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99B1 - 정수역 세공법 - Google Patents

정수역 세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99B1
KR890001099B1 KR1019860004103A KR860004103A KR890001099B1 KR 890001099 B1 KR890001099 B1 KR 890001099B1 KR 1019860004103 A KR1019860004103 A KR 1019860004103A KR 860004103 A KR860004103 A KR 860004103A KR 890001099 B1 KR890001099 B1 KR 89000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ater level
filtration tank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890A (ko
Inventor
김순용
Original Assignee
김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용 filed Critical 김순용
Priority to KR101986000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099B1/ko
Publication of KR87001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수역 세공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치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조 2 : 정수조
3 : 격벽 4 : 여과사층
5 : 여과기 6 : 격판층
7 : 여과수조 8 : 수위 감지장치
9, 12 : 여과수 배출관 10 : 원수 공급관
11 : 배수관 13 : 각부
14 : 모터 15 : 교반체
16 : 세척장치 17 : 교반보습
18 : 타이머 V10및 V11: 전자변
본 발명의 정수조와 여과조의 수위차를 이용하는 자동 반복 역세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발된 역세공법들은 기존 설비의 규모가 실로 엄청나다. 즉, 거대한 침전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는 별도로 설치된 여과조에 유입되고 여과조에서 여과된 여과수는 별도로 설치된 거대한 정수지에 모여서 염소등의 약품 처리로 맑은 정수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정이 연속적으로 장시간에 걸쳐서 행하여질 경우, 찌꺼기나 부유물들을 내재한 원수가 여과조의 여과사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찌꺼기나 부유물 기타 오니 및 미생물 등이 여과사층의 표면을 뒤덮어서 여과조의 여과사층은 여과 불능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에 여과조의 정상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역세공법을 필요로 하는데, 이와 같은 역세공법의 일예로서, 별도의 역세 펌프나 역세 탱크를 설치하여 여과사층을 통과한 여과수로를 거꾸로 역세 시킨다.
이 때 필요한 여과수의 역세 공급량은 단위 시간당 원수 공급량의 5배 이상의 대량의 역세수를 공급해야 하며 또한 통상적으로 7-8분 동안 역세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역세를 위한 펌프를 구동시켜야 되므로 과다한 전력 소모는 물론 모터 설비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되며 더우기 펌프의 고장으로 인한 정수 기능 효율 저하 및 유지관리의 가동 중 불만족스러운 비경제적 요소가 많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함을 해결하도록 여과조와 정수조을 일체로 구성하여 원수와 여과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여과와 역세를 연속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정수 역세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양호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역세공법은 격벽(3)으로 구획되어 있는 여과조(1)와 정수조(2)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여과조(1)내에는 여과사층(4)과 여과수조(7)가 다수의 여과기(5)들을 갖고 있는 여과 격판층(6)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여과조(1)의 측면 상부와 중간부에는 원수 공급관(10)과 세척된 오수의 배수관(11)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의 적당한 위치에 격벽(3)과 그리고 여과조(1)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장치(8)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수조(2)의 측면 상, 하부에는 여과수 배출관(9,12)이 설치되여 있고 여과조(1)내의 여과사층(4) 속에는 표면상의 오니나 부유물이 축적된 모래를 휘져으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장치 16)가 모터(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어 있다. 상기 세척장치(16)는 중공체로서 교반체(15)와, 교반체의 저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고 다수의 분사공들을 갖는 각부(13)와, 그리고 상기 교반체의 양측면에는 여과사층(4)을 휘젓고 파헤치기 위한 상반되는 다수의 교반보습(17)들을 교반체와 일체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원수 공급관(10), 여과수 배출관(9,12) 및 배수관(11)은 모두 전자변(V9,V10,V11,V12)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여과조(1)의 정수조(2)의 수위면이 정상 여과시 항상 일정 높이 만큼 유지하다가(제1도) 여과사층(4)의 여과 기능이 상실되면 여과조(1)내의 수위면이 상승하고, 상승된 수위면이 l의 상태에 도달할 때 수위 감지장치(8)가 작동되면서 타이머 (18)가 구동하고, 이와 동시에 원수 공급관(10)이 전자변(V10)에 의해 차단되고 배수관(11)이 전자변(V11)에 의해 개방되고, 또한 모터(14)가 온되어 세척장치가 구동된다.
이 때 배수관(11)의 전자변(V11)이 개방되고, 또한 원수 공급관(10)의 전자변( V10)이 차단되므로 여과조(1)내의 수위 l은 급격히 떨어지는 한편 세척장치 (16)가 회전 구동되어 여과사가 세척된다.
결국 수위는 배수관(11)의 높이까지 떨어지게 되므로 정수조(2)와 여과조(1) 간에는 수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타이머(18)는 기 세팅된 예정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5-7분 동안 작동되므로 상기 발생된 수위차에 의해 정수조(2)내의 정수된 물이 여과조(1)내로 자동 역세수 된다.
예정된 시간동안 역세된 후 타이머(18)는 오프됨과 동시에 리세트되고, 모터 (14)가 오프되어 세척장치(16)가 정지되고 또한 원수 공급관(10)의 전자변(V10)은 다시 개방되고, 배수관(11)의 전자변(V11)은 다시 폐쇄되어 여과 기능을 다시 회복한다.
상기와 같은 각 단계별 동작들이 여과조(1)와 정수조(2)의 수위면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서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모터와 전자변이 작동되므로 별도의 수동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정수조(1)가 비록 확대 도시되어 있으나 정수조(2)는 여과조(1)의 수백 내지 수천배 정도의 크기이므로 격벽(3) 하단에 별도의 전자변을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본 발명의 역세 공법이 가능하다.
미설명 부호(9) 및 (12)와 (V9) 및 (V12)는 정수공급관과 전자변들로서 정수조 (2)의 일정 수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자변(V9또는 V1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역세공법은 별도의 침전지, 여과지, 정수지를 설치하고 역세 펌프나 역세 탱크를 설치해야만 하는 종래 공법에 비해서 간편한 공법에 의해 용이하게 수위면의 변화에 따러서 자동적으로 원수 투입, 여과, 정수 그리고 역세등의 과정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여과사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여과사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여과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그 경제적, 실용적 효과가 지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1. 여과조(1)와 정수조(2)를 일체로 형성하여 격벽(3)으로 구획하여 상호 유통되게 하고, 여과조(1)내의 상부와 중간부의 원수 공급관(10) 및 오수배수관(11)에 전자변(V10,V11)을 설치하고, 원수 공급관(10)과 거의 동일 높이에 수위 감지장치(8)를 설치하고, 수위 감지장치(8)에 의해 세척장치(16)의 모터(14)와 상기 전자변 (V10,V11)을 순차 제어하도록 타이머(18)를 통해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여 여과조(1)의 수위면이 l이 될 때 수위 감지장치(8)에 의해 타이머(18)가 온되어 예정된 기 세팅 시간동안 전자변(V10)을 차단, 전자변(V11)을 개방, 그리고 세척장치(16)의 모터(14)를 구동시켜 정수조 수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역세를 연속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정수 역세공법.
KR1019860004103A 1986-05-24 1986-05-24 정수역 세공법 KR89000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4103A KR890001099B1 (ko) 1986-05-24 1986-05-24 정수역 세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4103A KR890001099B1 (ko) 1986-05-24 1986-05-24 정수역 세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890A KR870010890A (ko) 1987-12-18
KR890001099B1 true KR890001099B1 (ko) 1989-04-24

Family

ID=1925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103A KR890001099B1 (ko) 1986-05-24 1986-05-24 정수역 세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150B1 (ko) * 2001-04-06 2004-07-05 한상배 여과수두를 이용한 역세척방법 및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890A (ko) 198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5739B1 (en) Water clarification system adapted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of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KR101233775B1 (ko) 유입 액체를 처리하기 위한 생물반응조 및 분리막 여과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US3810544A (en) Filter systems
US20070170106A1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ewage sludge, and membrane unit
KR890001099B1 (ko) 정수역 세공법
GB2252058A (en) Filter cleaning system
JPS6216125B2 (ko)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100762416B1 (ko) 침전상등수용 여과장치
KR940005474B1 (ko) 복합층 고도 여과방법 및 장치
KR200190730Y1 (ko) 여과기공기 역세척 산기장치
JP2000062833A (ja) 固液分離装置
US448122A (en) Apparatus for treating sewage
KR19980018113A (ko) 오폐수 세정방법 및 장치
GB1604108A (en) Backwash fast filter installation
KR0142996B1 (ko)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JPH0728886Y2 (ja) 重力式ろ過装置
RU2095315C1 (ru) Плавающий водозабор
KR200238938Y1 (ko) 여과수두를 이용한 여과 및 역세척장치
KR890003071B1 (ko) 부상여재를 사용한 여과기
JPS59442A (ja) 水洗便所の洗浄水供給装置
KR850000060Y1 (ko) 여과기의 세척장치
KR100438150B1 (ko) 여과수두를 이용한 역세척방법 및 여과장치
KR100336819B1 (ko) 역세척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0378924B1 (ko) 오폐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