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316B1 - 자동차형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형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316B1
KR890002316B1 KR1019860009052A KR860009052A KR890002316B1 KR 890002316 B1 KR890002316 B1 KR 890002316B1 KR 1019860009052 A KR1019860009052 A KR 1019860009052A KR 860009052 A KR860009052 A KR 860009052A KR 890002316 B1 KR890002316 B1 KR 89000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k
groove
locking device
vehic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963A (ko
Inventor
손영수
손영철
Original Assignee
손영수
손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수, 손영철 filed Critical 손영수
Priority to KR101986000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316B1/ko
Publication of KR88000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7/00Wheel-axle combinations, e.g. wheel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1/00Apparatus or 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wheels
    • B60B31/06Apparatus or 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wheels for removing or attaching cover discs, hub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형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도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제 2(a)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그 작동상태도.
제 3(a)도, 제3(b)도는 본 발명의 작동 요부 발췌도 및 그 작동상태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제 5 도는 종래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상태 예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결합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1 : 오목홈
12 : 단턱 14 : 삽입돌기
2 : 승강체 21 : 슬라이드홈
22 : 돌출부재 24 : 삽입홈
25,63 : 경사바닥면 3 : 압축스프링
4 : 캡 42 : 돌출부재출입공
6 : 회전체 61 : 회전판
62 : 회전구 65 : 가이드공
66 : 홈 67 : 접촉돌기
7 : 이탈방지판 72 : 스톱퍼
본 발명은 중앙부위에 결합 구멍을 가지는 자동차용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커다란 토오크가 작용하는 디스크를 견고하면서도, 보다 신속 간편하게 결합 록킹시키거나, 용이하게 분리 해체시킬 수 있도록된 새로운 결합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휠은 제 5 도에서와 같이 타이어 지지용 림(Rim)(101)과, 액슬 말단의 허브(Hub)에 면접촉 상태로 체결되는 디스크(102)로 구성되면서, 차체의 중량을 분담 지지하고 구동 및 제동시의 토오크,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선회시의 원심력과 차가 기울었을때 발생하는 옆방향의 힘등에 견디어야 하므로써 허브와 상당한 체결력으로 접촉 결합 설치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면 제 5 도에서와 같이, 허브(100)의 외측면에 수개의 볼트를 결합 돌출시키고 중앙부위에 허브 너트체결용 통공을 구비한 휠 디스크(102)의 중앙 통공 측방에는 상기 볼트 관통용 체결공을 형성하여 이들을 관통 결합시킨뒤, 볼트에 너트를 견고하게 결합 체결시켜 왔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는 방법은 체결력을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타이어 펑크나 이상 발생시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각각의 너트를 풀어낸뒤 분리시키고 나서, 다시 새로운 타이어를 분리의 반대방법을 결합 록킹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결합 록킹방법은 작업자가 각각의 너트를 풀었다가 조여줘야 하므로 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서 비능률적일 뿐만 아니라, 많은 힘이 들고 작업이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 디스크의 체결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보다 신속 간편하게 결합 분리 자재토록 구성된 자동차용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의 허브에 고정 결합설치된 몸체의 외측면 중앙부위에 소정의 내경과 깊이를 가지는 작동용 오목홈과, 그 외측에는 디스크의 두께와 같은 높이를 가지며 그 중앙의 통공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형 단턱 및, 측방바닥면에 휠 디스크의 체결용 통공으로 삽입될 적어도 1개 이상의 위치고정용 돌기를 형성한뒤, 적어도 2개 이상의 돌출부재를 측방 돌출시킨 상태로 경사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자재토록 결합시킨 테이퍼 원추형 승강체를 형성하여 이를 상기 몸체의 오목홈내에 압축스프링으로 탄동 결합시키면서, 그 상측에는 상기 돌출부재 출입공을 구비하였으며 상기 원형단턱과 같은 외경을 가지는 캡을 체결하여 이탈방지토록 하였다.
그리고, 캡의 표면에는 상기 승강체 승강용 회전체를 정 역회전 자재토록 설치함에 따라, 몸체내의 승강체를 최대로 상승시키면 측방의 돌출부재 선단부가 출입공을 통해 원형단턱의 외측방으로 돌출되므로써, 그 저면과 몸체의 상면 사이에 위치고정용 돌기로서 관통설치된 디스크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 록킹시키는 것이고, 상기 승강체를 하강시키면 상기 돌출부재가 경사 안내홈에 의해 캡 내부로 삽입되므로서 디스크를 쉽게 분리 해체시킬 수 있도록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 1 도 및 제 2(a)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록킹장치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허브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1)와, 측방 돌출부재(22)를 구비하고 몸체의 오목홈(11)내에 압축스프링(3)과 캡(4)으로서 탄동 설치되는 승강체(2) 및, 상기 승강체 승강작동용 회전체(6)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몸체(1)는 차체의 허브(도시하지 않음)에 볼트로 관통체결되며, 그 외측면(도면상으로는 상측면) 중앙부위에는 소정의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작동용 오목홈(11)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결합체결될 디스크의 중앙 구성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디스크의 두께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원형단턱(12)이 형성되었으며, 그 외측방 바닥면(13)에는 디스크 체결공으로 관통 삽입될 적어도 1개 이상의 삽입돌기(14)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승강체(2)는 상기 작동용 오목홈(11)내에 위치토록된 외경을 가지는 테이퍼 원추형으로서, 그 경사부 표면에는 상단이 개구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라이드홈(21)이 길이방향으로 신장형성 되었고, 상기 홈내부에는 후단부의 양측에 이탈방지용 걸림턱(23)을 형성한 돌출부재(22)를 상하 슬라이딩 자재토록 결합 설치하였으며, 외측면(도면상으로는 상측면) 중앙부에 형성한 삽입홈(24) 내부바닥은 도면 제 3 도에서와 같이 일측의 최고부와 다른측의 최저부 사이에 소정의 높이차(H)를 가지는 경사바닥면(25)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 위에 가이드봉(26)이 상향 돌출 설치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강체(2)는 상기 몸체(1)의 오목 홈(11) 내에서 하방에 탄동결합된 압축스프링(3)을 압축시킨 상태로서 돌출부재(22)의 선단부위 바닥면을 원형단턱(12) 상면에 접촉시킨 형태로 삽입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원형단턱(12)과 같은 외경을 가지면서 상면 중앙부위에 승강체(2)의 상부 돌출용 통공(41)과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재 출입공(42)을 구비하고 볼트부재(5)로써 몸체(1)의 단턱상부에 관통 체결설치되는 탭(4)으로서 이탈방지토록 제어된다.
따라서 승강체(2)는 최대 상승 위치에서 이탈방지되며 측방의 돌출부재(22)는 최대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체(2)를 승강 동작시키기 위하여 결합 설치되는 회전체(6)는, 상기 승강체(2)와 삽입홈(24)내로 삽입될 외경을 가지는 회전구(62)와 회전판(61)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구(62)의 저면은 도면 제 3 도에서와 같이 삽입홈(24)의 경사바닥면(25)과 대칭되는 경사바닥면(63)을 가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봉(26)이 삽입될 가이드공(65)이 형성되고, 상측에 이탈방지용 넥크부(64)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6)는 상기 넥크부(64)에 삽입될 반원호형 오목부(71)를 구비하고 상기 캡(4)의 상면에 별도의 볼트 부재(8)로써 관통 체결 부착되는 1쌍의 이탈방지판(7)에 의해 회전구(62)가 승강체(2)의 삽입홈(24)내에 삽입결합되어 정역회전 자재토록 결합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작용은 크게 차량용 휠 디스크를 이탈방지토록 잡아주어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록크 작용과, 휠 디스크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록크 해제 작용으로 나누어 진다.
첫째, 록크 작용은, 휠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몸체(1)의 바닥면(13)과 접하도록하고 삽입돌기(14)를 디스크의 구멍으로 관통 결합시킨 상태에서 돌출부재(22)의 선단부를 외측방으로 돌출시켜 디스크의 외측면을 눌러주는 동작으로 가능케 된다.
이와같이 디스크에 대한 돌출부재(22)의 누룩작용은 승강체(2)가 상승한 위치에 있을때 행해지며, 승강체(2)는 상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하방측에서 가해지는 압축스프링(3)의 탄력에 의해 상승되며, 이와같은 상승 작용에 의해 돌출부재(22)의 후단 걸림턱(23)이 경사면을 따라 신장 형성된 슬라이드홈(21)의 하측 부위와 접하게 되므로, 그 선단부위는 캡(4)의 출입공(42)을 통해 외측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승강체(2)의 삽입홈(24) 내부의 경사바닥면(25)과 회전체(6)의 회전구(62) 저면에 형성된 경사바닥면(63)은 상호 도면 제 3(a)도에서와 같이 대칭으로 형합되어 상호간에 작용을 미치지 않게 된다.
둘째, 록크 해제작용은, 회전체(6)를 시계방향으로 약 180°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행해지는데, 회전체(6) 즉 회전판(61)을 180°회전시키게 되면 그 하부에 고정결합된 회전구(62)도 등각도로 회전하게 되는바, 그 저면의 경사바닥면(63) 최고돌출부가 삽입홈(24) 내부의 경사바닥면(25) 최고 돌출부와 제 3(b)도와 같은 형태로 접하게 되므로 그 높이차(H)만큼 승강체(2)가 압축스프링(3)을 더욱 압축시키면서 몸체(12)의 오목홈(11)내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재(22)의 후단 걸림턱(23)이 슬라이드홈(21)의 상측 부위에 접하게 되므로 그 선단부위는 캡(4)의 출입공(42)을 통해 중심축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디스크에 대한 접촉제어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가 되면 몸체에 결합된 디스크를 쉽게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같은 록크 해제상태에서 디스크를 분리시켰다가 재차 결합시킨후에는 회전체(6)의 회전판(61)을 반시계방향으로 180°선회시켜 원위치 시키게 되면 승강체(2)와 회전체(6)의 경사바닥면(25)(63)이 다시 제 3(a)도와 같은 형태로 결합 되므로, 승강체(2)는 즉시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3)에 의해 하강했던 높이(H)만큼 상승하게 되고, 돌출부재(22)의 선단부가 캡(4)의 출입공(42)을 통해 외측방으로 빠져나와 디스크 표면과 밀착 록크 동작되므로 휠의 회전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때 승강체(2)의 삽입홈(24)내에서 돌출설치된 가이드봉(26)은 회전구(62)에 형성된 가이드공(65)과의 결합으로, 회전구(62)가 항시 원활하고 정확한 선회동작을 행하여 이탈 및 오동작을 방지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6)를 정역으로 180°씩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간편하게는 회전판(61)의 외주면에 홈(66)을 형성한뒤, 그 내부에 훅크스패너나 레버와 같은 공구의 일부분을 넣고 회전시키면 원활하고 용이하게 회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며, 회전판(61)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돌기(67)를 설치하고 그로부터 회전방향180°지점의 이탈방지판(7)상에 스톱퍼(72)를 설치하면, 회전판(61)의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정확한 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제 4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별개의 몸체를 구비하지 않고 차체의 액슬말단에 결합된 허브(100)의 측면에 직접 몸체의 구성요소인 오목홈(11)과 원형단턱(12) 및 수개의 삽입돌기(14)를 구비한 바닥면(13)을 형성하여, 그곳에 승강체 및 회전체를 결합 설치토록 하므로서, 제 1 실시예에 비하여는 설치공간의 축소 및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 및 록킹 해제동작이 회전체를 정 또는 역방향으로 180°회전시켜 주기만하면 가능케 되므로서, 작은 힘으로는 간편하고 수월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조작시간을 최대로 단축시켜 타이어 교체시간을 최대로 단축시키게 되므로서, 종래의 볼트 및 너트부재를 이용한 디스크 체결방식의 작동 및 사용상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용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면 중앙부에 작동용 오목홈(11)과, 그 상단 외측 전둘레에는 상기 디스크의 중앙 구멍내로 삽입립될 외경과 함께 디스크의 두께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원형단턱(12) 및, 상기 단턱의 외측방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삽입돌기(14)를 구비한 바닥면(13)을 형성하고 차량 허브에 고정결합되는 몸체(1)와 ; 테이퍼 원추형으로서, 외부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드홈(21)내에는 돌출부재(22)가 후단의 걸림턱(23)으로서 결합되었으며, 중앙부에는 양측이 소정 높이차(H)의 경사바닥면(25)을 가지는 삽입홈(24)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오목홈(11)내에서 하방에 압축스프링(3)을 탄동 결합시키고 중앙에 통공(41)과 측면에 상기 돌출부재 출입공(42)을 구비한 캡(4)으로서 이탈방지토록 설치되는 승강체(2)와 ; 그리고, 상측에 회전판(61)과, 회전판의 하측에서, 하향돌출시켜 승강체의 삽입홈(24)내에 위치하는 회전구(62)의 저면은 소정의 높이차(H)의 경사바닥면(63)을 가지며 상부의 넥크부(64)를 이탈방지판(7)과 결합시킨 상태로 정 역회전 동작토록된 회전체(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체(6)의 회전판(61) 외주면 일측에는 회전공구 삽입용 홈(66)과 다른 일측에 접촉돌기(67)가 형성되고, 이탈방지판(7)상의 상기 접촉돌기로부터 약 180°되는 위치에는 스톱퍼(72)가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체(2)의 상부 삽입홈(24)내에는 가이드봉(26)이 상향돌출되고, 회전체(6)의 회전구(62) 중심에는 상기 가이드봉 삽입용 가이드공(6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KR1019860009052A 1986-10-28 1986-10-28 자동차형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KR89000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052A KR890002316B1 (ko) 1986-10-28 1986-10-28 자동차형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052A KR890002316B1 (ko) 1986-10-28 1986-10-28 자동차형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63A KR880004963A (ko) 1988-06-27
KR890002316B1 true KR890002316B1 (ko) 1989-06-30

Family

ID=1925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052A KR890002316B1 (ko) 1986-10-28 1986-10-28 자동차형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56A1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미래텍 회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482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자동차의 휠 장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56A1 (ko) * 2016-12-16 2018-06-21 주식회사 미래텍 회전장치
CN110087831A (zh) * 2016-12-16 2019-08-02 迈尔科技有限公司 旋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963A (ko) 198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8954B1 (en) Locking fastener assembly for threaded joint
US4302137A (en) Anti-tamper fastening means
US5636905A (en) System for central fastening a wheel to a vehicle
US4211128A (en) Vehicle wheel lug nut apparatus
EP2662222A1 (en) Auxiliary wheel, unassisted lifting jack and apparatus for unlocking and locking self-locking device of auxiliary wheel
JP6219499B2 (ja) 係止装置
JP7245264B2 (ja) 緊急用ホイール
US4591211A (en) Lockable central nut for vehicle wheel mounting
US4283091A (en) Shock proof fastener assembly for vehicle wheels and other applications
EP0595306A1 (en) Cap for fastening devices
JPH075801U (ja) 自動車用ホイールのセンターロツク装置
KR100541143B1 (ko) 핸들 부착 장치
US6419327B1 (en) Wheel liner attachment system
US20230098604A1 (en) Emergency wheel attachment for a vehicle wheel
GB2046187A (en) Wheel and hub cap assembly
US6068346A (en) Add-on spare tir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890002316B1 (ko) 자동차형 휠 디스크의 결합 록킹장치
US4659244A (en) Device for rapidly interlocking or disengaging, for anti-theft purposes,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GB1499794A (en) Lock
JP2005502515A (ja) 自動車のホイールリムにケーシング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する取り付け方法
US1944595A (en) Lock nut
JP2564473B2 (ja) ダブルナット用ソケット
US5265503A (en) Lug nut and socket
KR890003460B1 (ko) 차량용 디스크휠 록킹장치
US4639044A (en) Demountable 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