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30B1 -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30B1
KR890002730B1 KR1019860006677A KR860006677A KR890002730B1 KR 890002730 B1 KR890002730 B1 KR 890002730B1 KR 1019860006677 A KR1019860006677 A KR 1019860006677A KR 860006677 A KR860006677 A KR 860006677A KR 890002730 B1 KR890002730 B1 KR 890002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transformer
capacit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544A (ko
Inventor
윤세양
박수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풍전자
안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풍전자, 안광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풍전자
Priority to KR101986000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30B1/ko
Publication of KR88000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제1도는 조앨의 형광램프 점등장치를 보인 회로도.
제2도는 보다 진보된 종래의 형광램프 점등장치를 보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를 보인 회로도.
제4(a)도, 제4(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랜스 포머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f : 휴즈저항 C4: 콘덴서
Q1, Q2, Q3, Q4: 트랜지스터 L : 인덕터
FL : 형광램프 T : 트랜스포머
DT : 다이액 L1, L2: 트랜스포머(T)의 1차측 권선
CT : 전류트랜스포머
본 발명은 각종의 업소나 가정등에서 조명등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형광램프의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가정등에서 사용하였던 재래식 형광램프의 점등장치는 쵸오크(Choke)를 사용한 것이었으며, 이는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고도의 제조기술이 풀필요하며 전체적인 회로가 간단하게 구성된다는 장점이 있었던 반면에 순간 점등이 불가능하고 전압변동에 민감하여 입력 전압이 다소 저하되면 점등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소등되며 뿐만 아니라 쵸오크는 형광램프의 방전개시전압 이상을 얻기 위한 직렬공진에서 높은 Q값을 얻기 위하여 인덕턴스가 매우 큰 코일을 사용하는 것이었으므로 동선자체의 순저항분이 매우 크며 이에 따른 열손실이 매우 커서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되고 또한 주면의 음향기기등에 유도 잡음에 의한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형광램프가 대형일수록 쵸오크 자체의 무게도 무겁게되고 더구나 60Hz의 상용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형광램프에는 프리커(Flicker)현상이 야기된다.
즉, 교류전원은 정현파로서 AC 100V라고 한다면 약 ±70.2V의 선형진동을 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는바, 형광램프의 방전유지전압 이하의 전압으로 되어 있는 구간에서는 형광램프가 소등되어 잇는 것으로 볼수 잇는 것이어서 프리커 현상이 생기는 것이고 그러므로 이러한 현상은 사람의 눈에 피로를 주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열손실에 의한 전력의 소모가 없으며 전원전압의 변동에 안정된 점등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조비가 저렴하며, 경량이고, 순간 점등이 가능하도록 한 여러가지의 전자식 점등장치가 제안된바 있었다.
즉, 입력되는 교류전원은 그 자체의 전압으로는 형광램프의 점등개시 전압에 못미치므로 다이오드 및 콘덴서를 조합하여 배전압을 얻어 형광램프를 점등시키고 전류제한용 저항을 직렬로 접속하여 형광램프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제한시킨 것이었으므로 스타터 램프가 필요 없으며 순간 점등이 가능하고 경량이라는 장점이 있던 반면에 전류 제한용 저항에서 소모되는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가 초래되었고 직류의 의한 방전유지는 교류에 비하여 광전변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어서 조도가 낮았으며 얼마간 사용하다 보면 형광램프 일단에 혹화현상이 심화되어 사용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전류제한용 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효율을 향상시키며, 형광램프에는 교류가 가해지게 하면서도 전술한 배전압 점등방식이 갖는 경량성, 순간점등, 스타터의 사용배제등의 장점을 고루갖춘 전자식 점등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그예로써 제1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주트랜스 포머(T1)의 1차측에 두개의 트랜지스터(Q1), (Q2) 및 직류전원을 연결하고 2차측에 쵸오크(Ld1)을 거쳐 형광램프를 연결하되, 일부 권선을 더 감아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가열시킴과 동시에 보조트랜스포머(T2)의 2차측에서 두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었으며 이는 자기포화(Magnetic Saturation) 특성에 의하여 주파수가 결정되는 자체발진형(Self-Oscillation type)이고, 그러므로 이때의 주트랜스포머(T1) 2차측에 연결된 형광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이자면 쵸오크(Ld1)의 L값이 더욱 증가되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트랜지스터(Q1), (Q2)의 스위칭시에 고전압의 스파이크(Spike)가 발생되어 결국 트랜지스터(Q1), (Q2)에는 대전류가 흐르고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1), (Q2)의 축적 전하량이 많아지므로 도통(Turn on) 상태에서 차단(Turn off)상태로 바꿔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걸어지게 되어 트랜지스터(Q1), (Q2)에 의한 발진주파수를 일정한도이상 상승시킬 수 없게 되어 쵸오크의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결국 쵸오크의 인덕턴스(L)를 더욱 늘려주어야 하므로 부피가 커기조 제조단가가 상승되며 재래식 쵸오크에 비하여 별다른 이득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즉, 쵸오크에 형광등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Vs라하면
Figure kpo00001
(여기서 r은 쵸오크의 내부저항이고, Vo는 인가전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식의 전자식 안정기는 널리 보급되기 못하였다.
그후 본격적인 연구가 거듭되어 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81-566호(공고일자 1981. 6. 1 명칭,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가 제안된바 있었다.
이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제2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류트랜스포머와 접속된 인덕터와 콘덴서로된 전력공진회로 및 점등개시를 위한 트리거 수단으로서 스위치, 저항, 콘덴서가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트리거 펄스를 공급하도록 된 것이다.
이는 전원을 인가한 후에 스위치를 단락시킴에 따라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트리거 펄스로서 가해지게 되며 따라서 트랜지스터가 스위칭 동작을 하여 트랜스포머에 전류를 흘려주고 이의 자화효과에 의하여 자체 발진이 일어나고 인덕터, 콘덴서로 이루어진 직렬공진회로에 의하여 공진전압이 유기되어 방전등을 점등시키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방식은 종전의 배전압 방식보다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고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도의 주트랜스포머 및 보조 트랜스포머와 같은 다수의 권선들이 필요없고 트랜지스터를 고내압대전류용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원가를 낮출수 있었으며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었던 장점이 있었으나 그 반면에 점등개시를 위하여 항상 동작스위치를 접속시켜야 하며 형광램프를 교체한다던가 일시적인 정전잉 있었을 경우에 자동적인 재점등이 불가능하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가장 큰 문제점으로서 트랜지스터가 근본적으로 이상적인 스위치가 아니어서 도통 상태에서 차단 상태로 바뀌는데 걸리는 시간이 흐르던 전류의 크기와 포화(Saturaion)의 정도 및 트랜지스터 자체의 주파수 특성의 오차 또한 주변기기로부터의 잡음의 혼입이나 전원의 전압변동 또는 주파수의 변화등의 많은 요소에 의하여 편차가 크게 되므로 트랜스포머의 영향으로 턴온된 트랜지스터가 턴오프 되기도 전에 다른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결국 두트랜지스터 모두 턴온된 상태로 전원 양단에 접속된 상태가 도므로 두트랜시스터에 막대한 전류가 흐르면서 열적파괴(Thermal breakdown)가 야기되어 사용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같인 문제점을 개선하고져 제안된 것의 예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1-1421호(공고일자 1981.10.20 명칭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가 있으며 이의 구조를 살펴보면 전술한 제2도의 주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보조트랜지스터 및 저항 그리고 다이오드를 설치하며 주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 전류를 속하게 소멸시켜 빠른 시간내에 주트랜지스터(Q1), (Q2)의 전류가 차단될 수 있게 함으로써 동시에 도통되는 일이 없도록 배려한 것이어서 직결 공진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인덕터의 L값이 균일하며 트랜지스터의 축적시간(Storage time)이 균일하고 저항값이 정밀하다는 많은 조건들이 구비되었다면 주트랜지스터(Q1), (Q2)가 동시에 도통되는 일이 없이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으나, 이들의 변수들을 정확시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고 특히 양산체제에서는 도저히 하나하나 정밀조절을 할수 없어서 불량율이 격중하게 되므로 실용화할 수 없고 더구나 이들 조건을 충족시켰을 경우에도 경년(經年)에 따라 또는 전원 전압의 잡음신호 혼입이나 주파수의 불균일, 전압의 불균일등으로 인하여 주트랜지스터(Q1), (Q2)가 동시에 도통되어 파괴되므로 실용화게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그러므로 동작중에 주트랜지스터(Q1), (Q2)를 보호하고 점등개시를 위하여 별도로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자동재점등이 가능하도록된 전자식 점등장치가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2-1748호(공고일자 1982. 9. 27 명칭 : 인버터용 트리거 및 보호회로)이다.
참고적으로 이의 구조를 살펴보면, 두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SCR과 등가된 회로를 형성하되 상기 두트랜지스터의 조합은 인버터가 작동되고 있지 않을시에 트리거 소자의 역할을 하여 인버터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반면에 상기 인버터가 동작되고 있는 경우에는 보호회로 소자로써의 역활을 수행하여 주트랜시스터를 턴오프되게 함으로써 인버터의 작동이 정지될수 있게한 자체 발진형 인버터의 트리거 및 보호회로인바, 이 역시 트리거 및 보호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 콘덴서의 전기적 특성이 정밀하게 조정되어야 하므로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오히려 본래의 전자식 점등장치의 부품수보다 2배이상 능가하는 정도로 회로가 복잡하여 실용성을 찾기 어려우며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제작비가 많이 들며 또한 주트랜지스터가 근본적으로 오동작을 하게 되는 주요한 원인인 입력되는 전원전압에 혼입된 잡음 신호나 전압변동 주파수 변동등에 관한 대책이 전혀 없이 주트랜지스터들이 과열되면 단순히 발진이 정지되게한 것이어서 빈번한 작동정지 상태가 야기되는 치명적인 결함이 발견되었다.
또한 이런경우에 주트랜지스터들이 과전류 과전압으로부터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데에는 고내압 대전력 고속 스위칭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나 기타의 반도체 스위칭 소자(T'RIAC, SCR)등을 채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는 있겠으나 이는 그 가격이 매우 고가이어서 전자식 안정기에는 채용할 수 없을뿐더러 그러한 트랜지스터나 스위칭 소자라도 기존의 회로에서는 특성이 열화되거나 파괴될 우려가 있는 것이므로 근본적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었고 또한 상기한 바의 종래에 알려진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는 점등개시용 트리거 펄스가 계속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인바 이는 어느한 주트랜지스터가 차단되어 있어야 하는 시간에도 항상 그 베이스에 주기적으로 펄스 트레인(Pulse Train)을 가하여 주게 되고 이때 외부잡음이나 전원 전압변동등에 의하여 주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트리거 시키기에 충분한 전압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두개의 주트랜지스터가 모두 도통되어 과전류로 인한 파괴현상이 야기되는 것이므로 이에 관한 효과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열거한 바와같은 전자식 점등장치가 갖는 경량성, 순간점등, 폴리커현상제거, 고효율, 조도향상등의 장점을 그대로 보유화면서 주트랜지스터가 열적 파괴되는 일이 없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점등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자동점등이 가능하게 하고 점등이 끝난후에는 오동작의 원인이 될수 있는 펄스트리거 회로가 작동을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동작의 신뢰성을 재고시키는데 있으며 또한 형광램프 파손등에 의한 경우의 보호대책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술되는 바와같이 바이파일러감이(Bifilar winding) 트랜스포머의 역기 전력을 이용하여 차단되는 측의 주트랜지스터 일측이 순간적으로 역바이어스 상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도통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아울러 트리거 펄스 발생용 충전 콘덴서의 양단이 형광램프 점등후에는 자동으로 단락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더 이상의 펄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3도에 보인 바와같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의하여 정류된 전원이 콘덴서(C)에서 평활된후 직류로써 전원으로 공급되며 이러한 전원에 저항(R1) 및 병렬접속된 트랜지스터(Q3)와 콘덴서(C4)가 직렬접속되어 있고 이 콘덴서(C4)의 전압이 다이액(DT)를 거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하며 또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하고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와 에미터에는 직렬 접속된 저항(R3), (R4) 및 트랜스포머(T)의 2차측 권선(L3), (L4) 그리고 제너다이오드(ZD1), (ZC2)를 접속하고 콜랙터와 에미터에는 다이오드(D1), (D2)를 연결하며 트랜스포머(T)의 1차측권선(L1), (L2)을 바이파일러감이(Bilifar winding)하여 그 양단을 두트랜지스터(Q1), (Q2)의 콜렉터와 에미터에 접속하고 다른 양단을 공통 접속하여 인덕터(L) 및 콘덴서(C1), (C2), (C3) 그리고 다이오드(D4), (D5)와 형광램프(FL)로 구성된 공지의 공진회로에 연결되게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원을 인가하면 정류 및 평활된 직류전원이 저항(R1) 및 콘덴서(C4)에 흘러 콘덴서(C4)는 충전 되면서 그 양단의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콘덴서(C4)양단에는 임의의 기준치 이상의 전압이 걸리게 되고 이 전압은 다이액(DT)의 브레이크 오버(Brake over) 전압을 상회하게 되므로 다이액(DT)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고 이 전압은 트랜지스터(Q3)를 도통시킬뿐만 아니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도 인가되어 이를 도통시켜 콘덴서(C4)가 등가적으로는 단락된 것과 같으므로 더이상의 충전이나 방전현상은 일어나지 않으며 다이액(DT)에 가해지는 전압은 브레이크오버 전압 이하의 매우 적은 값이 되어 다이액(DT)는 차단상태가 됨으로써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더 이상의 펄스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트리거된 후 도통되므로 전원인가시부터 충전되어 있던 콘덴서(C2)의 전하가 콘덴서(C3), 인덕터(L) 그리고 트랜스포머(T)의 1차측권선(L2) 그리고 트랜지스터(Q2)에 흐르면서 방전하게 되며 한편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트리거 전압은 트랜스포머(T)의 2차측권선(L4)에도 가해지는데 이러한 현상은 트리거 펄스의 지속시간 만큼 유지되므로 그후에는 트랜스포머(T)의 1차측권선(L2) 및 2차측권선(L4)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고 트랜지스터(Q2)도 차단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트랜스포머(T)의 1차측권선(L2)에는 역기 전압이 발생되는데 이 전압은 현재 흐르고 있었던 전류의 반대 방향으로 흐르려고 하므로 트랜지스터(Q2)의 콜랙터와 에미터에는 역방향(Reverse)바이어스가 걸리게 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어떠한 전압이 가해지던지 차단상태로 신속하게 전환되는 것이고 동시에 트랜스포머(T)의 다른 1차측(L1) 및 2차측(L3)에는 현재까지 흐르고 있던 유기되어 있던 전압과 반대의 전압이 유기되는 상대 반전이 이루어지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튼 2차코일(L3)에 의한 "+"의 전압이 순간적으로 인가되며 그 순간에는 1차측(L1)의 전압 역시 트랜지스터(Q1)의 순방향 바이어스로 반전되므로 트랜지스터(Q1)은 도통상태가 되어 전원전압을 흘릴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전원전압은 트랜지스터(Q1) 및 트랜지스터(T)의 1차즉(L1) 그리고 인덕터(L)과 콘덴서(C3) 그리고 콘덴서(C2)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콘덴서(C2), (C3)에는 충전이 완료되어 트랜지스터(Q1)은 스스로 차단 상태가 되므로 전원전류는 더이상 흐를 수 없게 되고 그러므로 콘덴서(C2), (C3)에 의한 충전 저하가 생성되는 것이고, 또한 트랜스포머(T)의 1차측권선(L1)과 2차측(L3)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므로 이들에는 역시 전압이 생성되면서 트랜지스터(Q1)에 역방향바이어스로서 작용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은 축전전하의 유무에 불구하고 즉시 차단되며 그 순간에는 트랜스포머(T)의 다른 1차측(L2)과 다른 2차측(L4)에 유기되어 있던 전압이 상태 반전되어 순방향 바이어스로써 작용하므로 트랜지스터(Q2)는 도통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러므로 상기한 바의 콘덴서(C2), (C3)에 의한 충전전하는 인덕터(L)와 트랜스포머(T)의 1차측(L2) 그리고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방전하며 방전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전기한 바와같은 과정으로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고 콘덴서(C2), (C3)가 재충전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결국 트랜지스터(Q1), (Q2)는 교번으로 도통 및 차단상태를 반복하면서 인덕터(L)과 콘덴서(C2), (C3)에는 공진현상이 야기되어 공진전압이 얻어진다. 이때의 공진전압은 형광램프(FL)의 방전 개시 전압 이상의 전압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공진주파수를 높임으로써 인덕터(L)를 소형화할 수 있게 도니다.
즉, 공진주파수
Figure kpo00002
이와같이하여 결정된 공진주파수는 매우 높은 주파수가 되며 이때에 축전전하를 갖는 트랜지스터(Q1), (Q2)가 과연 신속하게 차단될수 있는가의 여부가 문제로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트랜지스터(Q1), (Q2)의 차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극소로 단축시키는데에 코일의 역기전압에 의한 역바이어스 전압을 이용하였던바 획기적으로 신속하게 차단할수 있었던 것이어서 스위칭 특성이 우수한 트랜지스터가 아니더라도 사용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의 차단시간의 지연으로 인하여 두트랜지스터(Q1), (Q2)가 동시에 도통됨에 따라 파괴되는 일이 없으며, 스위칭시에 본 발명에 의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등가회로를 제4도에 보였다.
그리고 이와같이하여 점등장치를 구성하여 사용하다보면 형광램프의 수명이 다되어 혹화현상이 극도로 심화됨에 따라 형광램프의 필라멘트가 가열된 상태에서 점등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나 또는 형광램프의 유리관이 파괴된 경우에는 인덕터(L) 및 콘덴서(C3)에 의하여 직렬공진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막대한 전류가 흐르게되므로 이 경우에도 형광램프의 필라멘트가 절단될때까지 계속 트랜지스터(Q1), (Q2)에 과전류가 흐르고 있게 되므로 트랜지스터가 열파괴될 우려가 높게 된다.
더구나 실내 기온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형광램프의 혹화현상이 극도로 심화되거나 파괴된 경우에는 열폭주(熱暴走) 현상에 의하여 트랜지스터가 파괴되는 일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경우에 발진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트랜지스터가 과열되어 파손되지 않게 하였다. 즉, 형광램프가 파손되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방전유지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이던지 형광램프의 혹화현상이 매우 심각하여 방전유지가 불가능하게된 경우에는 양측 필라멘트를 통하여 트랜지스터의 전류가 흐를수 있으므로 콘덴서(C2), (C3) 및 인덕터(L)에 의한 직열공진회로가 구성되어 대전류가 흐르며 이때 흐르는 전류는 정상적인 점등개시시의 전류보다 월등히 증가된 값이므로 전류트랜지스포머(CT)의 2차측코일에는 대전류에 비례한 높은 전압이 유기된다.
이때의 유기되는 전압은 댐핑저항(R5)에서 적당한 크기로 감쇄되면서 다이오드(D3)에서 정류된후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가해져서 도통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전압은 거의 OV에 가깝게 되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간이 단락된 것으로되어 트랜스포머(T)의 2차측(L3)가 단락된 것이므로 트랜스포머(T)에 의한 전압의 분개기능이 상실되어 트랜지스터(Q1), (Q2)는 모두 그 베이스를 여기시키는 유기전압을 공급받지 못하여 작동을 정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본 발명에서는 스스로 점등을 개시하려는 트리거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며 따라서 형광램프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순간 재점등이 가능하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Q1), (Q2)는 작동을 정지하고 있으나 저항(R1) 및 콘덴서(C4)에 의한 전압이 다이액(DT)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트리거 펄스로써 다시 인가되는 것이나 트랜스포머(T)에 의한 베이스 전압인가 기능이 상실되어 작동이 정지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게 되는 것이며, 형광램프를 교체하여 주면 전기한 바와같이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휴즈저항(Fuse Resister)(Rf)을 전원의 일측과 브리지다이오드(BD)사이에 삽설하면 트랜지스터(Q1), (Q2)나 기타 부품들이 파손되어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저항 성분에 의한 발열작용으로 단선되어 점등 장치 전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소자로써 트래지스터만을 예로들었으나 이를 SCR등으로 대치하여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하여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전자식점등장치가 갖는 순간 점등이 가능한점과 경량인점 그리고 소형이라는 점외에도 플리커 현상이 없다는 점, 전원전압변동에 안정된 동작이 가능한점, 광전 변환효율이 높다는 점등의 본래의 장점을 그대로 갖게 되면서도 기존의 전자식 점등장치가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치명적인 결점인 오동작에 따른 트랜지스터 파괴 현상을 막을 수 있어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다는 탁월한 장점이 있고 트랜지스터의 작동개시 시점에서만 트리거 펄스가 인가되게 함으로써 점등장치의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켰으며 형광램프의 파손이나 혹화현상의 심화에 따른 과전류로 부터 트랜지스터를 보호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경제적인 보호회로를 얻을 수 있어서 제품의 고장율을 파격적으로 격감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

  1. 저항(R1)과 콘덴서(C4)에 의하여 발생된 트리거신호가 트랜지스터(Q2)에 가해지며, 전원의 양측에 직렬로 접속된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와 에미터에는 트랜스포머(T)의 2차측을 접속하며, 트랜스포머(T)의 1차측은 트랜지스터(Q1), (Q2)의 접속점과 인덕터(L)사이에 접속하고, 인덕터(L)와 콘덴서(C1), (C2)사이에 형광램프(FL)을 접속하여서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콘덴서(C4)양단에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에미터를 접속하고 그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하며 콘덴서(C4)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에는 다이액(DT)을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 (Q2)사이에 트랜스포머(T)의 권선을 바이파일러감이로 하여 1차측권선을 2개 준비하며 그 1차측(L1), (L2)을 직렬로 접속하고 접속점은 인덕터(L)와 연결하며, 형광램프(FL)에 연결된 콘덴서(C3)와 직렬로 전류트랜스포머(CT)를 연결하고 그 이차측에 다이오드(D3) 및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와 베이스를 접속하며, 그 에미터와 콜랙터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연결하여서된 형광램프의 점등장치.
KR1019860006677A 1986-08-13 1986-08-13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KR89000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677A KR890002730B1 (ko) 1986-08-13 1986-08-13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6677A KR890002730B1 (ko) 1986-08-13 1986-08-13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44A KR880003544A (ko) 1988-05-17
KR890002730B1 true KR890002730B1 (ko) 1989-07-25

Family

ID=1925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677A KR890002730B1 (ko) 1986-08-13 1986-08-13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544A (ko) 198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9690C2 (ru) Балластная цепь дл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EP0534727B1 (en) Electronic ballast arrangement for a compact fluorescent lamp
US5262699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EP0696157A1 (en) Ballast containing pro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rectification of arc discharge lamp
US5142202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arc discharge lamp
US5461287A (en) Booster driven inverter ballast employing the output from the inverter to trigger the booster
JPH06335156A (ja) 電源装置
EP1701594A1 (en) Overload protection arrangement for electronic converters, for instance for halogen lamps
US6198231B1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operating at least one discharge lamp
EP2248252B1 (en) Bipolar power control
US5493181A (en) Capacitive lamp out detector
US20040207335A1 (en) Continuous mode voltage fed inverter
US578391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electric lamps, and operating method for electric lamps
KR940003618Y1 (ko) Hid 램프용 전자식 안정기의 보호회로
EP0126556A1 (en) Method of starting and operating a gas discharge lamp, and power supply and electronic ballast therefor
KR890002730B1 (ko) 전자식 형광램프 점등장치
US4722040A (en) Self-resonant inverter circuit
KR900002394B1 (ko) 방전등(放電燈)의 점등장치
JPH053093A (ja) 放電灯点灯装置
KR890003991B1 (ko) 전자식 안정기의 보호장치
KR20010090977A (ko) 고출력 방전램프용 전자식 안정기회로
KR900008579Y1 (ko) 전자식 형광램프 안정기의 보호회로
KR0129656Y1 (ko) 형광등 점등장치
JP2512164B2 (ja) インバ―タ装置
JPH06111976A (ja) 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