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436Y1 -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436Y1
KR890002436Y1 KR2019830010797U KR830010797U KR890002436Y1 KR 890002436 Y1 KR890002436 Y1 KR 890002436Y1 KR 2019830010797 U KR2019830010797 U KR 2019830010797U KR 830010797 U KR830010797 U KR 830010797U KR 890002436 Y1 KR890002436 Y1 KR 890002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late
case cover
hous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918U (ko
Inventor
마사히꼬 가끼사끼
아끼오 우가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10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436Y1/ko
Publication of KR850000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납 장치
도면은 본 고안을 라디오 부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전지 수납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1도는 수납부와 케이스 덮개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케이스 덮개를 벗기고 도시한 수납부의 평명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각기 케이스 덮개를 부착하여서 도시한 제2도의 Ⅲ-Ⅲ 및 Ⅳ-Ⅳ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Ⅴ-Ⅴ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
제6a도 내지 제6c도는 제각기 제1도 내지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리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구부 2 : 수납부
3 : 덮개 12,43,44 : 경사면
17,28 : 구멍 34,35 : 돌출부
36 : 돌기 37 : 로크 기구
40 : 회전걸쇠
본 고안은 상자형 수납부와 이 수납부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한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력에 의해 휘어지기 쉬운 수납부의 휘어짐을 덮개를 이용하여 방지하도록 한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전지 수납 장치에 있어서는 수납부와 이 안에 수납되는 전지의 단자간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납부의 단자의 적어도 한쪽은 스프링 재료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압에 대항하여 전지가 수납된다. 따라서 이 스프링압에 상당하는 힘이 외력으로서 수납부에 가해지므로 수납부는 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수납되는 전지가 커지고, 수납되는 전지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수납부는 일층 휘어지기 쉬워진다.
일반적으로 수납부가 외력에 의해 휘어질 때에는 이 외력을 제거하거나 수납부가 휘어지지 않을 정도로 수납부를 보강하거나 힌지와 같은 다른 부품으로 외력을 흡수하는 등의 방법이 종래부터 채택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 때문에 장치가 커지거나 비용이 많이 들었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 실정에 비추어서 형성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특별히 보강하거나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수납부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자형의 수납부와 이 수납부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한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와 상기 덮개의 접촉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경사면에 따른 상기 덮개체의 외력에 의한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 기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특별히 보강하거나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납부에 부착되는 덮개에 의하여 수납부의 휘어짐이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을 라디오 부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전지 수납장치에 적용한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테이프 레코더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지 수납 장치를 위로 향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전지 수납 장치는 제1도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1)를 가지며, ABS등의 합성수지 로부터 상자형으로 일체로 성형된 수납부(2)와 이 개구부(1)를 폐쇄하기 위한 케이스 덮개(3)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2)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벽(4,5)과 밑판(6)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벽(4)의 내측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L자형 단면의 리브(9a, 9b)로 이루어진 접점단자판 부착 부재(10)가 거의 동일한 전지 부착 간격으로 4조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점 단자판 부착 부재(10)에는 L자형 돌출부와 측벽(4)의 내면 사이에 끼워져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 접점 단자판(11)이 부착되어 있다. 또 각 접점 단자판 부착 부재(10)의 중간에는 합계 3개의 리브(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리브(13)는 상기 L자형 단면의 리브(9a,9b)보다 약간 높고 단면이 각형으로, 그 상단면에는 외측을 향해 내려간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4)의 상단부에는 수평면(14)과 수직면(15)으로 형성된 제1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평면(14)상에는 상기 경사면(12)이 형성된 리브(13)와 수직면(15) 사이에 고무등의 탄성재로 되어 있고 단면이 각형인 패킹(1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패킹(16)의 상면은 최소한 경사면(12)의 최하 단부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 되 있다. 또 수직면(15)을 갖는 측벽(15a)의 소정의 위치에는 3개의 긴 구멍(17)과, 상기 경사면(12)이 부착된 리브(13)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성형 압출용의 절개부(18)가 제각기 형성되어 있다.
한편 측벽(5)의 내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L자형 단면의 리브(21a,21b)로 형성된 접점 단자판 부착 부재(22)가 상기 측벽(4)의 접점 단자판 부착 부재(10)에 대향하여 동일하게 4조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점 단자판 부착 부재(22)에도 상기와 동일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 접점 단자판(23)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판 부착 부재(22)의 사이에는 2개의 리브(24a,24b)가, 그리고 양단의 단자판 부착 부재(22)의 외측에는 각기 한개의 리브(24c)가 제각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상단면은 거의 평탄하고, 그 높이는 상기 경사면(12)의 최상단부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리브(24a 내지 24c)중, 케이스 덮개(3)의 부착에 지장이 있는 부분의 높이는 이에 대응하여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5)의 상단부에는 수평면(25)과 수직면(26)으로 이루어진 제2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평면(25)상에는 수직면(26)과 상기 리브(24a 내지 24c)와의 사이에 고무등의 탄성재로 되어있고 단면이 각형인 패킹(2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패킹(27)의 상면은 상기 리브(24a 내지 24c)의 상단면보다 낮은 높이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또 수직면(26)을 갖는 측벽(26a)의 소정 위치에는 2개의 긴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밑판(6)의 내면의 양 측벽(4, 5)의 근방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30)를 적재하여 이를 유지하기 위한 리브(31, 32)가 제각기 설치되어 있고, 전지(30)의 부착 피치마다 전지(30)가 적재되는 호(弧)형의 요부(31a, 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31)는 상기 경사면(12)이 형성된 리브(13)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이들에 연결되어 있다(제4도).
다음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 의해 케이스 덮개(3)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 덮개(3)는 그 하면의 주위에 단면이 구형 형태인 끼워지는 쪽의 돌출부(34)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구형 형태인 로크쪽의 돌출부(35)와, 이들을 연결하는 돌출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판상으로 합성수지 등으로부터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끼워지는 쪽의 측단면의 소정의 위치에는 끼음용의 돌기(36)가 3개 설치되어 있고, 로크쪽의 소정의 위치에는 2조의 로크 기구(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37)는 노브(38)와, 이 노브(38)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39)과, 이 회전축(39)에 일체로 설치된 회전 걸쇠로 이루어지고 회전 걸쇠(40)는 케이스 덮개(3)의 중공부(41)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케이스 덮개(3)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39)에는 케이스 덮개(3)와의 사이에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노브(38)를 화살표 A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걸쇠(40)가 중공부(41)내에 숨겨지고, 화살표 B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걸쇠(40)가 중공부(41)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수납부(2)에 케이스 덮개를 부착하려면, 제3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덮개(3)를 약간 비스듬하게 하고 그 돌기(36)를 측벽(4)의 상부의 긴 구멍(17)에 끼우고, 패킹(1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케이스 덮개(3)를 화살표 C방향으로 눕힌다. 그리고 패킹(2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케이스 덮개(3)를 누르면서 로크 장치(37)의 노브(38)를 화살표 B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걸쇠(40)가 돌출하여 측벽(5) 상부의 긴 구멍(28)에 결합하여 케이스 덮개(3)는 로크된다. 이 로크된 상태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덮개(3)가 끼워지는 쪽에서는 돌기(36)의 상면이 긴 구멍(17)의 내면의 상측면에 맞닿아 있고, 돌출부(34)는 리브(13)의 경사면(12)상에 적재되는 것과 동시에 패킹(16)을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누르고 있다. 한편, 로크쪽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덮개(3)의 돌출부(35)의 내측면이 리브(24a 내지 24c)의 외측면에 결합하고, 회전 걸쇠(40)의 상면이 긴 구멍(28)의 내면의 상측면에 맞닿아 있고, 돌출부(35)의 하면은 패킹(27)을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누르고 있다. 또한, 상기 로크된 상태에서 케이스 덮개(3)의 측단면과 상기 측벽(4, 5)의 상부 수직면(15, 26)과의 사이에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각기 약간의 틈 S1, S1'를 갖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즉, 이것을 간략하게 도시하면 제6a도와 같이 되고, 케이스 덮개(3)는 그 내면과 리브(13 및 24a 내지 24c)의 상단면 사이에 제각기 틈 S1, S1'를 가지고 있고, 돌출부(34)는 리브(13)의 경사면(12)상에 적재 배치되며, 돌출부(35)의 내측면은 리브(24a 내지 24c)의 외측면에 결합하고, 돌출부(34)와 돌출부(35)는 케이스 덮개(3)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전지(30)를 접점 단자판(11), (23)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수납부(2)에 넣었기 때문에 화살표 G방향에 생기는 수납부(2)를 넓히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케이스 덮개(3)는 경사면(12)을 따라서 화살표 F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려고 한다. 그러나 케이스 덮개(3)는 상기와 같이 돌기(36) 및 회전조(40)와 긴 구멍(17, 28)의 결합에 의해 화살표 F방향의 이동을 할수 없도록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납부(2)를 넓히려고하는 힘은 케이스 덮개(3)에 의하여 지지되고 수납부(2)의 휘어짐은 방지된다.
제6b도에 도시한 제2의 실시예에서는 제6a도에 도시한 제1의 실시예에서의 경사면(12) 대신에 돌출부(34)의 내측부에 경사면(43)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경우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수납부(2)를 화살표 G방향으로 넓히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케이스 덮개(3)는 화살표 F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려고 하지만 케이스 덮개(3)의 이 방향의 이동은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속되어 있으므로 수납부(2)의 휘어짐이 방지되는 것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제6c도에 도시하는 제3의 실시예에서는 내측을 향해 내려간 경사면(14)이 리브(13)에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35)의 외측면과 리브(24a 내지 24c)의 내측면이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부(2)를 내측으로 휘게 하려는 화살표 H방향의 힘에 의하여 케이스 덮개(3)는 화살표 F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려고 하지만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이동은 구속되어 있으므로 화살표 H방향의 휘어짐이 방지되는 것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와 똑같은 것이다.
상기의 작용 효과는 케이스 덮개(3)를 볼트로 수납부(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이 체결하는 힘을 크게 한다면 상기 경사면과의 관계에서 외력에 의해 휘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서 되돌아오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 덮개(3)의 착탈은 극히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므로 착탈의 빈도가 많은 것에는 본 실시예의 케이스 덮개(3)가 최적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납부와 상기 덮개체와의 접촉부의 최소한 어느 한쪽에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경사면을 따른 상기 덮개체의 외력에 의한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 기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부를 휘게 하려는 외력에 의해 덮개체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려고 하여도 이 이동은 구속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수납부의 휘어짐은 덮개체의 부착에 의하여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특별히 보강하거나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수납부의 휘어짐이 방지되므로 장치의 경량화도 가능하고 또한, 비용도 저렴하므로 유리한 것이다.

Claims (1)

  1.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와, 이 수납부(2)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판상의 덮개(3)를 각기 구비하고, 상기 덮개(3)의 한 측면부에 삽입 돌기(36)를 설치하는 한편, 이 한 측면부와 대향하는 다른 측면부 부근에 로크 기구(37)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부(2)의 한 측면부에 상기 삽입 돌기(36)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17)을, 그리고 상기 수납부의 한 측면부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부에 상기 로크 기구(37)를 로크하는 긴 구멍(28)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물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3)에는 한 측면부에 판상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쪽 돌출부(34)를 설치하고, 다른 측면부에 판상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른쪽 돌출부(35)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부(2)에는 한 측면부에 상기 한쪽 돌출부(34)가 결합하는 제1오목부를, 그리고 다른 측면부에 상기 다른 돌출부(35)가 결합하는 제2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부(2)의 개구부(1)를 상기 덮개(3)로 폐쇄했을때, 상기 제1오목부를 형성하는 외측판과 내측판중 내측판의 외벽과 이것에 맞닿는 상기 한쪽 돌출부에 각각 접촉면을 마련하고, 이들 접촉면중 적어도 상기 제1오목부를 형성하는 내측판의 접촉면을 선단으로 갈수록 차츰 얇아지도록 한 경사면(12)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오목부의 내측판의 외벽과 맞닿는 상기 한쪽 돌출부(34)의 접촉면을 선단으로 갈수록 차츰 얇아지도록 한 경사면(43)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수납장치.
KR2019830010797U 1983-12-19 1983-12-19 수납 장치 KR890002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797U KR890002436Y1 (ko) 1983-12-19 1983-12-19 수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797U KR890002436Y1 (ko) 1983-12-19 1983-12-19 수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918U KR850000918U (ko) 1985-03-30
KR890002436Y1 true KR890002436Y1 (ko) 1989-04-22

Family

ID=7016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797U KR890002436Y1 (ko) 1983-12-19 1983-12-19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4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918U (ko) 198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908Y1 (ko) 비디오 카세트 보관상자
US5688030A (en)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with support members
US4259568A (en) Combined casing and operational support for a pocket calculator
CA1295635C (en) Molded plastic enclosure for disconnect switches
KR910003433A (ko) 필름 박스
KR890002436Y1 (ko) 수납 장치
US5002319A (en) Sheet metal latch apparatus
CA1149000A (en) Lock structure for integrating a cabinet cover and a bottom plate
JPH11185720A (ja) 防水型電池蓋の取付構造
JPH075143B2 (ja) 電子部品収納容器
JPS6240348Y2 (ko)
KR920005140A (ko) 비디오 카세트 더스트 도어 래치
US4583774A (en) Battery door latching mechanism
JP2000031661A (ja) 合成樹脂製容器
JPH0139397Y2 (ko)
JP2747978B2 (ja) 防水ケース
KR910003748Y1 (ko) 로크장치
JP3170869B2 (ja) 収納ケース
US3531172A (en) Insert for locker door
JPS5839010Y2 (ja) 電池カバ−取付構造
GB2134586A (en) Wire holder
JPH0615456Y2 (ja) カバー部材のロック機構
JPS60139958U (ja) 差込結合部材の固定装置
JPH063829Y2 (ja) テ−プカ−トリツジの収納ケ−ス
JPS591366Y2 (ja) 室内配線用カ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