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972Y1 - 조립식 융단 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융단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72Y1
KR890002972Y1 KR2019850011501U KR850011501U KR890002972Y1 KR 890002972 Y1 KR890002972 Y1 KR 890002972Y1 KR 2019850011501 U KR2019850011501 U KR 2019850011501U KR 850011501 U KR850011501 U KR 850011501U KR 890002972 Y1 KR890002972 Y1 KR 890002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mesh
brushed
fibers
adh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798U (ko
Inventor
박종능
Original Assignee
박종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능 filed Critical 박종능
Priority to KR2019850011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972Y1/ko
Publication of KR870004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56Braided r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5Modular r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Carp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융단 블록
제1도 a는 본 고안 융단 블록의 구성도, b는 제1도 a의 A부분 확대도.
제2도는 본 고안 융단 블록의 설치 예시도.
제3도는 종래 융단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모섬유 3 : 망사
4' : 접착제층 5 : 보강지
6 : 양면 테이프
1. 본 고안은 융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모(起毛)섬유를 지조직(Ground basis)인 망사에 걸지 않도록 하여 융단의 결점인 기모섬유가 지조직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설치시에 필요한 공간에 맞추어서 부설하도록 하므로서 커다란 한장의 융단을 재단하여 조각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융단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원융단블록의 구조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융단은 제3도에서와 같이 지조직인 망사(20)의 루우프(21)에 기모섬유(22)를 스킬자수식으로 걸어놓은 다음 망사(20)의 밑면에 보강지(23)를 받쳐서 된 것이나 기모섬유(22)의 일측부(22')를 잡아다니면 쉽게 지조직인 망사(20)에서 빠지게 되고 더우기 작업과정이 많게 되어 그 단가가 높아지며 또한 종래의 카페트는 통상 커다란 한장으로 되어 있어 융단을 설치할때 방의 구조에 따라 못쓰게 되는 부분이 발생되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일단 설치하면 다시 옮겨 설치하는 것과 같은 재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 넓이로 다량의 기모섬유의 일측부를 평행으로 하여 평행면에 지조직이 망사를 덮은 다음 망사위에 액형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망사위에 보강지를 받치도록 하되 보강지의 테두리에 양면 테이프를 접착하므로서 기모섬유를 잡아다녀도 빠지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한 제조작업이 간편하게 되므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식으로 융단 블록을 구성할 수 있어 유실되는 부분을 극소화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융단의 마모가 심한 경우 마모된 융단의 부분만을 바꾸어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융단을 손쉽게 옮겨 설치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재사용이 용이하므로서 매우 경제적인 조립식 융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a, b를 참조하면, 공지의 융단을 편성함에 있어서, 소정 넓이로 다량의 기모섬유(1)의 일측부(2)를 평행으로 하여된 평행면에 지조직인 망사(3)를 덮어서 그 위에 액형의 접착제(4)를 도포하여 기모섬유의 일측부(2)를 함침시켜된 접착제층(4')에 치밀한 조직의 보강지(5)를 접착하되, 보강지(5)의 테두리 부위에 양면 테이프(6)를 접착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기모섬유(1)의 일측부가 지조직인 망사(3)와 일체로 된 접착제층(4')에 합침되어 있으므로 기모섬유(1)는 망사(3)에 견고히 부착된다. 따라서 기모섬유(1)가 빠지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고, 제3도와 같이 소정크기로 되어 있어 다수개를 연속하여 연결하면 모서리부위나 기둥부위 등과 같은 특정형태에 갖추어 융단을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본 고안 융단 블록마다 양면 테이프(6)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깔린 융단은 접착부위가 많게 되어 융단에 주름이 생기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됨과 동시에 평탄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장의 융단 블록 자체의 접착력은 매우 강한편이 아니므로 마모가 된 융단 블록이 발생되면 마모된 융단 블록만 뜯어내고 갈아낄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설치 장소를 다시 옮겨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융단의 기모섬유가 빠지지 않을 뿐더러, 제조가 염가로 되고 그 설치에 있어서, 필요없이 낭비되는 부분을 극소화시키므로서 낭비가 거의 없는 것이며, 그 사용에 있어서도 마모된 부분의 융단 블록을 같이 낄 수 있으며 또한 설치장소를 손쉽게 바꿀 수 있는등 그 실용적 효과는 큰 것이다.

Claims (1)

  1. 밑바닥의 주위면에 양면 테이프를 접착하여된 공지의 융단을 편성함에 있어서, 소정넓이로 다량의 기모섬유(1)의 일측부(2)를 평행으로 하여된 평행면에 지조적인 망사(3)를 덮어서 그 위에 액형의 접착체(4)를 도포하여 기모섬유의 일측부(2)를 함침시켜된 접착제층(4')에 치밀한 조직의 보강지(5)를 접착하여된 조립식 융단 블록.
KR2019850011501U 1985-09-09 1985-09-09 조립식 융단 블록 KR890002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501U KR890002972Y1 (ko) 1985-09-09 1985-09-09 조립식 융단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501U KR890002972Y1 (ko) 1985-09-09 1985-09-09 조립식 융단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798U KR870004798U (ko) 1987-04-21
KR890002972Y1 true KR890002972Y1 (ko) 1989-05-13

Family

ID=1924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501U KR890002972Y1 (ko) 1985-09-09 1985-09-09 조립식 융단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9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798U (ko) 198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777703D1 (de) Verbundplatte mit einer natursteinschicht.
DE69826912D1 (de) Dünnschichtiger Wundverband mit einer abnehmbaren perforierten Rückschicht
DE69023555T2 (de) Ultraschallprobe mit einer bedeckenden Schicht von Stoff mit unregelmässiger Dichte.
ATE90764T1 (de) Bituminoeser haftvermittler zum verlegen von fliesen oder zum auftragen von putz.
DE3483433D1 (de) Nichtgewobene faserige unterlage fuer wandbekleidung.
DE69122406T2 (de) Mit fasern verstärkte poröse vliese
CH673921GA3 (ko)
WO1986001247A1 (en) Surface covering system
KR890002972Y1 (ko) 조립식 융단 블록
MY100502A (en) Preformed barrier
DE69513388T2 (de) Zweifache perforierte Decklage für absorbierende Artikel mit definierter Verteilung der grossen Perforationen
DE19782125T1 (de) Eine für Flüssigkeit undurchlässige Vlieslage
DE69100069D1 (de) Kunststofffliese zur bekleidung von gebaeudeterrassen.
JPH02121917U (ko)
IT8984150A0 (it) Attrezzatura per rivestire una superficie ed i bordi di un pannello di materiale ligneo o simile con un foglio di materiale termodeformabile.
FR2557178B1 (fr) Plaque composite a portee libre, pour doubles planchers, plafonds et constructions analogues
JPH11247377A (ja) 屋根の下葺材
JPH06489Y2 (ja) 天井構造
GB2259009A (en) Mounting for synthetic hair replacement
JPH0316536Y2 (ko)
ATE191637T1 (de) Wiederverwendbare saugmattenunterlage
JPS6113306Y2 (ko)
ATE74063T1 (de) Verbundplatte mit einer natursteinschicht.
MY114351A (en) Synthetic fire-proof plaster slab.
JPH0173240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