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550Y1 -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 Google Patents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550Y1
KR890002550Y1 KR2019860010782U KR860010782U KR890002550Y1 KR 890002550 Y1 KR890002550 Y1 KR 890002550Y1 KR 2019860010782 U KR2019860010782 U KR 2019860010782U KR 860010782 U KR860010782 U KR 860010782U KR 890002550 Y1 KR890002550 Y1 KR 890002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ransistor
mode
charg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482U (ko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0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550Y1/ko
Publication of KR880003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전원회로 2 : 충전용 전지홀더
K1: 계전기 C, NO, NC : 계전기 접점
Q1, Q2: 트랜지스터 R1~R3: 저항
C1, C2: 콘덴서
본 고안은 충전 겸용 아답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답타의 직류출력 모드와 전지충전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전지 충전용 홀더에서 전지의 삽입여부를 감지한 신호로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계전기를 구동하여 그 접점을 직류 출력모드와 전지 충전모드로 자동 전환 되게한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충전겸용 아답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주 전원회로(20)로부터 계전기접점(c, a)을 통해 직류 출력단자(21)로 직류전압을 출력하여 소정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지의 충전시에는 홀더(22)에 전지를 삽입한 후 스위치(23)를 온하여 플립플롭(24)을 동작시켜서 플립플롭(24)의 출력을 하이로 만들어서 계전기코일(25)에 전류를 흘려주므로서 그 가동접점(c)이 접점(a)에서 떨어져서 접점(b)에 접촉되어 홀더(22)에 삽입된 전지를 충전시키게 된다. 일단 충전이 완료되면 전지를 홀더(22)에서 꺼내고 스위치(23)를 다시 조작하면 플립플롭(24)의 출력이 로우가 되어 계전기 코일(25)에 흐르던 전류를 차단하므로서 접점(c, a)이 온되도록 하여 직류 출력단자(21)를 통해 다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충전겸용 아답타회로에서는 직류출력모드와 충전모드의 전환시마다 일일이 스위치(23)를 조작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전지홀더(22)에 삽입되어진 전지의 충전이 완료되었어도 사용자가 스위치(23)를 조작해주기 전까지는 계속 전원이 공급되어 과층전과 이로인한 전지수명의 단축을 초래하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겸용 아답타가 평상시에는 직류출력모드로 동작하다가 전지홀더에 충전용 전지를 끼워넣으면 자동으로 충전모드로 전환되고, 충전완료후에는 자동으로 직류출력모드로 복귀되게 하므로서 기기사용에 편리를 도모함은 물론 전지의 과충전을 방지하여 수명연장이 가능하도록한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전환회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회로구성을 설명하면 주전원회로(1)의 일측 교류출력단(VAC)은 저항(R1, R2)을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저항(R1, R2)의 접속점(a)은 콘덴서(C1)를 통해 충전용 전지홀더(2)의 일측단자(+)에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3)과 콘덴서(C2)를 통해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주전원회로(1)의 충전완료신호 출력단자(CE)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4)을 통해 주전원회로(1)의 출력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계전기코일(K1)을 통해 주전원회로(1)의 출력과 계전기접전(C)에 연결하되, 계전기접점(NC)은 직류출력단자(3)에 접점(NC)은 전지홀더(2)의 일측단자(+)에 각각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AC는 상용교류전원, T는 트랜스, BD는 브리지다이오드, Co는 콘덴서 RG는 평활회로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지의 내부저항이 작은것(12V, 1.2A의 경우 1Ω이하)을 이용하여 전지의 홀더(2) 삽입 여부를 Ac60H3를 검출한 신호로서 소전류를 항시 흘려서 측정하여 전지 내부의 전극에서 분극 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전지전압이 비정상적으로 0V 출력되는 상태에서도 정확하게 검출하게 하는 동작을 하며 사용자의 사용경우에 따른 동작설명을 다음 3가지로 대변하여 기술한다.
1. 초기상태(전지가 홀더(2)에 삽입되지 않았을때) 교류전압(VAc)를 저항(R1R2)으로 분압하고 이 저항(R2)에 직렬접속된 콘덴서(C1)과 전지 내부저항(12V,1200mA납축전지의 경우 1Ω이하의 내부저항을 갖는다)이 병렬접속된 상태가 되고 전지가 충전홀더(2)내에 삽입되지 않으면 저항(R1과 R2)로 분압된 전압(VAc)가 저항(R3)과 콘덴서(C2)를 거쳐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1)이 온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는 저항(R4)로 부터의 베이스전류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므로, 오프상태가 되어 계전기(K1)가 비동작 상태로 된다. 따라서 계전기(K1)의 접점(NC)과 접점(C)이 접속되고 평활회로(RG)출력은 직류출력단자(3)로 출력된다.
2. 위의 직류 출력모드에서 전지를 홀더(2)에 삽입하면 저항(R1과 R2)에 의해서 분압된 전압(VAc)가 저항(R2) 양단의 전압강하는 콘덴서(C1)과 직렬접속된 전지 내부저항(1Ω이하)에 의하여 a점의 전압(VAc)가 매우 낮아지게 되고 저항(R3)과 콘덴서(C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미터간의 전압이 0.6V이하의 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1)은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저항(R4)를 통한 전원(B+)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류를 공급하여 트랜지스터(Q2)가 온상태가 되며 계전기(K1)가 온(동작)하여 그 접점(C)이 접점(NO)으로 접속되어 전지충전모드로 된다.
3. 위의 전지 충전모드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되면, 통상의 전지 충전기가 행하는 전지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완료시 충전완료신호를 단자(E)로 하이를 내주는 것을 공급받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항상 전지삽입여부 검출신호와 OR적으로 가산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지 충전이 완료되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류가 흘러서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된다.
그러므로 계전기(K1)가 비동작상태가 되어 그 접점(C)이 접점(NC)으로 연결되므로 직류 출력모드로 자동 복귀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전환이 별도의 수동스위치 조작없이 자동으로 수행되어지므로 기기 사용이 편리해지게 되고 전지전압이 급격히 저하되어 OV인 경우에도 종래의 경우처럼 충전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되지 않게 된 것이다.

Claims (1)

  1. 사용교류를 분압,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하게 된 것에 있어서, 주전원회로(1)의 일측 교류출력단(VAc)은 저항(R1, R2)을 통해 접지함과 동시에 저항(R1, R2)의 접속점(a)은 콘덴서(C1)를 통해 충전용 전지홀더(2)의 일측단자(+)에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3)과 콘덴서(C2)를 통해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주전원회로(1)의 충전완료 신호출력단자(CE)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에미터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4)을 통해 주전원회로(1)의 출력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계전기코일(K1)을 통해 주전원회로(1)의 출력과 계전기 접점(C)에 연결하되, 계전기 접점(NC)은 직류출력단자(3)에, 접점(N0)은 전지홀더(2)의 일측단자(+)에 각각 연결하여서 된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전환회로.
KR2019860010782U 1986-07-23 1986-07-23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KR890002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782U KR890002550Y1 (ko) 1986-07-23 1986-07-23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0782U KR890002550Y1 (ko) 1986-07-23 1986-07-23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82U KR880003482U (ko) 1988-04-13
KR890002550Y1 true KR890002550Y1 (ko) 1989-04-29

Family

ID=1925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782U KR890002550Y1 (ko) 1986-07-23 1986-07-23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5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482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0528A (en) Battery charging device
US4609860A (en) Battery charger having automatic deep discharge mode
CA1049610A (en)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powered electronic devices
KR930011803B1 (ko) 전원 회로 및 쉐이버
US4567476A (en) Method and circuit for optical and/or acoustic indication of the charge state of a battery or a storage battery
US5449567A (en) Rechargeable battery
US5523669A (en) Charging circuit capable of supplying DC voltage directly to power supply circuit when battery is removed
US4623832A (en) Secondary battery quick-charging circuit
KR890002550Y1 (ko) 충전겸용 아답타의 모드 자동 전환회로
US4281277A (en) Dual secondary cell charging system
JPH1069320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源装置
US4207515A (en) Battery charger
JP3632720B2 (ja) 電源制御回路
KR0167895B1 (ko)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에서 공급전원 제어회로
JPS6227000Y2 (ko)
KR900003463Y1 (ko) 배터리 백업회로
JP2647146B2 (ja) 二次電池充電制御装置
JPH0139071Y2 (ko)
JPS6227002Y2 (ko)
JPS6111780Y2 (ko)
JPH09275639A (ja) 二次電池の充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回路ならびに充電処理方法
JPH06178457A (ja) 充電装置
JPH0453161Y2 (ko)
KR910006791Y1 (ko) 재충전 배터리의 과충전 보호회로
KR850000554Y1 (ko) 전자 기기의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