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383B1 -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383B1
KR890001383B1 KR1019830003312A KR830003312A KR890001383B1 KR 890001383 B1 KR890001383 B1 KR 890001383B1 KR 1019830003312 A KR1019830003312 A KR 1019830003312A KR 830003312 A KR830003312 A KR 830003312A KR 890001383 B1 KR890001383 B1 KR 890001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ized fluid
granular
flow
granular solid
sol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554A (ko
Inventor
씨 노우턴 리챠드
Original Assignee
스톤 앤드 웹스타 엔지니어링 코오포레이숀
로렌스 피. 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톤 앤드 웹스타 엔지니어링 코오포레이숀, 로렌스 피. 할티 filed Critical 스톤 앤드 웹스타 엔지니어링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4000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 B65G53/22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through a porous wall the systems comprising a reservoir, e.g. a bunk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5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 B01J8/003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in a downwar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548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43Feeding or discharging of solids
    • B01J2208/00752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43Feeding or discharging of solids
    • B01J2208/00761Dischar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를 사용하는 입상고체의 유동 장치의 개통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가 사용되는 유동층노(爐)의 부분단면도.
제 3도는 입상고체 유동장치내에 사용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의 단부측면도.
제 4도는 입상고체 유동장치내에 사용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압력 감지조절 장치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압력을 측정하고, 압력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하여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입상고체의 흐름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더 설명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고체 유동조절기와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입자고체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유량(流量)이 즉각 조절되게 한다.
입상고체는 화학적 처리, 증기발생등을 도입한 여러 가지 응용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탄화수소를 균열시키고, 열을 전달하는데 입상고체가 널리 사용된다. 많은 응용에 있어서, 입상고체를 매우 높은 온도로, 통상적으로는 1500。F 이상으로 가열하여 높은 유량으로 시스템을 통과시킨다.
과거에는 입상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고체의 고온과 큰 유량이 기계적 밸브의 성능과 수명에 나쁜 영향을 준다. 따라서,입상고체의 흐름을 적절히 조정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비기계적 유동조절수단이 개발되었다.
1982년 1월 25일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342, 393호 에서는 기계적 가동부분 없이 입상고체의 흐름을 조정할 수 있는 최근에 개발한 시스템을 공개하였다. 동출원에서 설명한 시스템은 대량유동과 고온환경에 적당하며, 비기계적 밸브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더 상세히 말하면, 동출원에서 설명한 비기계적 밸브에는 입상고체의 상부 가까이에 위치한 스탠드파이프와 이러한 입상고체가 통과하는 하부 통로가 포함된다. 스탠드파이프는 상류와 하부위치의 압력 사이에서 시일(Seal)로서 작용한다. 스탠드파이프의 하부는 그 최저점에 떨어진 입자고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가압유체원(加壓硫體原)은 떨어진 입상고체의 상부 바로 위에 있는 스탠드파이프에 연결된 충전실(plenum chamber)과 통하여 있다.
작동시에는 스탠드파이프에 언제나 상부에서 흘러내려오는 입상고체가 채워져 있다. 가압유체는 떨어진 입상고체에 압력을 가하여 입상고체를 아래로 이동시켜 하부 통로로 들어가게 한다.
입상고체가 하부 통로를 통과하는 유량은 떨어진 입상고체의 상부측과 하부측 사이의 압력차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입상고체가 하부 통로를 통과하는 유량은 가압유체원에서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변동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가압유체원과 충전실 중간에 기계적 밸브를 설비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면, 밸브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입상고체가 하부 통로로 흘러들어가는 유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동출원(제 342,393호)에서는 위의 대안으로, 일부 응용에 있어서는 감지관을 압력원으로부터 연합도(聯合稻)내에 있는 수증기관까지 연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수증기의 상태에 의하여 압력이 변동될 수 있다.
많은 응용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받아들이는 고체의 유량에 부합되도록 입상고체의 유량을 변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경험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상고체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가동기계부분에 의존하지 않고 입상고체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 목적은 이동하게 될 입상고체의 높이에 비례하여 입상고체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온, 대량유동 조건에서 입상고체의 흐름을 자동적으로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 이 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입상고체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최근에개발된 입상고체 유동시스템과 겸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입상고체 유동시스템과 겸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출원(제 342,393호)에 청구된 시스템에 특히 적합하다. 간단히 말하면, 동출원에서 설명한 시스템에는 입상고체의 공급원으로부터 이 입상고체가 통과할 하부 통로까지 뻗어있는 스탠드파이프가 포함되어 있다. 스탠드파이프의 하부는 떨어진 입상고체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가압유체의 원천은 떨어진 입상고체의 바로 상부쪽에 있는 충전실을 통하여 스탠드파이프로 향하게 된다. 위에서 설멸한 바와같이, 가압유체에 의하여 생긴 고압력은 입상고체를 떨어진 입상고체 덩어리로부터 하부 통로로 흐르게 함으로써 이 입상고체를 그 원천으로부터 스탠드파이프를 통하여 흐르게 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사실상 입상고체원과 인접한 스탠드파이프의 상부단에 위치한 제1 및 제 2가압유체 분배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유체 분배기는 공동의 가압유체원에 연결하거나, 서로 별개의 가압유체원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 1가압유체 분배기는 입자고체층을 유동시키는데 충분한 유량으로 가압된 유체를 인접하여 위치한 입상 고체층에 인도한다. 더 자세히 말하면, 가압유체의 유량은 입상고체의 유동화 초기보다는 약간 많으나, 입상 고체가 거품을 일며 흐를 정도로 유동화시키는데 필요한 양보다는 적다.
제 2가압유체 분배기에는 유체유동제한기를 통하여 공급된 가압유체를 입상고체층으로 인도하는 개구부(開口部)의 스탠드파이프의 하부에 있는 충전실에 연결된 관이 포함되어 있다. 제 2가압유체 분배기 속으로 인도된 가압유체는 일부는 그안에 뚫려 있는 개구부를 통하여 입상고체층으로 향하고, 일부는 관을 거쳐 스탠드파이프의 하부단에 있는 충전실 속으로 향한다. 가압유체를 제 2 가압유체 분배기의 개구부와 관 사이에 비례배분하는 것은 입상고체의 공급원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더 자세히 말하면 제 1 및 제 2가압후에 분배기에 의하여 인도된 가압유체는 입상고체의 공급윈속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에 따라 변동되는 유체정압을 가진 유동화되는 환경을 만든다. 이러한 유체정압은 제 2가압유체 분배기내에 있는 개구부에 의하여 감지 된다. 입상고체의 높이가 크면, 개구부 근방의 유체정압도 크게 될 것이다. 그 결과로서 제2가압유체 분배기 속으로 인도된 가압유체중 적은 부분이 그안에 있는 개구부를 통과하고, 이에따라 더 많은량이 관을 거쳐 충전실 속으로 인도될 것이다. 이와 같이 스탠드파이프의 하부에 있는 충전실로 흐르는 유량이 증가되면 떨어져 있는 입상고체의 상부에 압력이 증가되어 하부 통로로 더 많은 입상고체가 흐르게될 것이다. 입상고체의 공급원내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가 더 높아지면 본 발명에 의한 제 2가압유체 분배기에서 이를 감지하여, 스탠드파이프의 하부에서의 입상고체의 유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입상고체의 공급원 속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가 감소됨에 따라 제1 및 제2가압유체 분배기 부근의 유체정압도 감소될 것이다. 이러한 유체정압의 감소에 의하여 제 2가압유체 분배기슥으로 인도된 가압유제중 더 많은 부분이 이 분배기내에 뚫려있는 개구부를 통과하게 되고, 이에따라 더 적은 부분이 관으로 인도될 것이다. 그 결과로서, 스탠드파이프의 하부에 있는 충전실로 흐르는 가압유체의 유량이 감소되어 떨어져 있는 입상고체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감소될 것이며, 이에따라 하부통로 속으로 흐르는 입상고체의 유량이 적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는 많은 입상고체 유동장치내에 사용할 수 있다.예를들면, 제1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는 기본 입상고체 유동장치내에 사용되고 있다. 제1도에 표시된 장치 (2)에는 입상고체 저장실(6), 전반적으로 부호(4)로 도시된 밸브장치 (4), 입상고체 사용장치 (8) 및 입상고체 수용조(受容糟) (10)가 포함되어 있다. 제 1도에 표시된 장치(2)의 밸브장치(4)에는 스탠드파이프(12)가 포함되어 있는데 ; 이 스탠드파이프는 밸브(4)의 상부에 있는 입상고체 저장실(6)로부터 밸브(4)안에 위치한 조절호퍼 (14)까지 뻗어있다. 조절호퍼 (14)는 가압유체를 충전실(18)속으로 흐르게 하는 관(66)과 통하여 있다. 실제 운전에 있어서는 입상고체는 입상고체 저장실(6)로부터 스탠드파이프(12)를 거쳐 조절호퍼(14)속으로 흐른다. 가압유체는 관(66)을 통하여 충전실(18)속으로 흐르면서 조절호퍼 (14)안에 있는 입상고체에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압력에 의하여 입상고체는 조절호퍼 (14)로부터 배출장치 (24)를 거쳐 입상고체 사용장치(8)속을 통과하여 입상고체 수용조(10)안으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는 입상고체 저장실(6)에 인접된 스탠드파이프(12)의 상부에 위치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같이.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는 가압 유체원(62)과 통하여 있다. 가압유체원(62)에서 나오는 가압유체는 관(64)을 거쳐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속으로 인도된다.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국부적으로나마 이에 인접된 입상고체를 유동화 시키기 시작한다.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부근의 유동화된 입상고체내의 유체정압은 입상고체 저장실(6)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는 충전실(18)까지 뻗어있는 가압 유체관(66)과도 통하여 있다. 위에서 말한 바와같이, 자동압력 감지 조절 장치(60)는 관(66)을 통과하는 가압유체의 유량을 직접 입상고체 저장실(6)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에 비례하여 변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관(66)을 통과하는 가압유체의 유량이 많으면 조절호퍼(14)와 배출장치 (24)를 거쳐 입상고체 수용조(10)속으로 흘러들어가는 입상고체의 유량이 증가된다. 이와같이, 장치(2)의 밸브장치 (4)를 통과하는 입상고체의 유량은 직접 입상고체 저장실(6)안에 있는 입상 고체의 높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동된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의 운전 환경에 있는 또다른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는 수집된 고체를 유동층노로 되돌려 보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 2도에 표시된 장치의 부분중 제1도에 표시된 장치의 부분과 비교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간단히 말하면, 제2도의 유동층노(32)에서 가스와 입상고체의 현탁물이 방출되면, 이 현탁물은 사이클론이나 기타 이와 동등한 장치에 의하여 분리되고. 이와같이 분리된 입상고체는 사이클론으로부터 고체수집조(6) 속으로 인도된다. 고체수집조에는 입상고체 유동층(28)이 있는데, 이 입상고체는 중력에 의하여 조절호퍼(14)까지 뻗어있는 스탠드파이프(12)속으로 흐른 다음에, 유동층노(32)로 되돌아온다. 가압유체관(64)은 가압유체원(62)으로부터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 까지 뻗어있어, 가압유체중 그곳까지 흐르게한다. 또다른 가압유체관(66)은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로부터 충전실(18)까지 뻗어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가압유체를 충전실(18)속으로 흘러들어가게 한다. 이 예에서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를 이용한다. 간단히 말하면, 관(64)을 통하여 자동 압력 감지조절 장치(60)속으로 흐르는 가압유체는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의 부근에 있는 입상고체를 유동화시킨다. 이와같이 유동화된 입상고체내의 유제정압을 유동층(28)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관(66)을 거쳐 충전실(18)로 흐르는 가압유체의 유량은 직접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에 의하여 감지된 유체정압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제 1도에서 설명한 예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유동층(28)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더 많은 가압유체가 충전실(18)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입상고체가 더 빠른 속도로 유등층노(32)속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제 3도 및 제 4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의 실시예를 더 상세히 도시하였다. 이러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의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하고, 제 2도에서 전반적으로 표시한 유동층노(32)의 밸브장치(4))로써 표시되어 있다.
제 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는 입상고체 유동층(28)에 인접된 스탠드파이프(12)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에는 제1 및 제 2가압유체 분배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분배기는 내실(內室) (68)과 고리모양의 외실(外室) (70)로 표시한다. 내실(68)과 외실(70)은 그 크기를 입상고체가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를 쉽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하고. 고체수집조(6)의 출구내에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를 배치한다. 가압유체관(72,74)은 가압유체관(64)로부터 직접 내실(67)까지, 유체유량제 한기(82)를 경유하여 외실(70)까지 뻗어있다. 따라서, 압력원(62)에서 나오는 가압유체는 가압유체관(64)을 거쳐 양쪽관(72,74)으로 들어가서 내실(68)과 외실(70)로 흐른다.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의 내실(68)과 외실(70)은 서로 분리된 압력원에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외실 유체공급관상에 유동제한기를 포함시켜야 한다.
내실(68)에는 가압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 (76)이 있다. 구멍 (76)과 관(74)의 크기는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의 부근에 있는 입자고체를 유동화시킬 수 있는 가압유체의 유량이 흐를 수 있을 정도로 크다.
외실(70)은 유량제한기(82)를 경우하여 가압유체관(72)에 연결되는 동시에, 직접 조절관(66)에 연결된다. 내실(68)과 외실(70)은 서로 버팀대(78)에 의하여 그 고유위치를 유지한다.
외실(70)에는 다수의 압력감지구멍(80)이 제공되어 있다. 운전에 있어서, 외실(70)속으로 흘러들어가는 가압유체중 일부는 압력 감지 구멍(80)을 통하여 빠져나가고, 나머지 가압유체는 가압유체 조절관(66)을 통하여 배출된다. 외실(70)으로 흐르는 가압유체의 총유량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한오리피스와 같은 유량제한기(82)를 가압유체관(72)내에 제공한다.
운전에 있어서, 가압유체는 압력원(62)으로부터 가압유체관(64)을 통하여 관(72,74)으로 흘러들어간다. 관(74)을 통과한 가압유체는 내실(68)로 들어가서 여기에 뚫려 있는 다수의 구멍 (76)을 통하여 배출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러한 구멍(76)을통하여 나가는 가압유체의 유량은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0)의 부근에 있는 입상고체를 유동화시키기에 충분하다.
압력원(62)에서 나오는 가압유체는 관(72)으로 들어가고, 제한 오리피스(82)를 통과하여 거의 일정한 속도로 외실(70)속으로 흘러들어간다. 외실(70)로 들어간 가압유체중 일부는 여기로부터 압력감지 구멍(80)를 통하여 빠져나가고, 나머지 일부는 계속하여 가압유체관(66)속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압력감지 구멍(80)을 통과하는 유량이 감소됨에 따라 가압유체관(66)을 통과하는 유량은 증가된다. 이와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외실(70)에 뚫려있는 압력감지 구멍(80)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압유체의 량은 입상고체 유동층(28)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에 비례한다. 특히, 내실(68)의 구멍(76)을 통하여 인도된 가압유체에 의하여 유동화된 입상고체는 유체정압을 가지게되며, 이러한 유체정압은 유동층(28)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유동층(28)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가 증가된다. 유체정압의 변동은 외실(70)에 뚫려있는 압력감지 구멍(80)에 의하여 감지된다. 유체 정압이 증가됨에 따라 유동입상고체내의 유체정압도 증가됨에 따라 외실(70)로부터 압력감지 구멍(80)을 통하여 배출되는 가압유체의 양이 적어지는 반면에, 가압유체관(66)속으로 흐르는 양은 더 많아지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가압유체관(66)은 충전실(18)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유체관(66)내에 유량이 증가되면 충전실(18)내에서도 유량이 증가된다. 이와같이 충전실(18)을 통과하는 유량이 증가되면 스탠드파이프(12)의 하부에 있는 떨어져 있는 슬럼프질량(30)위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더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탠드파이프(12)로부터 배출통로(24)로 흐르는 입상고체의 유량도 증가 하게 된다.
위와같은 조작을 요약하면, 입상고체의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에서 유체정압이 높아진다. 유체정압이 높아지면 외실(70)에 뚫려있는 압력감지 구멍(80)을 통과하는 가압유체의 양이 적어지는 반면에, 가압유체관(66)을 통과하는 가압유체의 양이 증가된다. 이와같이 증가된 가압유체는 관(66)을 통하여 충전실(18)속으로 흘러 들어가서, 스탠드파이프(12)로부터 배출통로(24)로 흐르는 입상고체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도 유동층(28)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 감소에 대하여 비슷한 반응을 한다. 특히 유동층(28)안에 있는 입상고체의 높이가 스탠드파이프(12)를 통과하는 유량으로 인하여 감소하게 되면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60)근방의 유체정압도 감소된다. 그러면, 외실(70)안에 있는 가압유체는 자동적으로 이와같이 변동된 유체정압 상태에 적용하게 됨으로써 압력감지 구멍(80)을 통과하는 가압유체의 양이 증가되고, 가압유체관(66)을 통과하는 양이 감소된다. 그결과, 충전실(18)내의 압력은 감소되고, 스탠드파이프(12)로부터 배출통로(24)로 흐르는 입상고체의 유량도 감소하게 된다.
내실(68)위의 입상고체의 높이가 10 내지 20인치 정도인데, 고체수집조(6)안에 있는 입상고체가 소결(燒結)알루미늄이고, 고체 상부 공간의 수주압(水株壓)이 0인치이며, 내실(68)에서 사용되는 구멍(76)의 크기와 수가 특정되어 있으면, 유동화의 개시에는 관(74)을 통하여 전달되는 유체압력이 40-50WG, 정도로 충분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예를들면, 내실(68)윗쪽의 고체 높이가 16.5인치인데, 외실(70)에 의하여 감지된 유체정압을 33WG 이 되고, 조절 충전실(18)에서의 압력은 33인치에 근접된다는 것도 판명되었다. 외실(70)에서의 유체정압을 저장실(6)안에 있는 고체의 높이와 배출통로(24) 넘어에서의 배압(背壓)등의 변동에 따라 2-40WG 사이에서 변동된다.
외실(70)내에서의 유체정압과 관(66)을 경유한 충전실(18)내에서의 유체정압은 언제나 배출통로(24)를 넘어서의 압력과 같거나 더 높으며, 고체수집조(6)내에 수집되는 것과 동일한 비율로 입상고체를 배출하는 필요한 수요압력와 차등압력에 의하여 결정된다.

Claims (9)

  1. 입상고체를 상부 저장실로부터 하부 저장실로 흐르게하기 위하여 유동화시키도록 제공된 유체의 흐름을 계량함으로써 상, 하부 입상고체 저장실 사이의 입상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자동압력 감지 조절 장치로서 상기 상, 하부 저장실 사이의 입상고체 통로용장치, 적어도 하나의 가압유체원, 상, 하부 저장실 사이의 입상고체 통로용 장치에 있는 하부 저장실의 입상고체 상부에 위치된 제 1가압유체 분배기, 상기 제 1가압유체 분배기 근처의 입상고체를 유동화시키는 속도와 이에 부수되는 유체정압으로 제 1 가압유체 분배기를 통하여 상기 가압유체원으로부터 가압유체를 인도하는 장치, 제 2가압유체 분배기, 입상고체를 하부 저장실로 충동시키도록 제 2가압유체 분배기를 통하여 가압유체원으로부터 가압유체를 인도하는 장치,상기 유체정압의 작용으로써 입상고체를 하부 저장실로 유동화시키도록 제공된 유체의 제 2가압유체 분배기를 통하여 흐름을 계량하며, 그리고 제 1 가압유체 분배기 위의 입상고체 높이로 인한 유체정압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등을 포함하며, 제 1가압유체 분배기 위의 입상고체 높이에 따라 입상고체를 하부 저장실로 유동화시키도록 액체 흐름이 증가하는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2. 청구범위 제 1항에 있어서, 제 1 가압유체 분배기는 가압유체를 상기 입상고체 속으로 인도하여 입상고체를 유동화시키는 다수의 구멍이 있는 실(chamber)인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3. 청구범위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고체의 하부 저장실과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사이에 개재하는 충전실을 포함하며, 유체정압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 및 제 2가압유체 분배기는 유동화된 입상고체의 유체정압을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 구멍을 갖는 고리 모양의 외실로 구성되며, 상기 외실은 제 1가압유체 분배기를 통하여 지나는 유체로 야기되는 초기 유동이 일어나는 곳의 입상고체속에 있으며, 상기 충전실과 통하여서 압 력감지 구멍으로 감지된 유체정압의 변화가 상기 충전실로의 가압유체의 흐름에 대응하는 변화를 야기시켜 하부 저장실로의 입상고체 흐름을 변화시키는 자동 압력 감지조절 장치.
  4. 청구범위 제 3항에 있어서, 상, 하부 저장실 사이의 입상고체용 통로장치는 상, 하부 저장실 사이의 통로이며,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는 입상고체용 통로에 인접한 상, 하부 저장실 사이의 통로에 통하는 상부 저장실의 출구위에 위치하며 상기 충전실은 입상고체 하부 저장실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5. 청구범위 제 3항에 있어서, 가압유체를 제 2가압유체 분배기에 인도하는 장치에 유동제한기를 포함하는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6. 청구범위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 2가압유체 분배기와 통하는 하나의 가압유체원을 지니는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
  7. 상부위치로부터 밸브를 통하여 하부위치로 흐르는 입상고체의 흐름을 조절하며 상부위치에 인접하여 밸브에 배치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로서, 가압유체원과, 입상고체를 유동화시키는데 충분한량으로 가압유체원으로부터 가압유체를 살포하는 다수의 구멍을 지니며 가압유체원과 통하는 내실, 인도된 가압유체 부분을 인접한 유동화된 입상고체 속으로 살포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압력감지 구멍을 지니며 가압유체원과 통하는 고리모앙의 외실, 압력감지 장치를 통하여 살포되지 않은 가압유체를 외실로부터 입상고체 속으로 인도하며, 하부위치에 인접한 밸브 부분에 배치되어 외실과 통하는 충전실등을 포함하며,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에 인접한 유동화된 입상고체의 정압이 상부위치의 입상고체 높이에 따라 직접적으로 변하며 외실로부터 충전실에 인도된 가압유체 부분은 직접적으로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에 인접한 정압에 따라 변하는 자동압력 감지조절장치.
  8. 상부위치의 입상고체의 높이에 직접 비례하는 유량으로 상부위치로부터 하부위치로 밸브를 통하여 흐르는 입상고체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유체 정압을 일으키는 상부위치에 인접한 입상고체 일부분을 초기 유동화시키고, 초기 유동화위치 위의 입상고체 높이의 작용으로 유체정압을 변화시키며, 초기 유동화 위치를 통하여 가압유체의 흐름을 인도하고, 유체정압의 작용으로 가압유체 흐름의 일부를 입상고체 속으로 배출하며, 가압유체 흐름의 잔류 부분에 직접 비례하는 입상고체를 하부위치로 유동시키도록 가압유체 흐름의 잔류 부분을 밸브의 하부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인도하는 단계들로 구성된 입상고체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
  9. 청구범위 제 8항에 있어서, 표면에 구멍이 있는 분배기를 통하여 배출된 유체로 입상고체가 유동화되며, 입상고체 속으로 배출된 가압유체 흐름은 고리모양 외실 표면의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입상고체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
KR1019830003312A 1982-07-21 1983-07-19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KR890001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0397 1982-07-21
US400.397 1982-07-21
US06/400,397 US4453865A (en) 1982-07-21 1982-07-21 Automatic pressure sensitive regulation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554A KR840005554A (ko) 1984-11-14
KR890001383B1 true KR890001383B1 (ko) 1989-05-02

Family

ID=2358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312A KR890001383B1 (ko) 1982-07-21 1983-07-19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453865A (ko)
EP (1) EP0102329B1 (ko)
JP (1) JPS59501457A (ko)
KR (1) KR890001383B1 (ko)
AU (1) AU546159B2 (ko)
CA (1) CA1217523A (ko)
DE (1) DE3360888D1 (ko)
ES (1) ES8600510A1 (ko)
FI (1) FI81318C (ko)
GB (1) GB2123982B (ko)
GR (1) GR78882B (ko)
IL (1) IL69162A (ko)
MA (1) MA19847A1 (ko)
MX (1) MX155876A (ko)
PT (1) PT77054B (ko)
WO (1) WO1984000532A1 (ko)
YU (1) YU154783A (ko)
ZA (1) ZA8351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4333A (ja) * 1984-05-21 1985-12-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原料液補給装置
AT383582B (de) * 1985-03-18 1987-07-27 Lisec Peter Vorrichtung zum fuellen von hohlkoerpern mit granulat
JPS6221626A (ja) * 1985-07-17 1987-01-30 Nippon Steel Corp 粉粒体の分配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S62130927A (ja) * 1985-12-02 1987-06-13 Nippon Steel Corp 粉粒体と気体の分配装置の使用方法
US4814067A (en) * 1987-08-11 1989-03-21 Stone & Webster Engineering Corporation Particulate solids cracking apparatus and process
US4919898A (en) * 1987-08-11 1990-04-24 Stone & Webster Engineering Corp. Particulate solids cracking apparatus
US4941779A (en) * 1987-09-18 1990-07-17 Shell Oil Company Compartmented gas injection device
FR2667609B1 (fr) * 1990-10-03 1993-07-16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dispositif de craquage catalytique en lit fluide a courant descendant.
DE69117275T2 (de) * 1990-12-27 1996-07-11 Matsu Sangyo Co Ltd Vorrichtung zur Förderung von Pulverfarben
US5254788A (en) * 1991-09-10 1993-10-19 Stone And Webster Engineering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lefins from light paraffins
CN102180358B (zh) * 2011-04-18 2012-10-03 宝钢工程技术集团有限公司 机械搅拌脱硫喷吹给料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3793A (en) * 1949-12-24 1952-12-30 Dow Chemical Co Pneumatic conveyer and feeder for loose solids
US2684869A (en) * 1951-05-21 1954-07-27 Dorr Co Handling pulverulent materials
US2726137A (en) * 1951-07-13 1955-12-06 Gulf Oil Corp Process and apparatus for transfer of solid particles
US2880170A (en) * 1956-12-13 1959-03-31 Socony Mobil Oil Co Inc Method of sealing moving bed conversion reactor
GB1300935A (en) * 1969-08-18 1972-12-29 Dorr Oliver Company Ltd Valves for controlled solids transfer
US4240377A (en) * 1978-01-19 1980-12-23 Johnson William B Fluidized-bed compact boiler and method of operation
JPS5410290A (en) * 1977-06-27 1979-01-25 Daiya Kemifua Kk Deoxidating agent
DE2749399C2 (de) * 1977-11-04 1981-10-15 Deutsche Babcock Ag, 4200 Oberhausen Vorrichtung zum thermischen Regenerieren von beladenen Adsorbentien
US4260298A (en) * 1979-05-17 1981-04-07 The Ducon Company, Inc. Control of solids discharge from pressurized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69162A (en) 1986-08-31
GB2123982A (en) 1984-02-08
FI841111A0 (fi) 1984-03-20
ES524296A0 (es) 1985-10-01
PT77054A (en) 1983-08-01
AU546159B2 (en) 1985-08-15
FI841111A (fi) 1984-03-20
JPS59501457A (ja) 1984-08-16
PT77054B (en) 1986-01-27
CA1217523A (en) 1987-02-03
JPH036094B2 (ko) 1991-01-29
GB2123982B (en) 1985-12-18
MA19847A1 (fr) 1984-04-01
KR840005554A (ko) 1984-11-14
GR78882B (ko) 1984-10-02
IL69162A0 (en) 1983-11-30
GB8319558D0 (en) 1983-08-24
EP0102329A1 (en) 1984-03-07
US4453865A (en) 1984-06-12
MX155876A (es) 1988-05-16
ES8600510A1 (es) 1985-10-01
WO1984000532A1 (en) 1984-02-16
ZA835174B (en) 1984-09-26
EP0102329B1 (en) 1985-09-25
FI81318C (fi) 1990-10-10
YU154783A (en) 1988-12-31
FI81318B (fi) 1990-06-29
DE3360888D1 (en) 198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383B1 (ko) 자동압력 감지조절 장치
CN1024044C (zh) 输送固体颗粒流体流量的监测和控制的装置和方法
US2517051A (en) Apparatus for conducting ion exchange operations
US3365242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a gas from a container at a constant rate through several conduits
Kim et al. Solids flow characteristics in loop-seal of a circulating fluidized bed
US4106210A (en) Solids discharge system with cooling means for pressurized fluid bed reactors
Rhodes et al. A study of the pressure balance around the loop of a circulating fluidized bed
US2771323A (en) Standpipe flow controls
AU1881083A (en) Automatic pressure sensitive regulation assembly
KR890005132B1 (ko) 입상재료의 유동장치
CN1050531C (zh) 在容器中分配流体的方法及设备
US2182873A (en) Regulator valve
US4167819A (en) Pressure regulator
US4459071A (en) Solids flow regulator
US2770584A (en) Method of operating a pneumatic lift used to transport granular solids in a hydrocarbon conversion process
US2726938A (en) Apparatus for supplying contact material to a reaction chamber
US2860652A (en) Apparatus for emptying tanks
US4625744A (en) Process and device for performing a series of hydrodynamic functions on a flow comprised of at least two phases
US4530290A (en) Apparatus for fluidizing a particulate material in a conveying gas
US2867478A (en) Pulsating counter-flow feeder
NO161553B (no) Anordning og fremgangsmaate for regulering av stroemming avfaste partikler.
US4917855A (en) Apparatus for the shutdown of a high temperature nuclear reactor
US3128129A (en) Control of catalyst circulation rate in a fluidized system
US2737294A (en) Surface level control in a compact solids bed
US5241863A (en) Buffer volu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5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