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12Y1 - 미분(微粉)체의 연속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미분(微粉)체의 연속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12Y1
KR890002712Y1 KR2019850009601U KR850009601U KR890002712Y1 KR 890002712 Y1 KR890002712 Y1 KR 890002712Y1 KR 2019850009601 U KR2019850009601 U KR 2019850009601U KR 850009601 U KR850009601 U KR 850009601U KR 890002712 Y1 KR890002712 Y1 KR 890002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return roller
fine powder
diaphragm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9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886U (ko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9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12Y1/ko
Publication of KR870001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분(微粉)체의 연속 도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회송로울러의 표면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 회송로울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변속기
3 : 회송로울러 3, 3' : 요철주면
5, 5' : 축수 7 : 홉퍼
8 : 배출공 9 : 회송로울러
10, 10' : 보울트 11, 11' : 지지횡간
12, 12' : 격판 13, 13' : 슬라이더
15, 15' : 반원형요홈 P, P' : 밀폐체
본 고안은 각종 비닐지의 중합층 등과 같이 화학적 성분의 미분(微粉)체(예를들어 접착제와 같은 것 미분체) 도포를 요하는 제품에 미분을 단위 시간당 균일한 량으로 연속 도포할 수 있도록 안출한 미분의 연속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미분을 송출시켜 도포 되도록한 장치는 기히 공지된 바 있었으나 미분 도포를 요하는 제품의 폭이 넓을 경우에는 미분을 단위 시간당 균일한 량으로 도포할수 없었고 또한 도포되는 미분량을 유효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었던 결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결점에 착안하여 미분체의 도포량과 도포 범위를 적절하게 임의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인바,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같이 기대(1)의 상부에 착설된 무단 변속기(2)에 마름모형의 요철(3')(3") 주면을 갖는 회송로울러(3)를 커플링(4)을 개재하여 축수(5)(5') 사이에 축설하고 후레임(6) 사이에는 홉퍼(7)를 안착하며 홉퍼(7)의 하부에 천설된 배출공(8)과 회송로울러(3) 사이 양측에는 조절인편(9)(9')을 보울트(10)(10')에 의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횡간(11)(11')에 유감시키고 홉퍼(7)내에는 홉퍼(7)와 동형의 격판(12)(12')을 상부후레임(6')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수 있도록 슬라이더(13)(13')로 현가시켰으며 홉퍼(7)의 하단부와 격판(12)(12')의 하단부에는 회송로울러(3)와 면접되는 별도의 밀폐체(P)(P')를 고착시켰다.
여기에서 조절인편(9)(9')이 유삽된 지지횡간(11)(11')은 홉퍼(7)의 하단 양측과 기대(1)에 낙하시켰으며 기대(1)의 하부에는 낙하공(14)이 천설 되었다.
그리고 본 고안 회송로울러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외주면에 반원형 요홈(15) (15')을 요설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기대(1)의 하부에 형성된 이송벨트이고 17은 제품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홉퍼(7)내의 양측 격판(12)(12') 사이에 충입된 화학성분의 미분체를 제품에 도포하기 위하여는 무단 변속기(2)의 구동에 의하여 회송로울러(3)가 회전하면서 마름모형의 요홈(3')면으로 홉퍼(7)내의 미분체가 인입되어 하향 낙하하게 되므로 벨트(16)에 의하여 이송되는 제품(17)에 미분체가 도포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품(17)의 폭에 따라 홉퍼(7)내의 양측격판(12)(12')은 슬라이드 (13)(13')의 좌우 운동에 의하여 격판(12)(12') 사이에 충입된 미분체의 공급범위를 유효적절하게 신축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회송로울러(3)에 의하여 낙하 공급되는 미분체의 도포량은 호퍼(7)의 하부에 형성된 인편(9)(9')을 보울트(10)(10')의 회동력에 의하여 상, 하 이동시켜 적정량의 미분체가 회송로울러(3)의 요홈(3')면으로 공급되는 량을 가감시켜 조절 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고안 회송로울러(3)의 외주면에 요홈(3')대신 반원형 요홈(15)(15')을 요설하여 사용할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미분체 연속 도포장치로서 제품의 폭에 따라 도포 범위를 유효적절하게 조절 할 수 있음은 물론 미분체의 도포량을 가감조절할 수 있고 또한 회송로울러(3)의 구동에 의하여 균일량의 화학성분 미분체가 제품에 도포되기 때문에 도포장치의 사용범위가 확대되는 것이고 제품의 특성에 알맞도록 미분체 도포량을 조절 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 시킬수 있는 지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시한 바와같이 기대(1)의 상부에 착설된 변속기(2)에 요철(3')(3") 주면을 갖는 회송로울러(3)를 축수(5)(5')사이에 축설하여 회송로울러(3)의 상부에는 홉퍼(7)를 안착하되, 홉퍼(7)이 배출공(8)과 회송로울러(3)의 사이에는 조절인편( 9) (9')을 보울트(10)(10')에 의하여 간격조절이 되도록 지지횡간(11)(11')에 유감시키고 홉퍼(7)내에는 홉퍼(7)와 동형의 격판(12)(12')을 상부 후레임(6')에서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13)(13')로 현가시키며 홉퍼(7)와 격판(12)(12')의 하단부에는 회송로울러(3)와 면접되는 밀폐체(P)(P')를 고착하여 된 미분체의 연속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송로울러(3)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반원형 요홈(15)(15')을 요설 하여된 미분체의 연속도포장치.
KR2019850009601U 1985-07-26 1985-07-26 미분(微粉)체의 연속 도포장치 KR890002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601U KR890002712Y1 (ko) 1985-07-26 1985-07-26 미분(微粉)체의 연속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601U KR890002712Y1 (ko) 1985-07-26 1985-07-26 미분(微粉)체의 연속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886U KR870001886U (ko) 1987-03-13
KR890002712Y1 true KR890002712Y1 (ko) 1989-04-29

Family

ID=1924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9601U KR890002712Y1 (ko) 1985-07-26 1985-07-26 미분(微粉)체의 연속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886U (ko) 198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62087B2 (en) Quantifying dough sheeter
KR910014035A (ko) 반죽의 스트레칭 방법 및 장치
US5168806A (en) Inking unit having chambered doctor blade
GB1409366A (en) Apparatus for working highly viscous and like material
CA2327473A1 (en) Method, system and use of the method or system for the application of lacquer
US4998474A (en) Flush inking unit
MY111068A (en) Rotary apparatus with moveable die
US3026842A (en) Spreading apparatus embodying a blade clamping inflatable tube
GB2067102A (en) Applying liquid to cloth
US3185130A (en) Multiple roller coating apparatus
CA1337967C (en) Plastic film bonding machine with improved adhesive spreading devices
KR890002712Y1 (ko) 미분(微粉)체의 연속 도포장치
GB2070980A (en) Adhesive applicator
CA2028033A1 (en) Ink mover distributor roll
WO1993019938A1 (en) Reverse roller coating apparatus
US3836298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coated hard-foam tiles of polyurethane
CA2055124A1 (en) Material dispersion apparatus
US59474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flotation
US3866566A (en) Gauze pad impregnation between belts
GB1345678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intermittent application of adhesive
ES8301122A1 (es) Un dispositivo para recubrir de manera continua y uniforme una tira continua de material movida sobre un contra-rodillo.
US5326401A (en) Emulsion coater
CA1268674C (en) ROLLER COATED TEXTURE
US4388071A (en) Gum applying apparatus
EP0055867A3 (en) Apparatus for applying a thin layer of a coating material to a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