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22Y1 - 인주 용기 - Google Patents

인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22Y1
KR890002722Y1 KR2019860001628U KR860001628U KR890002722Y1 KR 890002722 Y1 KR890002722 Y1 KR 890002722Y1 KR 2019860001628 U KR2019860001628 U KR 2019860001628U KR 860001628 U KR860001628 U KR 860001628U KR 890002722 Y1 KR890002722 Y1 KR 890002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lid
chambers
padd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3310U (ko
Inventor
김병채
Original Assignee
김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채 filed Critical 김병채
Priority to KR201986000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22Y1/ko
Publication of KR870013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3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 B41K1/54Ink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주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제2도 a, b, 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몸체 2 : 만곡성형부
3 : 홈 4 : 공간부
5 : 인주삽입체 6, 6' : 상.하부 인주수장실
7 : 격벽 8, 8' : 주연부
9 : 뚜껑 10 : 압압돌부
본 고안은 인주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주용기에 인주를 담아 오래 사용하게 되면 인주의 중앙부위를 주로 도장으로 압압하게 되므로 인주가 중앙부위는 침몰하고 주연부는 융기되어형으로 되어 도장으로 인주를 찍기가 불편하게 되므로 인주를 사용할 때마다 인주의 주연부를 눌러주거나 인주를 여러 번 찍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용기몸체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이루며 표면에 홈이 형성된 만곡성형부를 돌출시켜 이를 격벽으로 상.하부에 인주수장실이 형성된 인주삽입체에 삽입되게 하여 뚜껑의 압압돌부가 인주삽입체의 주연부를 압압하여 하부 인주수장실에 삽입되게 되는 만곡성형부가 인주를 압압하게 하므로서 상부 인주수장실의 인주를 사용하여 인주가형으로 되게 되면 인주삽입체의 상.하부 인주수장실을 바꿔 만곡성형부를 삽입한 후 뚜껑을 누르게 되면형으로된 상부 인주수장실의 인주가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며 만곡성형부로 인하여 다시 원상태로 된 하부 인주수장실을 인주를 사용하므로서 상.하부 인주수장실의 인주를 일정기간마다 번갈아 사용하면서 항상 도장으로 인주를 찍기 쉬운 형태로 인주를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몸체(1)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상향으로 만곡성형부(2)를 돌출시켜 그 상면에 홈(3)을 형성하여 이를 격벽(7)으로 상.하부 인주수장실(6),(6')이 형성된 인주삽입체(5)에 삽입하고 인주삽입체(5)의 주연부(8),(8')와 맞닿도록 뚜껑(9) 내부에 압압돌부(10)를 돌설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상.하부 인주수장실(6),(6')에 각각 인주(11),(11')를 수장시켜 용기몸체(1)의 만곡성형부(2)를 하부 인주수장실(6')에 삽입되게 끼워 상부 인주수장실(6)의 인주(11)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상부 인주수장실(6)의 인주(11)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인주(11)의 중앙부위가 침몰하고 주연부가 융기되어 인주(11)가형으로 되게되고, 이때에는 제2도에 C에 표현된 바와 같이 인주삽입체(5)의 상.하부 인주수장실(6),(6')을 바꿔 만곡성형부(2)를 삽입하게 되면 하부 인주수장실(6')이 상부로 올라오게 되어 인주(11')를 사용하면 뚜껑(9)을 닫고 압압하게 되면 뚜껑(9)의 압압돌부(10)가 인주삽입체(5)의 주연부(8')를 압압하여 상부 인주수장실(6)에 수장된 인주(11)는 만곡성형부(2)에 의해 중앙부는 융기되고 주연부는 침몰되게 되어 도장으로 찍기가 좋은 상태로 되며 이렇게 위치를 바꿔 사용하다 상부에 위치한 하부 인주수장실(6')의 인주(11')가형으로 되게되면 다시 상.하부 인주수장실(6),(6')을 바꿔 사용하면 항상형의 인주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주삽입체(5)에 격벽(7)으로 상.하부 인주수장실(6),(6')을 형성하여 상.하부 인주수장실(6),(6')에 수장된 인주(11)(,11')를 번갈아가며 용기몸체(1)의 만곡성형부(2)로 사용하기 좋은형으로 성형되게 하여 항시 사용자가 인주를 사용시 도장을 찍기 쉬운 상태로 인주를 보관하므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용기몸체(1)와의 사이에 공간부(4)를 두고 상향의 굴곡성형부(2)를 돌설하여 이를 격벽(7)으로 상.하부 인주수장실(6),(6')을 형성한 인주삽입체(5)에 삽입하고 뚜껑(9)에 돌설된 압압돌부(10)로 인주삽입체(5)의 주연부(8),(8')를 압압하게 하여서 된 인주용기.
KR2019860001628U 1986-02-14 1986-02-14 인주 용기 KR890002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628U KR890002722Y1 (ko) 1986-02-14 1986-02-14 인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628U KR890002722Y1 (ko) 1986-02-14 1986-02-14 인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310U KR870013310U (ko) 1987-09-07
KR890002722Y1 true KR890002722Y1 (ko) 1989-04-29

Family

ID=1924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628U KR890002722Y1 (ko) 1986-02-14 1986-02-14 인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987A (ko) * 1997-09-30 1999-04-15 이종수 에스컬레이터 이동발판의 역회전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987A (ko) * 1997-09-30 1999-04-15 이종수 에스컬레이터 이동발판의 역회전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310U (ko) 198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862A (en) Cosmetic case with interchangeable inserts
KR890002722Y1 (ko) 인주 용기
KR840002479A (ko) 세탁기
KR20180128677A (ko) 밀폐링과 탄성연결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화장품 용기
JPH0339378Y2 (ko)
JPS6169564A (ja) 着脱自在な密閉カバーを有する容器
USD302113S (en) Combined dispensing container and cap
JPH0430116Y2 (ko)
KR890002723Y1 (ko) 인주 용기
JPH0711691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S6214970Y2 (ko)
JPS646722Y2 (ko)
JPH02102323U (ko)
JPH01168459U (ko)
JPH0323127Y2 (ko)
JPH0234486U (ko)
KR880001184Y1 (ko) 뚜껑에 찬통이 설치된 도시락
KR850003015Y1 (ko) 악세사리 반지가 있는 필통
KR930006049Y1 (ko) 인장 수납부가 형성된 도장
JPS6012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S6140248Y2 (ko)
JP3195707B2 (ja) 防湿容器
KR960001283Y1 (ko) 서류식별을 겸한 서랍손잡이의 구조
JPH0534569Y2 (ko)
KR890002724Y1 (ko) 인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