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004Y1 -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 Google Patents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004Y1
KR800001004Y1 KR7401313U KR740001313U KR800001004Y1 KR 800001004 Y1 KR800001004 Y1 KR 800001004Y1 KR 7401313 U KR7401313 U KR 7401313U KR 740001313 U KR740001313 U KR 740001313U KR 800001004 Y1 KR800001004 Y1 KR 800001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substrate
bark
settling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1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다 가즈 다가 다
Original Assignee
다대바야시 세이노스개
가부시기 가이샤 밤 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대바야시 세이노스개, 가부시기 가이샤 밤 비 filed Critical 다대바야시 세이노스개
Priority to KR7401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2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 A44C5/24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with folding device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바클을 절첩한 상태에서의 제 1 도의 Ⅱ-Ⅱ선 단면도(기판(2)의 도시는 생략 하였음).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저면도.
본 고안은 손목시계에 있어서 망상으로 형성된 금속시계줄을 위한 바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손목 시계줄에 사용되는 바클로서 여러가지가 있었으며 특히 망상으로된 금속시계줄의 바클로서는 간편성 때문에 주로 절첩식 바클이 이용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절첩식 바클은 맞물림이 불안정하여 착용중 바클이 쉽게 풀어지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절첩식바클에 있어서의 위와같은 결점을 제거하고 풀어짐이 없는 개량된 바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밴드(3)의 일단에 덮개판(4)을 축설하고 덮개판(4)의 선단 중앙부를 절삭한후 하향으로 절곡시켜 괘지편(11)을 형성시키고 덮개판(4)의 타단에는 연결판(7)을 축설하며 연결판(7)의 대략 상부 좌우측에는 각각 걸림돌부(12)(12')를 형성시키고 또 연결판(7)의 대략 상부중앙에는 창공(10)을 천설한다. 연결판(7)의 타단은 대략 삼각통(三角桶)형으로 권취하여 축수부(6)를 형성시켜 기판(2)의 선단측 측벽(15)(15')상에 축봉(13)으로 축설시킨다. 그리고 기판(2) 대략 중간부의 측벽(15)(15')상에는 괘지부(8)를 가진 곡편(9)을 입설시킨 압판(壓板)(5)의 일측 양단을 삽입 고착하되 압판(5)의 타측선단은 삼각통형의 축수부(6)직하에 위치하도록 하고 덮개판(4)을 절첩하면 곡편(9)이 연결판(7)의 창공(10)으로 탄입되어 곡편(9)의 괘지부(8)가 창공(10)의 하단연(下端緣)에 괘지되도록 하며 압판(5)을 기판(2)과 격설하여 압판(5)과 기판(2) 사이로 자유밴드(1)를 삽입시킬수 있게한다. 기판(2)의 대략 후부측벽(15)(15') 상에는 연결판(7)에 형성시킨 걸림돌부(12)(12')에 대응하는 걸림돌기(14)(14')를 각각 내향으로 돌설시킨다. 그리고 제 3 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축수부(6) 직하부측 기판(2)의 선단중앙에는 절삭부(16)를 적살형성시키고 절삭부(16)의 좌우측에는 각각돌조(18)(18')를 돌출형성시키며 자유밴드(1)의 좌우측에는 기판(2)의 돌조(18)(18')가 감압될 수 있는 다수의 요구(19)(19')를 요설하며 자유밴드(1)의 선단 하측 중앙에는 저지턱(17)을 돌설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계를 착용할때에 자유밴드(1)를 기판(2)과 압판(5) 사이로 삽입한 후 덮개판(4)을 절첩하게되면 괘지편(11)이 축수부(6)에 괘지되고, 압판(5)의 곡편(9)이 연결판(7)의 창공(10)에 탄입되어 곡편(9)의 괘지부(8)가 창공(10)의 하단연에 괘지되며 연결판(7)의 걸림돌부(12)(12')가 기판(2)의 측벽(15)(15')에 형성시킨 걸림돌기(14)(14')에 괘지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바클은 세부분에서 동시에 괘정되므로 덮개판(4)이 자의(恣意)로 해정됨이 없게된다. 그리고 기판(2)의 돌조(18)(18')가 자유밴드(1)의 요구(19)(19')에 감입되어 있고 또 연결관(7)의 레바작용으로 축수부(6)가 압판(5)을 눌러 자유밴드(1)가 압판(5)과 기판(2) 사이에 압지되어 있으므로 자유밴드(1)는 미끌어져 빠짐이 없이 완강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혹시 외부의 충격등으로 바클의 덮개판(4)이 열려 자유밴드(1)가 미끌어져 풀어지더라도 자유밴드(1)의 선단 하측 중앙에 형성된 저지턱(17)이 기판(2)의 절삭부(16)의 내단면에 저지되므로 자유밴드(1)가 바클로부터 완전히 빠져나가 시계가 지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바클이 세부분에서 괘지되므로 덮개판(4)이 자의로 풀어져 열림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자유밴드(1)를 압판(5)으로 압지함과 동시에 기판(2)의 돌조(18)(18')가 자유밴드(1)의 요구(19)(19')에 감입되어 있으므로 자유밴드(1)가 미끌어져 빠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유밴드(1)의 단부에 저지턱(17)이 형성되어 있어 바클이 해정되더라도 시계를 땅에 떨어뜨릴 염려가 없는 안정 바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덮개판(4)에 절곡형성된 괘지편(11)이 축수부(6)에 괘지되게 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축수부(6)를 대략 삼각통형으로 형성시켜 일단 양측을 측벽(15)(15')에 고착시킨 압판(5)의 선단을 축수부(6)로서 압압해제케하며, 중간판(7)의 대략 중앙에는 압판(5)의 후단에 절곡 입설시킨 곡편(9)의 괘지부(8)가 탄입괘지되는 창공(10)을 천설하고 연결판(7)의 상부 양측에는 기판(2)의 측벽(15)(15')내측에 돌설시킨 걸림돌기(14)(14')에 괘지되는 괘지돌부(12)(12')를 형성시켜서 된 시계밴드용 안정 바클.
KR7401313U 1974-03-05 1974-03-05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KR800001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313U KR800001004Y1 (ko) 1974-03-05 1974-03-05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1313U KR800001004Y1 (ko) 1974-03-05 1974-03-05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004Y1 true KR800001004Y1 (ko) 1980-07-05

Family

ID=1919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1313U KR800001004Y1 (ko) 1974-03-05 1974-03-05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0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55952A (en) Hook fastening
JPS6335241B2 (ko)
ES248452U (es) Abrazadera de apriete perfeccionada
US3250448A (en) Inside gun holster
GB2091336A (en) Buckle for watch bands
GB1474210A (en) End attachment for watch bands
US4264024A (en) Smoking pipe sling
KR800001004Y1 (ko) 시계 밴드용 안정바클
US4458393A (en) Jewelry clasp
US1957274A (en) Clasp for cord bracelets
US2215526A (en) Clasp or connector for bracelets, chains, necklaces, or the like
US3994051A (en) Quick release fastener and bracket assembly for use therewith
US2472344A (en) Cigarette case with clip fastener
US2470941A (en) Fish stringer
US3084407A (en) Cigarette pack with pocket clip
US1700992A (en) Strap fastener
US2148534A (en) Bracelet catch
US3707744A (en) Adjustable end connector for watchbands
US2500525A (en) Knife sheath
KR890001988Y1 (ko) 등산백 결착구
US2708758A (en) Oar rest
USD266985S (en) Buckle assembly for tightening strap
US2225748A (en) Jewelry clasp or connector
FR2396490A7 (fr) Sac de couchage
US2514818A (en) Wrist watch str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