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88Y1 - 등산백 결착구 - Google Patents

등산백 결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88Y1
KR890001988Y1 KR2019860006734U KR860006734U KR890001988Y1 KR 890001988 Y1 KR890001988 Y1 KR 890001988Y1 KR 2019860006734 U KR2019860006734 U KR 2019860006734U KR 860006734 U KR860006734 U KR 860006734U KR 890001988 Y1 KR890001988 Y1 KR 890001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protrusion
inner space
support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7827U (ko
Inventor
원의송
Original Assignee
원의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의송 filed Critical 원의송
Priority to KR2019860006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988Y1/ko
Publication of KR870017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78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등산백 결착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취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a)는 괘정된 상태, (b)는 해정되는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해정체 2, 2' : 지지부
3, 3' : 돌출편 4 :형 탄설편
5, 5' : 내공간부 6, 6' : 절곡부
7, 7', 7 ″ : 요입부 8, 8' :형 삽치부
9, 9' : 돌부 10, 10' : 만곡단부
11 : 괘정체
본 고안은 등산백의 멜방이나 결속밴드 등에 부착하여 착탈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등산백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통상 사용되는 등산백 등의 결착구는 일측에만 결속할 수 있는 걸고리부를 부착하고 타측에는 멜방끈만을 봉착하여 걸고리부의 절결부에 멜방끈을 내입지지체를 감아 다시 절결부로 나올 수 있게 하여 등산백이나 가방끈 등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있으나, 사용하는 과정에 멜방끈을 조정 하거나 부착물 등을 고정하여 사용하는데에는 불편한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함을 감안하여 멜방끈을 양측에 별개로 된 괘정체와 해정체를 고정하여 사용할 때에는 간편히 괘정체의 양측 삽치부를 해정체의 내공간부에 내입하여 고정하고 해정할 때에는 해정체와 일체로 된“”형 탄설편을 약간 밀어 주어야만 해정체가 분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정체(1) 전단 양측내면에 수직면이 있는 지지부(2)(2')와 양측에 돌출편(3) (3')을 가진“”형 탄설편(4)을 이루고 내공간부(5)(5') 상측 양연에 절곡부(6) (6')를 형성하여 요입부(7)(7')(7 ″)와 경사면을 가진“”형 삽치부 (8)(8') 상측에 돌부(9)(9') 및 만곡단부(10)(10')를 일체로 형성한 괘정체(11)를 내입 고정하여서 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12, 12' ”는 멜방끈 연결고리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괘정하려고 할 때에는 제2도의 (a)와 같이 해정체 (1) 전단 양측 내면에 수직면이 있는 지지부(2)(2')와 내공간부(5)(5')에 괘정체(11)의 요입부(7)(7 ″)와 경사면을 가진“”형 삽치부(8)(8')가 각각 내입되면서“”형 탄설편(4)을 경사면이 약간 밀어줌과 동시에 괘정체(11)의 만곡단부(10)(10')가 해정체(1)의 절곡부(6)(6')에 끼워 맞추면“”형 탄설편(4)이 요입부(7)에 들어오게 되면서 양측 돌출편(3)(3')이 괘정체(11) 상측돌 부(9)(9')에 닿게 되어 괘정이 되는 것이며, 해정을 할 경우에는 제2도의 (b)와 같이 해정체(1)와 일체로 된 중앙 상측의 “”형 탄설편(4)을 괘정체 (11)의 돌부(9)(9')에서 떨어지게 하면서 밀면 양측의 돌출편(3)(3')이 괘정체(11) 에서 떨어지게 되고 요입부(7)(7')와 지지부(2)(2') 및 내공간부(5)(5')에 내입되었던 해정체(1)의“”형 삽치부(8)(8')가 빠져나와 해정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해정체(1)의“”형 탄설편(4)의 돌출편(3)(3')이 괘정체(11)의 돌부(9)(9')에 닿으므로써 안전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형 탄설편 (4)의 조작이 없이는 절대로 분리가 되지 않으므로 사용하기에 보다 안전하며 필요에 따라서 분리와 결합이 간편히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해정체(1) 전단 양측내면에 수직면이 있는 지지부(2)(2')와 양측에 돌출편(3) (3')을 가진“”형 탄설편(4)을 이루고 내공간부(5)(5') 상측 양연에 절곡부(6) (6')를 형성하여 요입부(7)(7')(7 ″)와 경사면을 가진“”형 삽치부 (8)(8')상측에 돌부(9)(9') 및 만곡단부(10)(10')를 일체로 형성한 괘정체(11)를 내입 고정하여서 된 등산백 결착구.
KR2019860006734U 1986-05-14 1986-05-14 등산백 결착구 KR890001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734U KR890001988Y1 (ko) 1986-05-14 1986-05-14 등산백 결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734U KR890001988Y1 (ko) 1986-05-14 1986-05-14 등산백 결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827U KR870017827U (ko) 1987-12-21
KR890001988Y1 true KR890001988Y1 (ko) 1989-04-10

Family

ID=1925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734U KR890001988Y1 (ko) 1986-05-14 1986-05-14 등산백 결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9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059A (ko) * 2000-12-01 2002-06-08 유경중 숯이 함유된 양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059A (ko) * 2000-12-01 2002-06-08 유경중 숯이 함유된 양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7827U (ko) 198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6396B1 (en) Arm, leg, or neck watertight container, for housing valuables and small articles, safely fastenable to human members or to the neck of dogs and other domestic animals
US5177837A (en) Strap attachment for luggage and the like
JP3013299B2 (ja) 全天用サイド・レリーズ型バックル
KR940004657Y1 (ko) 고정편을 결합한 가방 괘정구
US4688337A (en) Buckle type fastener
EP0161441A1 (en) Ratchet pawl device for coupling with a serrated strap of a closure lever, particularly for ski boots
US3958330A (en) Knife and locking scabbard
EP0077015B1 (en) A chin strap and a crash helmet
US4264024A (en) Smoking pipe sling
KR890001988Y1 (ko) 등산백 결착구
US7458491B2 (en) Concealed magazine slot arrangement for chest harness, midriff harness, vest, or the like
US4458393A (en) Jewelry clasp
US3658356A (en) Ski pole device
EP0288663A1 (en) Glove holder
EP2661982A1 (en) Buckle
US6704977B1 (en) Strap buckle
EP0120267A1 (en) Ski boot with removable inner shoe
US4704771A (en) Lock for safety belts and lock tongue thereof
GB2135382A (en) Band clamps
US6877190B2 (en) Strap fastener
US3102316A (en) D-ring fastening clips
KR950005271Y1 (ko) 가방의 끈 고리의 연결구
KR800001004Y1 (ko)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FR2448313A1 (fr) Dispositif de fixation pour equipements de plongee
KR950000008Y1 (ko) 쇼핑백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