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218B1 -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218B1
KR890001218B1 KR1019870000737A KR870000737A KR890001218B1 KR 890001218 B1 KR890001218 B1 KR 890001218B1 KR 1019870000737 A KR1019870000737 A KR 1019870000737A KR 870000737 A KR870000737 A KR 870000737A KR 890001218 B1 KR890001218 B1 KR 89000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ever
levers
loom
op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065A (ko
Inventor
쇼오이찌 구와하라
노부아끼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적극 캠식 개구장치의 실시예 I 의 기구의 개략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좌측면 축소도와, 그 관계 기구를 나타낸 도.
제4도는 제3도의 상면 약도.
제5도는 실시예Ⅱ의 정면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 종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좌측면에 있어서의 관계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8도 Ⅶ-Ⅶ'선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우측면을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캠 2 : 원주
3, 3' : 핀 4, 4' : 축받이
5, 5' : 볼트
캠식 개구장치는, 일반적으로 직물의 3원조직(三原組織)이라고 불리는 능직(綾織), 주자직(朱子織), 평직(平織)을 그 조직에 맞추어 직성(織成)할수 있도록, 복수의 캠, 캠레버에 의하여 개구틀(開口樗)을 상하운동 시키는 장치이다. 이 캠식 개구장치는 종래소극(消極)캠 방식이라 불리는 즉 캠과 캠 보올이 스프링에 의하여 압접되어 있는 방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으나, 이 방식에서는 최근에 있어서의 직기회전수의 상승, 직물의 광폭화(廣幅化)등의 영향에 따라, 그때의 직기의 진동, 그에 수반하는 개구틀의 틀 진동의 발생에 대응할 수 없고, 또 내구성이 없다는 등의 점에서 그 사용에 한계를 가져오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그대신 적극(積極)캠 방식, 즉, 두개의 캠 궤적을 가지는 캠과, 이것에 대응하도록 두개의 캠 보올을 가진 캠 레버가 캠을 중간에 끼워넣는 방식으로서, 개구틀의 상하운동이 상기 캠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행해진다. 이것은 직기의 진동, 내구성을 고려하여 상기 두개의 캠보올과 캠과의 접촉은 항상 간극이 영(0)에 가깝도록(최대 0.1mm 내지 0의 범위) 캠의 구성을 작성한 것으로서, 전술한 소극 캠 방식과 같이 캠과 캠 보올이 스프링 등에 의하여 압접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 적극 캠방식 개구장치는 1매의 개구틀에 한쌍의 캠과 캠레버를 가지는 것이 보통이고, 이 경우, 개구틀의 핏치폭 내에서 캠, 캠보올을 구성하기 때문에, 캠레버의 구성폭에 제한을 받아 큰 폭의 것을 채용할 수가 없고, 이것은 직기의 고속화, 직물의 광폭화의 요청이 있을때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만들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또 이것들을 개구틀 매수분, 배치하는 것은 제작오차에 의한 어긋남(불균일)이 커진다. 따라서, 이 적극식 캠은 대단히 고정밀도 가공의 캠으로, 그 제작에 고도의 가공기술을 필요로하여, 제작비가 고가가된다. 또한 이와같은 적극캠식 개구장치는 일반적으로 오일배드(Oil bath)방식의 박스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박스내로부터 밖으로의 연결은 요동레버가 박스내로부터 밖으로 나와 연결되어 있고, 이 요동레버를 거친 오일 누설이 생기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그 밖의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특개소 58-132135호 공보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은 평직 개구의 캠 방식에서, 결합 캠 한개에 두개의 캠 레버를 대략, 대칭(약 180도)으로 배치한 것이 있다. 이것은 직기의 주축에 대하여 1/2회전하는 캠축과, 두개의 캠레버의 구성이기 때문에, 경사(
Figure kpo00001
)가 스펀사 (Spun yarns)인 경우에 상사(
Figure kpo00002
: Upper line of warp threads)와 하사 (
Figure kpo00003
; Lower line of warp threads)와의 교차를 용이하게 하는 기본적인 방법인 위상차(Shedding motion with phase difference), 즉, 경사 시이트(Sheet of warp threads)의 경사 밀도를 낮게 하기 위하여, 수(數)그룹으로 분할된 직물 조직상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경사의 각각의 그룹을, 타이밍(직기 주축의 회전 각도의 변화를 시간으로 판단 한것)을 약간 어긋나게 하여 개구 운동을 행하게 하는 방법을 취할 수가 없다. 예를들면, 평직에서 위상 어긋남을 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최소 4매의 개구틀을 사용하여 위상 어긋남을 행하려고 해도, 거기에 표시된 한개의 캠과 두개의 캠레버로서는 한개의 캠레버에 연결된 2매의 개구틀에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이를 위해서는 두개의 캠과 4개의 캠 레버와 4개의 캠레버축이 필요하다. 또한 평직개구 전용으로, 능직, 주자직에 사용하기 위한 캠등의 배려의 개시가 없고, 또 캠 레버축에 대해서도, 캠에 다하여, 대략대칭이라는 애매한 위치를 결정하고 있는것 등으로 종래의 적극 캠 방식의 캠 레버축이 한개로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그 반대측에 또 한개의 캠 레버축을 두었다는 구성에 불과한 기구이다.
본 발명은 직기의 적극캠식 개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기용의 적극캠식 개구장치에 있어서, 두개의 캠 궤적을 갖는 한개의 캠에 대하여, 그 캠축(캠의 회전축)을 동심인 동일 원주상에 직물 조직에 맞는 필요한 수의 캠레버축을 배치하고, 직물조직의 변경에 수반하여 캠을 교환하거나, 캠레버의 수를 변경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캠레버의 축이, 직물조직 1리피이트(repeat)완성시키는데 필요한 개구틀의 조합별로 캠 박스의 양측으로 제거 가능하게 배치된 2매의 지지 브래킷(bracket)에 분할되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이 상대적으로 상개 캠 축과 동일 원주상에 움직이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의 목적은, 능직, 주자직, 평직의 어느 조성의 직물을 직성하는데도 적용할 수 있는 적극 캠식 개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능직, 주자직, 평직의 어느 조직에 대해서도, 각각 전용의 한개의 캠에 의하여 작성할 수 있는 적극 캠식 개구 장치를 제고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은, 개구틀의 피치에 의하여 캠레버, 캠 보올의 폭이 제한되는 일이 없는 적극캠식 개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4 의 목적은 충분한 오일 누설방지 기구의 적극 캠식 개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5 의 목적은 캠레버의 지지 브래킷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보통의 개구운동을 위상차가 있는 개구 운동으로 변하거나, 또 그 위상차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는 적극캠식 개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은, 본 발명의 적극캠식 개구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하에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逸脫)하는 일이 없이 여러가지의 번형은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실시예I[직물 조직이 4매 사문(斜紋)이고, 개구틀을 8매 사용하는 경우, 단, 캠 형상은 자유로 그리고 있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캠(1)의 캠축(E)의 축심과 동심인 동일원주(2)상에 8개의 틀매수에 맞추어 동일 형상의 캠 레버(A1∼A8)가 8개 배치되어 있고, 이들 두갈래로 갈라진 구성의 캠레버(A1∼A8)의 양단에 캠(1)의 X측과 접하는 캠보울(a)과, Y측과 접촉하는 캠 보올(a')이 있고, 캠(1)을 사이에 끼워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캠 보올은 일반적으로 캠 로울러 또는 보올 베어링이 사용되고, 핀(3,3')에 의하여 캠레버 (A1∼A8)에 지지되어 있다.
직기주축 1회전당 1/8회전하는 캠(1)의 회전에 의하여, 캠레버(A1∼A8)는 캠 곡선에 의하여 요동운동을 행하고, 이들 캠레버에 고착된 캠레버축(A1'∼A8')를 거쳐 이들 캠레버축(A1'∼A8')에 스플릿 링(Split ring), 스팬링 등으로 고정된 연결레버(B1∼B8)에 요동운동을 전달한다. 연결레버(B1∼B8)와 개구레버(D1∼D8)는 연결로드(C1∼C8)에 의하여 계합되고, 이들 연결로드(C1∼C8)의 양단의 연결레버(B1∼B8)와 개구레버(D1∼D8)의 연결부는 회동이 자재롭고, 그리고 이들은 긴구멍(h,h')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 (P,P')에 의하여 걔합되어 있다. 이들 긴 구멍은 개구량 조절용으로서 한쪽만이면 된다. 연결로드(C1∼C8)는 연결레버(B1∼B8)와 개구레버(D1∼D8)의 거리의 조정과 개구틀(H1∼H8)의 틀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도중에 터어버클(t)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 기구에 의하여 개구레버(D1∼D8), 연결로드(R1∼R8) 및 연결로드(R1'∼R8')에 전달된 운동에 의하여 개구틀(H1∼H8)을 상,하로 움직여 직기주축 4회전으로 4매 사문의 직물 조직을 작성한다. 캠(E)은 보올 베어링 등의 축받이(4,4')에 지지되어 그 단부에 고정된 베벨기어(F1), 그것과 맞물리는 베벨기어(F2), 전달축(J), 타임풀리(G), 타이밍 밸트(V) 및 직기 주축에 고정된 타이밍 풀리(도시생략)로 일련이 전달계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기 주축과 캠축(E)과의 회전비는 직물조직과 사용 개구틀수, 위상차가 있는 개구운동을 채용하는지의 여부등의 조건에 따라, 직기 주축에 대하여 일반적으로는 1/2∼1/10의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타이밍 풀리(G), 베벨기어 (F1,F2)등의 조합에 의하여 행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는 위상차가 있는 개구운동을 채용하기 위하여, 4매 사문의 기본 틀매수의 2배인 8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당연히 캠레버도 8개 사용하고 있다), 이 회전비는 1/8로 하고 있다. 또 캠(1)과 직기주축과의 회전 위치 관계의 조정은 타이밍 밸트(V)와 타이밍 풀리(G) 측은 베벨기어(F1)와 베벨기어(F2)와의 맞물림(
Figure kpo00004
)변경에 의하여서도 행할 수 있으나, 미조정(微調整)하는 것을 고려하여 타이밍 풀리나 베벨기어의 축에의 고정을 임의의 위치에서 할 수 있도록 스플릿링 등을 채용해도 좋다. 캠축(E)의 지지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캠박스(K)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L2,및 L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들 브래킷은 캠박스(K)에 볼트(5,5')로 고정되어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브래킷(L1∼L4)은 특히 개구운동의 위상차를 자유롭게 조정할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서, 제3도와 같이, 8개의 캠레버는 직물조직 1리 피이트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4개의 캠레버 별로 묶여 그룹화되고, 캠레버(A1∼A4)는 지지브래킷 (L2),(L3)에, 캠레버(A5∼A8)는 지지브래킷(L1,L4)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에 대응하는 캠 레버의 축(A1'∼A8')은 캠축(E)과 동심인 동일 원주상에 등분(等分)배치되고, 직물 조직상,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경사(
Figure kpo00005
)에 개구 운동을 전달하는 캠레버의 축은 각각 캠축(E)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를 취하고 있다. 캠 레버의 축이 등분 배치되어 있는 이 경우는 위상차는 당연히 영(0)이다.
위상차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지지브래킷(L1),(L4)을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브래킷(L2),(L3)에 설치된 보스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즉 캠축(E)을 회전축으로 하여 α도 어긋나게 하여 고정시키면, 캠레버 A1과 A5, A2와 A6, A3와 A7, A4와 A8에 각각 8α도의 위상차가 생기게 되고, 이 조정은 외부로부터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직물조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캠을 변경시킴과 동시에 캠레버수에 따라 지지브래킷(L1),(L2),(L3),(L4)를 교환하면 된다.
제5도 내지 제8도의 실시예Ⅱ는 3매의 개구틀을 사용하여 3매 사문을 짜는 경우를 나타낸다. 3매 사문의 최소 개구틀 매수는 3매이므로, 이 실시예Ⅱ는 위상차를 두지 않는 예이다. 그러므로 실시예I과 같이 지지브래킷(L1∼L4)은 불필요하고, 캠레버의 축(A1'∼A3')은 캠축(E)과 동심인 동일한 원주상에 등분 간격으로, 직접 캠 박스(K)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형상의 캠레버 (A1'∼A3')가 캠박스(K)내에서 각각 캠레버의 축(A1'∼A3')에 고정되어 있고, 그 선단에 설치한 캠 보올(a,a')로 캠(1)의 X측, Y측을 사이에 끼고 있고, 캠(1)[직기 주축 1회전당 1/3회전 한다]의 회전함으로써 캠 곡선에 따라 캠레버(A1∼A3)가 요동운동을 행하고, 캠레버축 (A1'∼A3')를 거쳐 연결레버(B1∼B3), 연결로드(C1∼C3), 중간레버(S1∼S3), 요동샤프트(T1∼T3), 개구레버(D1∼D3), 연결로드(R1∼R3)를 거쳐 개구틀(H1∼H3)을 상하로 움직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도 내지 제4도(실시예I)는, 캠축(E)이 직기 주축과 직교하도록 캠박스(K)가 배치되어 있는 예이고, 다음의 제5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실시예Ⅱ는 캠축(E)이 직기주축과 평행이 되도록 캠박스(K)가 배치된 예이다.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연결레버와 개구틀과의 연결 수단을 고려하면 개구틀의 상하운동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는 두개의 캠궤적을 갖는 캠에 대하여 그 캠축과 동심인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캠레버축을 배치하고, 동일 형상의 캠레버를 사용했기 때문에 능직, 주자직, 평직의 어느 조직의 직성(織成)에 있어서도 각각 캠은 한개이면 된다. 그리고 개구틀의 피치에 의하여 캠레버, 캠보올의 폭이 제한을 받지 않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캠레버, 캠 보올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 캠 박스 내외의 연결은, 캠 레버축에 의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오일 누설 방지가 대단히 용이해진다. 특히, 실시예I의 경우는 경사가 필라멘트사로부터 스팬사로 변경되어도, 캠의 교체등의 번잡한 작업없이, 단지 지지브래킷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만으로 그에 대처할 수가 있다. 즉, 경사에 위상차를 가진 개구운동을 간단하게 가할수가 있게 된다. 또한 경사의 본수(本數), 실종류에 맞춘 적성(適性)의 위상차를 부여할 수가 있다.

Claims (2)

  1. 개구운동을 결정하는 두개의 외주 캠 면을 갖는 한개의 캠에 대하여, 각각의 캠면에 접하여 상기 캠을 끼워놓는 두개의 캠 보올을 일단에 갖는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의 캠 레버를 복수개, 상기 캠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상에 분배 배치한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에 있어서, 캠 박스의 상대하는 측면에 지지브래킷을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브래킷으로 캠레버축을 축받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캠레버축을 캠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으로 균등하게 복수개로 이루어진 몇 그룹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캠 레버축을 그룹별로 각각 독립된 브래킷에 동일 피치로 축 받침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브래킷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캠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어긋나게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
KR1019870000737A 1986-02-05 1987-01-30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 KR890001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15526U JPS62129082U (ko) 1986-02-05 1986-02-05
JP?86-15526 1986-02-05
JP15526 1986-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065A KR870008065A (ko) 1987-09-24
KR890001218B1 true KR890001218B1 (ko) 1989-04-27

Family

ID=1189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737A KR890001218B1 (ko) 1986-02-05 1987-01-30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S62129082U (ko)
KR (1) KR890001218B1 (ko)
IN (1) IN164310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29082U (ko) 1987-08-15
KR870008065A (ko) 1987-09-24
IN164310B (ko) 198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2906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weft carrying grippers in looms
US2155146A (en) Knitting machinery
CS275707B6 (en) Double-lifting jacquard machine with an open shed
US7299661B1 (en) Linear knitting machine
KR890001218B1 (ko) 직기용 적극 캠식 개구장치
KR920002189B1 (ko) 직기를 위한 개량된 날실장력장치
US5005607A (en) Heald frame for looms
US5107901A (en) Modulator mechanism for dobby
KR100450066B1 (ko) 원형자수기
US4651784A (en) Plain weave shedding mechanism
US4580605A (en) Leno selvedge forming device
KR930700711A (ko) 원형 직조기
US4984607A (en) Device for driving harnesses of weaving machines
US4694866A (en) Shedding device for a circular weaving machine
US4432397A (en) Noiseless high-speed circular loom for producing tubular fabrics consisting of strips, threads and the like made of synthetic or natural materials
CN211546840U (zh) 一种立式传动连杆机构及双针床经编机
KR880006397A (ko) 원형 직기
JPH0223613B2 (ko)
US4763698A (en) Cam unit incorporating batten for controlling the reed of weaving looms
EP3440248B1 (en) Jacquard machine with innovative drive system
CN110685066A (zh) 一种立式传动连杆机构及双针床经编机
US5209269A (en) Positive eccentric dobby
US3771572A (en) Shuttle-motion unit for narrow fabric looms
US5570724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griffe frames with connection rod/crank system
US5526851A (en) Variable pitch cyclindrical cam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a weft insert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