부(1b)를 통하여 외향관출되는 절단레버(10)의 내측부에는 그 손잡이부(1b)의 외측면부를 길이방향으르 절취하여 형성한 판스프링(1d)의 만곡단부가 접촉되이 있이 상부 집게부(1a)의 상측 공간부내에 위치하는 절단레버(10)의 선단부를그 집게부(1a)의 내면 상측방향으로 상시 탄력 지지하도록되어 있다.
도면중 제1도의 미설명 부호 8은 일측 본체(2)의 집게부(2a) 일측벽에 설치된 협지편을 보인 것으로, 그 협지편(8)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권척(9)의 선단 절곡편(9a)이 끼워지게 하여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20)의 결합 엘레멘트(21)를 절단분리시 그 파스너 테이프(20)에 결합 엘레멘트(21)의 절단 폭을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한 것이고, 2d는 상기 하부 집게부(2a)의 하면에 상기 안내공(7')과 연통되게 형성한 통공을 보인 것이며, 4a및 5a는 파스너 테이프(20)의 결합 엘레멘트 (21)부분에 끼워질수 있도록 상호 접촉되는 압착블록(4)(4'), (5)(5')의 내측단부에 절결형성한 삽입홈을 각기 보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커터의 사용에 따른 동작 상태 및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커터 본체(1)(1')의 상,하 집게부(1a)(2a)사이가 벌어져 있고, 그 하부집게부(2a)의 압착블록(5)(5') 상면에 파스너 테이프(20)가 놓여져 있어 그 중간부의 결합 엘레멘트(21) 부분이 압착블록(5)(5')사이의 안내공(7') 상단 즉, 상기 삽입홈(5a)내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부(2b)에 형성된 판스프링(1d)의 탄성으로 압착레버(10)의 손잡이부(10b)가 그 본체(1)의 손잡이부(1b)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그 반대측 단부에 설치된 절단펀치(11)의 선단부가 합측블록(4)(4')사이의 안내공(7)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2)의 손잡이부(2b)와 압착레버(10)의 손잡이부(10b)를 잡고 이를움켜쥐게 되면, 벌려진 상,하 집게부(1a)(2a)가 닫혀지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압착블록(4)(4'), (5)(5')으로 상기 파스너 테이프(20)의 상. 하면을 단단히 잡아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 하 손잡이부(2b)(10b)릍 잡은 손에 더욱 힘을 가하게 되면 그 압착레버(10)의 손잡이부(10b)가본체(1)의 손잡이부(1b)에 근접됨과 아울러 그 반대측 선단부에 설치된 절단펀치(11)가 안내공(7)의 외부로 하강되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펀치(11)의 절단날부로써 상. 하 안내공(7)(7')의 단부 사이에 끼워진 파스너 테이프(20) 중간의 결합 엘레멘트(21) 부분을 강하게 내리 눌러 그 결합 엘레멘트(21)부분만을 판단할수 있게되고, 이와같이 하여 절단 분리된 결합 엘레멘트(21)의 조각들을 하부 안내공(7')과 통공(2d)을 통하여 외부로 낙하 배출됨으로써 요구되는 개수의 결합 엘레멘트(21)들을 파스너 테이프(20)로부터 간단히 제거할수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고안에 의한 커터로서는 가축 또는 비닐제 가방지등에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멍을 뚫을 수도 있게 되는 바, 이때에 상기 압착레버(10)의 절단펀치(11)와 각 압착블록(4, 4'),(5, 5')을 분리 시키고 소정형상을 가지는 절단 펀치와그에 대응하는 안내공을 형성할 수 있는 압착블록으로 교체할 경우에는 요구되는 각종 형태의 구멍을 손쉽게 뚫을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펀치겸용 지퍼 커터는 공지 형태의 집게부와 손잡이부를 가지는 커터본체에 상호 대향되는 안내공을 형성하는 압착블록을 임의로 분리 결합할 수 있게 설치하여 그 집게부의 접촉에 따라 지퍼의 파스너 테이프를 견고히 협지 고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그 커터본체가 유착되는 축핀에 별도의 절단레버를 함께 설치하여 절단레버의 선단에 절단펀치로써 요구되는 개수만큼의 결합 엘레멘트를 일시에 절단분리할수 있게 구성한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지퍼의 엘레멘트를 일일이 떼어냄에 따른 제반불편과 문제점을 배제하여 다수개의 엘레멘트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될뿐만 아니라, 그 절단펀치와 압착블록을 교체할 경우 각종 비닐지등에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펀치로도 겸용할 수 있게되고, 그 일측 집게부에 설치된 협지편에 권척을 끼워 사용함으로써 절단할 결합 엘레멘트의 절단수량 또는 펀치위치를 손쉽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집게부(1a)(2a)와 손잡이부(1b)(2b)로된 커터 본체(1)(2)가 유착되는 축핀(3)에 절만펀치(11)가 구비된 압착레버(10)를 함께 유착하여, 일측본체(1)의 손잡이부1b)를 통하여 외향 관출되는 압착레버(10)의 손잡이부(10b)가 본체 손잡이부(1b)에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1d)으로 외향 탄력설치되게 하고, 상기 일측집게부(1a)내에 삽입 설치되는 절단펀치(11)가 각 집게부(1a)(2a)의 양측벽간에 걸쳐 대향되게 설치되는 압착블록(4, 4'),(5, 5')사이의 안내공(7)(7')을 통하여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겸용 지퍼커터.
KR2019870008974U 1987-06-04 1987-06-04 펀치 겸용 지퍼 커터 KR890003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974U KR890003041Y1 (ko) 1987-06-04 1987-06-04 펀치 겸용 지퍼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974U KR890003041Y1 (ko) 1987-06-04 1987-06-04 펀치 겸용 지퍼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62U KR890000162U (ko) 1989-03-02
KR890003041Y1 true KR890003041Y1 (ko) 1989-05-15

Family

ID=1926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974U KR890003041Y1 (ko) 1987-06-04 1987-06-04 펀치 겸용 지퍼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0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62U (ko) 198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2481B2 (ko)
US5085404A (en) Staple removing device
JP2000509506A (ja) 腕時計に時計バンドを取り付ける装置
US4648161A (en) Jewelry clasp
FR2451803A1 (fr) Manchon de prise pour poignee d'outil
US4351109A (en) Contact insertion/removal tool
US4998840A (en) Method and tool for retrofitting an elongated label leader into the slot of an overlay binder
KR890003041Y1 (ko) 펀치 겸용 지퍼 커터
EP0552156B1 (en) Clamp means for holding objects or joining objects together
JPH0455831B2 (ko)
US6454330B1 (en) Replaceable head for an extension tool
US20030067105A1 (en) Chopping board device and storage box for receiving chopping boards
US4340369A (en) Dental articulating paper forceps
US4656716A (en) Hand tool for bending and straightening studs of bookbinding strips
CN213030098U (zh) 指甲刀
US2694242A (en) Paper clip
JP4389077B2 (ja) リムーバ
CN217487750U (zh) 适用于砸扣机自动识别四合扣logo方向的定位装置
JP2909614B2 (ja) 折損防止装置付き折刃式カッター
JPH0231109Y2 (ko)
JPS6348500Y2 (ko)
JPH0349646Y2 (ko)
JPH0251510B2 (ko)
JP3009907U (ja) 挟み具
KR910004312Y1 (ko) 스크랩 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