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631B1 - 옷걸이의 개량 클램프 - Google Patents

옷걸이의 개량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631B1
KR890001631B1 KR1019830002152A KR830002152A KR890001631B1 KR 890001631 B1 KR890001631 B1 KR 890001631B1 KR 1019830002152 A KR1019830002152 A KR 1019830002152A KR 830002152 A KR830002152 A KR 830002152A KR 890001631 B1 KR890001631 B1 KR 89000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hanger
clamp
plastic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865A (ko
Inventor
에프. 몰간 도날드
엘. 듀에스터 에브레트
에프. 갈리손 쥬드
Original Assignee
존 토마스 벨트 인코포레이숀
도날드 에프 몰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토마스 벨트 인코포레이숀, 도날드 에프 몰간 filed Critical 존 토마스 벨트 인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4000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옷걸이의 개량 클램프
제1도는 본 발명 옷걸이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옷걸이의 크램크둘중 한개의 부분확대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제2도의 크램프가 성형되어 완전히 펼친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제1도의 Ⅳ-Ⅳ선 확대 단면도로서 크램프를 최대로 폐쇄한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크램프를 벌려서 옷을 끼우는 상태의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크램프를 폐쇄시켜 옷을 끼우는 최초 상태의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6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크램프를 완전히 폐쇄하여 옷을 끼우서 물고있는 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 제2도의 Ⅷ-Ⅷ선 단면도로서 크램프가 폐쇄되어 옷을 끼워서 물고있는 상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8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크램프가 폐쇄되어 잠겨진 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도의 Ⅹ-Ⅹ-선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 빗장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제11도의 Ⅶ-Ⅶ 선을 연하는 단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도 및 제3도와 유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
제15도는 본 발명 크램프의 또다른 변형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정면도.
제16도는 본 발명 제15도의 XVI-XVI 선을 연하는 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빗장과 걸림턱의 변형된 구조로서 맞물려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도.
제18도는 옷이 얇을때 빗장과 걸림턱이 맞물려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제17도와 유사한 도면.
제19도는 제17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옷이 두터울때 빗장과 걸림턱이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도.
제20도는 제15도에 도시한 크램프가 옷을 끼워서 물고 있는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옷걸이 A : 옷(의류)
H : 허리띠 11 : 몸체
12 : 돌기부(보스) 13, 13a : 고리
20, 20a : 크램프 21, 21a : 뒷집게
22, 22a : 앞집게 23 : 절첩부
24 : 정점 26, 27, 27a : 보강대
28, 28a : 홈 29 : 큰 구멍
30 : 크로스바(Crossbar) 31 : 파지부
32 : 개방구(Opening) 33, 33a : 빗장레바
34 : 압지두부 35 : 홈부
37 : V홈 절결부 40 : 구멍
41 : 단벽 42 : 견지부
43 : 치상파지부 44 : 치상돌기
45 : 보강대 50 : 공간부
55 : 보강리브 60 : 걸림돌기
61 : 걸림턱 63, 64 : 파지부
65, 66 : 수평제지면
옷을 끼워서 물고 있도록 파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하는 프리스틱 옷걸이들이 의류 제조업계에서 다년간 사용되어 왔다. 이와같은 옷걸이들은 프리스틱으로 갈고리를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옷걸이 몸체만을 성형하여 여기에 고리를 부착하였는데 이들 옷걸이의 중요한 용도는 숙녀복, 특히 슬립스, 여름 스커어트, 트레스와 같은 가벼운 옷을 걸기 위한 것이다. 미국 특허번호 3,047,196 에서 공개된 이른바 3지식(3枝式) 옷걸이들이 다년간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 옷걸이는 무게가 가볍고, 저렴하며 두께가 얇아서 특히 인기가 있었다. 이 옷걸이는 제사용이 가능하고 진열대의 길이 위에서 적은 간격을 점유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옷걸이들은 무거운 옷을 걸때에는 옷의 무게 때문에 크립프로부터 분리되기 쉬어서 아주 가벼운 옷만을 걸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국한되어 왔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이들 옷걸이는 옷의 무게 때문에 프라스틱이 늘어나서 옷을 떨어 트리는 경향이 있고 판매원과 고객들의 부주의한 취급과 일반적으로 도심지의 교통이 번잡한 지역서 진동으로 인한 흔들림때문에 옷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와같은 옷걸이는 판매장소에서만 사용하는데 국한되었으며, 수송용 옷걸이로서 전혀 사용할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히 두개지의 중요한 요소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즉 제조하는데 비용이 저렴한 구조와 옷걸이로부터 옷을 거칠게 벗기더라도 아무런 자국이나 손상을 입히지 않는 구조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이한 여러가지 중량의 옷을 지지하도록 단단한 집게작용을 할수있는 3지식 옷걸이를 제고한 개량된 옷걸이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옷걸이는 허리띠 봉합선을 가지고 있는 옷을 찝어서 파지하도록 만들어 졌으며, 집게가 상기 봉합선을 넘어서 옷의 얇은 부분을 파지할수 있는 길이로 만들어져 있다. 이 옷걸이는 중앙집게의 양측 가장자리와 두 갈래로 갈라진 집게의 내측면 사이를 압박하여 주는 작용을 하며, 상기 옷걸이는 집게 기능을 잠구어서 폐쇄하여 찝은 상태로 빗장 장치가 되어있으며, 옷을 옷걸이에서 분리시킬때에는 조작자가 쉽게 폐쇄한것을 해제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옷걸이의 집게를 일단 풀면 옷을 분리하는데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도록 형성되어 옷을 옷걸이로부터 힘을 주어 잡아당겨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즉 빗장 레바를 제쳐서 해제 위치에 놓기만 하면 쉽게 풀리며, 전체를 한개의 제품으로 성형하여 만들거나 또는 고리를 제외하고 모든 부품을 일체로 성형하고, 고리를 변도로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중앙에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빔 모양의 길다란 몸체(11)를 가지고 있는 옷걸이(10)를 도시하고 있고, 돌기(12)에는 고리(13)가 부착되여 있으며, 고리(13)부분을 따로 조립하는 번거로움을 회피하기 위하여 고리(13)를 옷걸이 몸체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종래의 방법이라는 것을 알수 있다.
뭄체(11)의 양쪽 끝에는 크램프(20)가 달려있으며, 이 크램프(20)는 한쌍의 집게(21)(22)로 구성되며, 이 집게(21)(22)는 일체로 성형되어 중간에 얇고 유연한 웨브상의 절첩부(23)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절첩부(23)은 이를 중심으로 하여 앞집게(22)와 뒷집게(21)를 서로 접을수 있는 경첩 역할을 하게 된다. 이 크램프(20)은 몸체(11)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몸체(11)의 양쪽 끝에 각각 뒷집게(21)에 접합되어 있으며 뒷집게(21)는 몸체(1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앞집게(22)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뒷집게(21)에 대하여 접첩부(23)를 중심으로 하여 폈다, 접었다 할수있고 양쪽의 집게(21)(22)는 바깥쪽인 서로 반대방향으로 굽혀져 있는데 이 아치형 정점(24)은 집게(21)(22)의 중간지점으로부터 접첩부(23)쪽으로 편위(치우쳐 있음)되어 있으며, 뒷집게(21)는 양측면에 구성한 보강대(26)와 절첩부(23)에 인접한 강대(26)와 평행되게 구성한 작은 보강대(27)를 형성하고 (제3도) 뒷집게(21)의 내측에는 보강대(26)와 (27)사이에 홈(28)이 뚫려 있다. 뒷집게(21)는 아아치형 정점(24)와 뒷집게(21) 하단부 사이에 공간창구를 구성하는 큰무멍(29)이 형성되고 이 구멍(29)은 하단부에 크로스바(30)로 일체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크로스바(30)와 연결된 보강대(26) 내측면에는 옷을 찝어주기 위하여 치상돌기(44)가 구성된 파지부(31)가 형성되어있다. 뒷집게(21)는 절첩부(23)에 인접하여 한개의 개방구(32)를 구성하고 개방구(32)의 하단부로부터 빗장레바(33)가 내부로 뻗어 있고, 빗장레바(33)의 상단은 압지두부(34)를 한 몸체로 형성하고 있다. (제11도 및 제12도) 압지두부(34) 바로 아래에 한쌍의 홈부(凹부) (35)가 형성되고, 절첩부(23)로 연결된 앞집게(22)는 보강대(27a)와 홈(28a)를 구성하며 뒷집게(21)와 유사한 구조를 형성 한다. 그러나 앞집게(22)는 빗장레바(33) 대신에 구멍(40)을 구성하며, 이 구멍(4)의 한쪽 끝에는 밧장걸이 열활을 하는 단벽(41)을 형성하고 단벽(41)은 크램프를 닫을때 빗장레바(33)와 맞물려서 빗장을 걸어주는 역할을 하는 V홈 절결부(37)를 구성하며(제11도) 단벽(41)의 양쪽 끝에는 견지부(42)가 돌출되어 있고 크램프(20)를 닫고 빗장이 잠겨질때 견지부(42)는 홈부(35)속에 끼워지며, 단벽(41)이 구성된 앞집게(22)는 전면쪽으로 굴곡된 보강대(45)를 구성하고 있다(제9도).
상기 앞집게(22)는 대략 아아치형 정점(24)에서 부터 아래쪽으로 가늘어지면서 상광하협으로 형성되며 폭은 뒷집게(21)의 큰구멍(29)을 통과할 수 있게 되며 길이는 그 끝이 크로스바(30)에 걸리지 않도록 내통되게 되어 있고 집게자루 부분을 적절한 보강리브(55)로 보강되었고, 앞집게(22)의 하단부 근처의 내측면에는 뒷집게(21)의 내측면 치상돌기(44)의 파지부(31)와 맞물리는 차상파지부(43)를 형성하여 의류를 찝어주게 되어 있다. 파지부(31) 및 (43)은 서로 직접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집게(21)(22)의 길이는 옷의 허리띠(H) 부분이 빗장레바(33)과 파지부(31)(43) 사이의 공간부(50)속에 끼워질수 있도록 되고 집게(21)(22)는 빗장레바(33)를 잠궈서 옷을 단단히 찝을수 있도록 집게를 아아치형으로 충분히 꾸부려서 양복바지 허리띠를 파지할수 있을 정도로 앞둬 공간을 제공하여 준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하여 파지부(31)(43)가 옷을 허리띠 바로 아래를 찝을수 있고 옷걸이 몸체(11)와 크램프(20)는 포리프로필렌으로 한몸체로 성형되며, 프리스틱 재료는 탄력이 있어야 하며 꾸부릴수 있어야 하고, 재료는 보강리브(55)로 보강시킬때 옷을 파지하고 지자하여 줄수있을 만큼 적절한 압착력을 갖는 충분한 탄력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고, 사용될 프라스틱 재료는 일정한 기간을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파지력이 감소하여 옷을 떨어트리지 않을 정도의 내구도 및 크리프 특성(Creep 特性)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집게(21)(22)의 아아치형 구조는 각 집게에 있어서 한정된 굽힘 또는 회전 단계를 나타내는 지점과 강도를 제공하므로서 양집게 사이에 파지된 옷(A)의 두께에 알맞게 굽혀지고 견디게 하여주기 때문에 중요한 역활을 하게 된다. 제4도에 있어서 옷(A)을 파지하지 않을때 양집게(21)(22)는 앞집게(22)가 뒷집게(21)의 면을 통과하여 큰두멍(29)을 통과하도록 꾸부릴수 있게 만들어 지고,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차례로 도시된바와같이 옷(A)을 집게(21)(22)사이에 끼우고 집게를 잠구어 줄때는 먼저 양집게를 옷의 허리띠(H) 아래부분에 갖다댄 다음에 양집게를 눌러주어서 빗장레바(33)가 잠구어질수 있게 한다. 이와같이하여 스프링과 같은 탄력성 압력을 발생시켜 옷(A)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대부분의 의류에 있어서 허리띠(H)의 두께는 양집게가 허리띠(H) 에 대하여 양쪽 파지부(31)(43) 사이에 더 큰 압력을 가하여 주도록되며 양쪽파지부(31)(43)은 집게의 하단부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있게 때문에 파지부(31)(43)는 허리띠(H) 아래에 위치하게 찝어 준다. 따라서 옷은 단단히 찝어주며 빗장레바(33)를 풀기전에는 옷이 떨어지지 않게 되고 파지부(31)(43) 사이에 끼워진 옷에 가해진 압력은 옷을 분리할때 보기 싫은 자국을 남기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정이 수송 도중 진동이나 프리스틱이 늘어나서 옷을 크램프로 부터 떨어트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수송에 적합한 옷걸이를 제공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최초 옷과함께 옷걸이가 따라가게 된다.
옷걸이에 걸어주는 의류에 종류에 따라 옷에 가해지는 옷걸이의 압력을 보강리브(55)의 두께와 성형될 프리스틱의 합성에 의하여 결정될수 있다는것을 알수 있고, 빗장레바(33)를 약간 길게 하거나 또는 압지두부(34) 아래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한쌍 이상의 홈부(35)를 갖는 밧장레바(33)를 형성하여 집게(21)(22)를 잠궈줄때 굽혀지는 정도에 따라 조절하여 만들수 있다.
제13도 및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10)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옷걸이(10) 몸체(11)가 없으며, 크램프(20a)는 뒷집게(21a)의 한쪽 측면에 일체로 성형된 고리(13a)를 구성하고 이 크램프(20a)의 다른 부분의 구조는 제1도 내지 제12도에 표시된것과 동일하다. 고리(13a)는 앞집게(22)의 끝부분 주위에 성형되고 이러한 형태는 손수건과 같은 소형의 단일 의류품을 전시하는데 사용될수 있다.
제15도 내지 제20도는 크램프(20a) 구조의 변형을 예시하고 있는데 크램프(20a)는 치상형 빗장 레바를 구성하고 빗장레바(33a)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60)를 형성하며 치상형 빗장레바는 1973, 7. 17일에 허여된 미국특허번호 3, 745 616 및 1972년 10월 17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제 3,698,043에 발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 빗장레바(33a)는 뒷집게(21a)와 의 접합점으로 부터 항상 위쪽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걸림돌기(60)는 빗장레바(33a)의 하향으로 경사되게 돌출되며 앞집게(22a)에 형성된 걸림턱(61)과 맞물려서 걸리게 되어 있다. 걸림돌기(60)와 걸림턱(61)은 앞집게(22a)의 걸림돌기(60) 및 걸림턱(61) 결합면이 빗장레바(33a)와 걸림턱(61)을 잠컸다가 풀어줄때 장애를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17도 내지 제19도) 이것을 크램프가 충분한 폐쇄력을 필요로 하는 비교적 두꺼운 의류를 파지할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다.
제15도, 제16도 및 제20도는 허리띠(H)가 달려있는 의류(A)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집게를 구성하고 옷걸이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파지부(63)(64)는 집게를 폐쇄할때 대략 수평제지면(65)(66)을 형성하고 있고 집게(21a)(22a)는 허리띠(H) 아래에 위치 하여 옷(A)을 파지할때는 수평제지면(65)(66)은 효과적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취급및 수송기간중 어떠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옷(A)을 단단히 파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변형방법과 함께 그 실시예를 예시한바와같이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기초로 하여 여러가지 개량형을 만들수 있고 이러한 개량형은 첨부된 청구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간주될수 있다.

Claims (16)

  1. 프라스틱으로 성형한 옷걸이(10)로서 하나의 몸체(11)와 그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부(12)와 고리(13)(13a) 및 크램프(20)(20a)로 구성되며 크램프(20)(20a)는 상단부가 절첩부(23)에 의하여 서로 접합된 한쌍의 집게(21)(21a)(22)(22a)를 구성하며 집게들중 뒷집게(21)(21a)는 몸체(11)에 고정되어 있고, 앞집게(22)(22a)는 절첩부(23)을 중심으로 상하로 벌렸다 오무렸다 하며 뒷집게(21)(21a)는 하부에 큰구멍(29)가 뚫려 있고, 앞집게(22)(22a)의 폭과 길이는 폐쇄하였을때 뒷집게(21)(21a)의 큰 구멍(29)속으로 내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게들은 폐쇄상태에서 집게를 잠궈주는 빗장장치(33)(33a)(34)(37)(40)(42)(60)(61)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2. 청구범위 1에서 뒷집게(21)(22a)의 큰구멍(29)은 하단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크로스바(3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3. 청구범위 2에서 상기 크로스바(30)를 구성한 뒷집게(21)(21a)는 크로스바(30)에 인접되어 앞집게(22)(22a)쪽으로 돌출된 치상파지부(31)를 구성하며 앞집게(22)(22a)는 그 하단부에 뒷집게(21)(21a)쪽으로 돌출된 치상파지부(43)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성형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4. 청구범위 3에서 상기 뒷집게(21)(21a) 및 앞집게(22)(22a)의 치상파지부(31)(43)은 서로 엇갈려 편위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성형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5. 허리띠(H)가 있는 옷(A)을 겉기 위한 프라스틱 옷걸이로서, 상기 옷걸이(10)은 길다란몸체(11)과 그 몸체(11)을 지지할수 있는 돌기부(12), 고리(13)(13a) 및 한쌍의 크램프(20)(20a)로 구성되며 각 크램프(20)(20a)는 상단부가 절첩부(23)으로 서로 접합된 뒷집게(21)(21a) 및 앞집게(22)(22a)로 형성되어 서로 벌렸다 오무렸다 개폐할수 있으며, 뒷집게(21)(21a)하단부는 크램프를 최대한 오무려서 폐쇄할때 앞집게(22)(22a)의 크기와 모양은 뒷집게(21)(21a)의 벌어진 큰구멍(29) 사이로 완전히 통과할수 있으며, 크램프(20)(20a)는 폐쇄시킬때 집게들을 잠구어 고정시키기 위해여 절첩부(23)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빗장장치(33)(33a)(34)(37)(40)(42)(60)(61)를 구성하고 집게(21)(21a)(22)(22a)는 각각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의류(A) 파지부(31)(43)(44)(63)(64)(65)(66)을 형성하고 있으며, 집게들을 의류 파지부들과 빗장장치 사이에 공간부(50)을 형성하고 집게(21)(21a)(22)(22a)의 길이는 옷(A)의 허리띠(H)가 공간부(50)속에 삽입되어 파지될수 있게 형성된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6. 청구범위 5에서 뒷집게(21)(21a) 및 앞집게(22)(22a)중의 하나는 옷걸이(10) 몸체(11)에 고정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7. 청구범위 5에서 빗장장치(33)(33a)(34)(37)(40)(42)(60)(61)은 집게(21)(21a)(22)(22a)중의 하나에 고정된 빗장레바(33)(33a)와 다른 집게의 빗장구멍(40)으로 구성되며, 빗장구멍(40)한쪽벽은 빗장레바(33)(33a)를 잠구어주기 위한 빗장 걸림턱(61)을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8. 청구범위 7에서 상기 빗장구멍(60)을 구성한 집게는 빗장구멍(40)의 벽에 인접하여 형성된 보강대(27a)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9. 청구범위 5에서 집게들중에서 중간부분이 외측으로 아아치형 모양으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10. 청구범위 9에서 상기 빗장장치(33)(33a)(34)(37)(40)(42)(60)(61)은 집게(21)(21a)(22)(22a)의 절첩부(23)과 아아치형 정점(24)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11. 청구범위 9또는 10에서 집게(21)(21a)(22)(22a)는 중간 부분이 서로 마주 보도록 아아치형 정점(24)를 이루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12. 청구범위 5 또는 9에서 집게(21)(21a)(22)(22a)는 강하고 탄력성이 있는 프라스틱으로 성형하므로서 집게들을 폐쇄하여 하단부 사이에 끼워서 파지한 두툼한 옷(A)을 파지할때 휘어질수 있게하고 프라스틱의 탄력성은 옷(A)을 단단히 파지할수 있도록 충분한 압력을 가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13. 청구범위 9 또는 10에서 양쪽 집게는 중간부분이 서로 마주 보도록 아아치형을 구성하고 있으며, 강하고 탄력성이 있는 프라스틱으로 성형되어 폐쇄하여 하단부 사이에 삽입된 두꺼운 옷을 파지할때, 아아치형 부분이 약간 곧게 펴지면서 신축작용을 할수 있고, 프라스틱의 탄력성은 옷(A)를 단단히 찝어주는데 충분한 압력을 가하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스틱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14. 청구범위 7에서 상기 집게들은 각각 한쌍의 보강대(26)(27)(27a) 및 (55)를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15. 청구범위 1에서 각 집게는 하단부에 치상파지부(31)(43)(63)(64)를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치상돌기(44)와 파지부(31)(43)(63)(64)는 상대방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수평제지면(65)(66)을 형성하며 의류(A)파지 위치로 폐쇄할때 동일 평면상으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16. 청구범위 15에서 빗장장치(33)(33a)(34)(37)(40)(42)(60)(61)상기 집게(21)(21a)(22)(22a)중의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 빗장레바(33)(33a)와 다른 집게에 형성된 걸림턱(31)으로 이루어져 있고, 빗장레바는 상하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동기(60)들은 반대로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를 구성하여 걸림턱(61)과 맞물리게 되면 집게들에 대하여 서로 분리시키려고 하는 힘을 가할때 걸림돌기(60)와 걸림턱(61)이 서로 맞물려 풀어지지 않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의 개량 크램프.
KR1019830002152A 1982-05-21 1983-05-17 옷걸이의 개량 클램프 KR890001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054382A 1982-05-21 1982-05-21
US380543 1982-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865A KR840004865A (ko) 1984-10-31
KR890001631B1 true KR890001631B1 (ko) 1989-05-12

Family

ID=2350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152A KR890001631B1 (ko) 1982-05-21 1983-05-17 옷걸이의 개량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209318A (ko)
KR (1) KR8900016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865A (ko) 1984-10-31
JPS58209318A (ja) 198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7334A (en) Article hanger clip
US5178306A (en) Hanger with clips
US5123146A (en) Bag closure
US5944236A (en) Clothing clip apparatus
JPS5921619B2 (ja) 物品ハンガ用クランプ
US5361949A (en) Pants hanger with pivotable finger on lower bar
US6779695B2 (en) Garment hanger
US6062521A (en) Towel holder
US7360286B2 (en) Clip for hanging skirt
EP0095353B1 (en) Hangers
US5027480A (en) Garment clip
JP6529149B1 (ja) 洗濯バサミ、同洗濯バサミを吊り下げるために用いられる吊り下げ具
RU2326195C2 (ru) Вешалка для носков
KR890001631B1 (ko) 옷걸이의 개량 클램프
NZ238093A (en) Clothes hanger clip
EP0040212A1 (en) Garment hanger
JPS61500156A (ja) 挾み装置、特に洗濯挾み
GB2037359A (en) Closure for Garments, Bags and the Like
US20040094582A1 (en) Plastic clothes hanger
WO2007036725A1 (en) Garment hanger
US7191922B1 (en) Hanger with non-slip pads
US20050017031A1 (en) Garment hanger
JPS5833972Y2 (ja) 挾持ハンガ−
JP3019260U (ja) 衣服ハンガー
JPH01172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