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95B1 -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95B1
KR890001995B1 KR1019840006554A KR840006554A KR890001995B1 KR 890001995 B1 KR890001995 B1 KR 890001995B1 KR 1019840006554 A KR1019840006554 A KR 1019840006554A KR 840006554 A KR840006554 A KR 840006554A KR 890001995 B1 KR890001995 B1 KR 89000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briquettes
construction materials
abriquct
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176A (ko
Inventor
서승석
Original Assignee
서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석 filed Critical 서승석
Priority to KR1019840006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995B1/ko
Publication of KR86000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조분쇄된 연탄재와 시멘트의 혼합물로 건자재를 성형함에 있어서 연탄재와 시멘트의 혼합한 것에 소석고를 균질로 배합함을 특징으로한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탄재의 물성을 소석고의 첨가로 보충하여 성형물의 초기강도를 증대시키어 내장제나 기타 각종 건자재를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다량 생산 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 연탄재에 시멘트나 점분, 포루마린 등을 배합하거나 석고, 염화석, 규산소다 등을 배합하여 경량 벽돌이나 무기질 판재 또는 대용 시멘트등을 제조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때 연탄재의 배합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결과가 다르게 될수 있겠으나, 특히 실용적인 강도를 유지해야 하는 건재의 골재로 사용한 경우에는 비록 경제성이 저렴한 이점이 있음에도 불고하고 그대로는 강도가 유약한 단점이 있다.
즉, 연탄재를 건자재의 골재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 연탄재는 일단게로 소결된 물질이므로 시멘트의 물성과 유사하여 시멘트의 수화(水和)시 경화에 동시참여할 수는 있으나, 연탄재의 성분중 산화석회(Cao)의 함유량이 40% 이하이므로 성형후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흡수율이 적어서 경화 기능이 부족하여 강도가 극히 저하된다. 따라서 연탄재 만으로는 건자재로써 실용성이 없다. 물론 이에 여러가지 보조재등의 혼합물을 배합시킬 수도 있겠으나 그렇게 되면 결국 생산비가 높게 되어 연탄재의 활용에 따른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아무런 산업적 의미가 없다.
본 발명은 CaO등이 부족한 연탄재의 물성을 보충하여 보다 강도가 큰 건자재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한것이다. 즉, 연탄재와 시멘트의 혼합물로 건자재를 성형함에 있어서 연탄재와 시멘트의 혼합물에 소석고를 첨가하여 성형물의 초기 강도를 증가시키어 실용성이 높은 각종 건자재를 성형하는 것이다. 연탄재 시멘트를 배합한것에 소석고를 첨가하면 광물 조성중의 Ettringite가 생성하여 초기 강도를 상승시키며 후기 강도는 시멘트 중 Tobermolite의 증가로 보완하게 된다. 상기 Ettringite의 생성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3A
3CaO..Al2+3CaSO4.
Figure kpo00001
H2O+XH2O→C3SO.31H2O
(연탄재+시멘트)(소석고)+물→Ettringite(광물조성)
상기 Tobermolite생성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폴트란드 시멘트의 수화과정중
Figure kpo00002
이러한 과정에서 연탄재의 시멘트의 소석고를 혼합하는 비에 따라 급결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동식물의 겔라틴(Gelatine)이 주재인 지연재를 적량 첨가시키어 작업에 유용한 시간동안 응결속도를 임의로 조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는 지연재는 주 성분이 겔라틴이며 굴루타민산, 겔라틴, 프로틴등이 대표적이고, 알카리성 수용액에서 반응하여 카복실(COOH)기의 가수 분배가 일어난다. 이때 카복실(Carboxyl)기 중의 H+이 분리됨으로써 연탄재-시멘트-소석고중의 Ca++의 결정 표면을 둘러쌓이게 되어 응결이 지연된다. 상기 겔라틴의 가수 분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1) 굴루타민산
Figure kpo00003
2) 프로틴
Figure kpo00004
위의 식에서 알수 있는바와 같이 알카리 용액중에서 지연재의 적당한 첨가량에 따라 성형물의 응결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소석고 만으로는 보수율이 없고 미장 작업성 및 접착성 향상제가 없이는 소석고의 경화를 향상시킬 수가 없다.
이에 소석고에 미량의 methyl cellulose를 균질 배합시켜 보수율을 증진시키고 미장 작업성 및 적착성 향상제로써 소정 석고의 경화를 향상시킨다.
아울러 보강제로는 약간의 소석회를 소석고에 균질로 배합시킨다.
[실시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탄재를 조분쇄하여 5-20 멧슈 통과의 연탄재 3-5부(부피비)시멘트 2-1부, 소석고 2-1부, 지연재 2-0부, 2부 methyl cellulose 0.1-0.3부, 소석회 3-7부를 균질로 혼합하고 정량의 물을 가하여 반죽상으로 교반시켜 몰탈 같이 만들어 각종 건축자재의 성형물을 제조하던가 시멘트 몰탈같이 벽면에 바르거나 구멍탄 연소통 및 연탄재로 판넬 및 벽돌등을 성형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영하의 기온에서는 작업을 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상온에서는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바와같이 조분쇄된 연탄재에 시멘트와 소석고를 혼합물로 성형함에 있어서 연탄재와 시멘트와 소석고의 혼합물에 methyl cellulose를 균질로 배합함을 특징으로한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 제조방법.
KR1019840006554A 1984-10-22 1984-10-22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KR890001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6554A KR890001995B1 (ko) 1984-10-22 1984-10-22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6554A KR890001995B1 (ko) 1984-10-22 1984-10-22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176A KR860003176A (ko) 1986-05-21
KR890001995B1 true KR890001995B1 (ko) 1989-06-07

Family

ID=1923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554A KR890001995B1 (ko) 1984-10-22 1984-10-22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796B1 (ko) * 1996-11-08 2000-01-15 소동섭 구조물용 소재와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796B1 (ko) * 1996-11-08 2000-01-15 소동섭 구조물용 소재와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176A (ko) 1986-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1643A (en) Fly ash cementitious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a product
JP5091519B2 (ja) ジオ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0140156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hardened product of coal ash
KR890001995B1 (ko) 연탄재를 이용한 건자재의 제조방법
KR20160072834A (ko) 흙 콘크리트 2차제품
KR0118631B1 (ko) 고강도의 경화제 조성물
KR960006226B1 (ko) 초조성형에 의한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JPS641416B2 (ko)
JP4948724B2 (ja) 不焼成セメント硬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830001755B1 (ko) 슬러리, 모르타르 및 콘크리이트용 결합제 조성물
RU200271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JPS6125673B2 (ko)
JPS641423B2 (ko)
KR950008585B1 (ko) 칼슘-마그네슘(Ca-Mg)시멘트 조성물
JPH11292586A (ja) 人工軽量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人工軽量骨材
JPH0244781B2 (ko)
JPS6324941B2 (ko)
KR20230040001A (ko) 다성분계 분체 및 이에 적합한 고성능 활성화제를 이용한 무시멘트 조성물
JPS641418B2 (ko)
JPS61243885A (ja) 固化剤
SU1447787A1 (ru) Бетонна смесь
JPS6256097B2 (ko)
JPS6339538B2 (ko)
JPS5953229B2 (ja) 石炭灰を主原料とする硬化体の製造方法
JPS5843345B2 (ja) せつこう系硬化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