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924B1 -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924B1
KR100378924B1 KR10-2000-0023756A KR20000023756A KR100378924B1 KR 100378924 B1 KR100378924 B1 KR 100378924B1 KR 20000023756 A KR20000023756 A KR 20000023756A KR 100378924 B1 KR100378924 B1 KR 10037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line
waste water
tank
filt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655A (ko
Inventor
윤복현
Original Assignee
윤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복현 filed Critical 윤복현
Priority to KR10-2000-002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924B1/ko
Publication of KR2001010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2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여재층(43)을 포함하는 여과조(30)를 가지고, 초기오폐수 처리장치를 거쳐 정화된 오폐수탱크의 오폐수를 공급펌프(51)를 통해 여과조(30)로 공급하는 공급라인(50)을 가지고, 상기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라인(70)과 이 배수라인(70)에 설치된 처리수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여과조(30)내의 여재층(43) 상부에 상협하광형상의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관(37)을 설치하여 이에 상기 역세라인(60)과 연결 설치하고, 상기 공급라인(5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가 상기 흡입관(37)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여과조(30)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배수라인(70)의 일측에 역세시 자동 개방되어 공기의 유입이 가능토록 한 공기유입밸브(92)와 그 량을 조절하는 공기유입량조절밸브(93)를 구비하고, 상기 오폐수공급라인(50)과 배수라인(70) 사이에 공급펌프(51)에 의해 정화되어 배수되는 일부의 물이 개폐밸브를 통해 일정시간동안 회수되도록 회수라인(80)을 구비하되, 상기 여과조(30)의 내부 수압을 측정하여 설정압력보다 높을 경우 역세공정이 자동 실시되도록 하는 압력센싱부를 구성하며, 상기 여과조(30)의 여재층(43) 내에 역세시 작동하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여재를 세척하는 세척날개(29)를 구비하며, 상기 여과조(100)의 상부에 실린더(101)를 설치하고, 그 로드(102)를 여과조(100)내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출몰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단부에 상기 흡입관(37)을 연결하고, 상기 흡입관(37)의 하부에 여재차단망(103)을 설치하여 역세시 승강시키고 오폐수정화시 하강하여 여재층(43)간의 공극을 강제 조절토록 하며, 상기 여과조(30)의 하부에 회전날개(105)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공기유입라인(90)의 단부를 위치시켜 유입되는 공기가 여재층(43)에 균일하게 분산공급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The treatment device for sewage}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조로 공급되는 오폐수를 공급구조와 역세구조를 개선하여 여재가 항상 최상의 정화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나 공장 및 산업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폐수 등은 하천으로 방류전에 폐수처리장치를 단계적으로 통과시켜 정화시킨 후 방류시킨다.
폐수를 처리하는데는 기계적인 장치를 통해 인위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방법이 있다.상기한 후자의 미생물을 이용한 정화방법은 여과조내에 충진된 여재의 표면에 미생물을 부착시키고, 이를 활성화시켜 통과되는 오폐수의 각종 오염물질을 미생물이 분해토록 하는 것으로, 그 처리 성능이 우수하여 고도처리나 중수도 처리로 그 보급이 확대될 전망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정화방법인 생물막 여과장치는 정화조 또는 침사조와 스크린조(1)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량조정조(2)로 오폐수의 농도를 조정하고, 공급펌프(3)를 통하여 유량조정조(2)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를 제1여과조(10)내의 여재층(11)을 통과시켜 유기성 오염물질과 부유물질 및 고형 물질을 분리하고, 제1여과조(10)를 통한 1차처리수를 다시 제2여과조(14)의 여과재층(15)을 통과시켜 남은 유기성 오염물질과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제2여과조(14)를 통과한 처리수를 처리수조(16)에 임시 저장하여 이를 배출하거나 또는 역세펌프(18)를 통하여 제1여과조(10)와 제2여과조(14)로 역으로 공급하여 여재층(12)(14)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제2여과조(10)(!4)내의 여재 비중이 1보다 클 경우에는 처리코자 하는 오폐수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시키고 여과재의 비중이 1보다 작을 경우에는 오폐수를 아래에서 위로 통과시킨다.그리고 도면에서는 제1여과조(10)와 제2여과조(14)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3개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과장치는 역세를 실시할 때 단순히 물을 여과조 내로 역공급하여 세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세척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여재를 자주 교환해야 하므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또한, 역세시 여과조를 역으로 통과한 물이 다시 유량조정조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미 분리된 이물질이 여재로 다시 유입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역세 공정시 기포를 이용하여 여재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역세효과를 높이고, 역세된 물이 그대로 여과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여과조의 정화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제2 목적은 세척조내의 여재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역세작동이 실시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의 제3 목적은 역세 공정시 물의 압력을균일하게 분포시켜 여과조내의 여재가 동일한 세척효과를 얻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제4 목적은 역세공정시 여재를 강제 회전시켜 세척효과를 상승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제5 목적은 여과조내에 충진된 여재의 비중이 1보다 작거나 클 때에도 오폐수 공급라인의 변화없이 오폐수의 흐름방향 및 정화효과를 동일하게 하여 여재의 호환성을 확장할 수 있는데 있다.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내부에 여재층을 포함하는 여과조를 가지고, 초기오폐수 처리장치를 거쳐 정화된 오폐수탱크의 오폐수를 공급펌프를 통해 여과조로 공급하는 공급라인을 가지고, 상기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라인과 이 배수라인에 설치된 처리수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여과조내의 여재층 상부에 상협하광형상의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관을 설치하여 이에 상기 역세라인과 연결 설치하고, 상기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가 상기 흡입관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여과조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배수라인의 일측에 역세시 자동 개방되어 공기의 유입이 가능토록 한 공기유입밸브와 그 량을 조절하는 공기유입량조절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오폐수공급라인과 배수라인 사이에 공급펌프에 의해 정화되어 배수되는 일부의 물이 개폐밸브를 통해 일정시간동안 회수되도록 회수라인을 구비하되,상기 여과조의 내부 수압을 측정하여 설정압력보다 높을 경우 역세공정이 자동 실시되도록 하는 압력센싱부를 구성하며, 상기 여과조의 여재층 내에 역세시 작동하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여재를 세척하는 세척날개를 구비하며,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실린더를 설치하고, 그 로드를 여과조내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출몰시킴과 아울러 그 단부에 상기 흡입관을 연결하고, 상기 흡입관의 하부에 여재차단망을 설치하여 역세시 승강시키고 오폐수정화시 하강하여 여재층간의 공극을 강제 조절하며,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회전날개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공기유입라인의 단부를 위치시켜 유입되는 공기가 여재층에 균일하게 분산공급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역세할 때의 물흐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공기공급라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초기오폐수정화조 21 - 오폐수탱크 30 - 여과조
31a,31b,31c - 상·중·하부몸체 32 - 여재투입구 33 - 수압센서
34 - 수압계 35 - 유명계 36 - 여재망
37 - 흡입관 38 - 축 39 - 세척날개
40 - 체인 41 - 모터 50 - 공급라인
51 - 공급펌프 52 - 공급밸브 60 - 역세라인
61 - 역세펌프 70 - 배수라인 72 - 배수밸부
73 - 처리조 80 - 회수라인 82 - 회수밸브
90 - 공기공급라인 92 - 공기유입밸브 93 - 공기유입량조절밸브
94 - 드레인밸브 100 - 여과조 101 - 실린더
102 - 로드 103 - 여재차단망 105 - 회전날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역세할 때의 물흐름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공기공급라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내부에 여재층(43)을 포함하는 여과조(30)를 가지고, 초기오폐수 처리장치를 거쳐 정화된 오폐수탱크의 오폐수를 공급펌프(51)를 통해 여과조(30)로 공급하는 공급라인(50)을 가지고, 상기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라인(70)과 이 배수라인(70)에 설치된 처리수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여과조(30)내의 여재층(43) 상부에 상협하광형상의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관(37)을 설치하여, 이를 상기 역세라인(60)과 연결 설치하고, 상기 공급라인(5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가 상기 흡입관(37)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여과조(30)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배수라인(70)의 일측에 역세시 자동 개방되어 공기의 유입이 가능토록 한 공기유입밸브(92)와 그 량을 조절하는 공기유입량조절밸브(93)를 구비하고, 상기 오폐수공급라인(50)과 배수라인(70) 사이에 공급펌프(51)에 의해 정화되어 배수되는 일부의 물이 개폐밸브를 통해 일정시간동안 회수되도록 회수라인(80)을 구비하되, 상기 여과조(30)의 내부 수압을 측정하여 설정압력보다 높을 경우 역세공정이 자동 실시되도록 하는 압력센싱부를 구성하며, 상기 여과조(30)의 여재층(43) 내에 역세시 작동하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여재를 세척하는 세척날개(29)를 구비하며, 상기 여과조(100)의 상부에 실린더(101)를 설치하고, 그 로드(102)를 여과조(100)내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출몰시킴과 아울러 그 단부에 상기 흡입관(37)을 연결하고, 상기 흡입관(37)의 하부에 여재차단망(103)을 설치하여 역세시 승강시키고 오폐수정화시 하강하여 여재층(43)간의 공극을 강제 조절하며, 상기 여과조(30)의 하부에 회전날개(105)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공기유입라인(90)의 단부를 위치시켜 유입되는 공기가 여재층(43)에 균일하게 분산공급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참조번호 20은 최초로 유입되는 공장 또는 생활하수 등과 같은 곳으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초기 오폐수정화조이고, 21은 초기오폐수정화조(20)로부터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오폐수탱크이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내부에 여재층(43)을 가지는 여과조로서, 상·중·하부몸체(30a)(30b)(30c)로 구성되어 있다.중앙부몸체(30b)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와 하부몸체(30c)는 반구형상으로 중앙부몸체(30b)의 상하부에 견고하고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또 상부몸체(30a)에는 여재투입구(3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여과조(30) 내부의 수압을 센싱하는 수압센서(33)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압계(34)가 설치된다.그리고 중앙부몸체(30b)에는 여과조(30)내부의 수위를 알 수 있는 유명계(35)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여재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구멍으로 다공체를 이루는 여재망(36)이 설치된다.
또한 여과조(30)내의 여재층(43) 상부에는 물을 상부로 빨아들이는 흡입관(37)이 설치되는데, 이 흡입관(37)은 하단 입구부가 넓고 상부는 좁은 형상을 이루어 흡입작동시 여재층(43) 전체에 균일한 압력으로 물을 흡입하여 역세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여과조(30)의 하부에는 축(38)이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단에는 여재층(43)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다수개의 세척날개(29)가 결합되고, 축(38)의 하단은 체인(40)으로 모터(41)와 연결된다.
이러한 여과조(30)의 상부에는 오폐수탱크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라인(50)이 연결되고, 이 공급라인(50)에는 물을 강제로 공급하는 공급펌프(51)와, 또 공급되는 오폐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공급밸브(52)가 설치된다.이때 공급라인(50)이 여과조(30)에 연결될 때 일측으로 편재되게 연결되어 공급되는 오폐수는 여과조(30)내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흡입관(37)의 상단에는 여과조(30)내의 물을 흡입하여 여재에 걸러진 유기성 오염물질과 부유물질 등을 초기오폐수정화조(20)로 역세시키는 역세라인(60)이 연결되고, 또 이 역세라인(60)에는 물을 강제로 뽑아내는 역세펌프(61)가 설치된다.
또한 여과조(30)의 하부에는 여재층(43)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라인(70)이 연결되고, 이 배수라인(70)에는 정화된 물을 적정량 임시 저장하는 처리조(73)가 설치되며, 처리조(73)의 전의 배수라인(70)에는 배수밸브(72)가 설치된다.그리고 배수밸브(72)이전의 배수라인(70) 구간과 공급펌프(51) 이전의 공급라인(50)구간에는 회수라인(80)이 설치되며, 이 회수라인(80)에는 정화된물의 회수를 단속하는 회수밸브(82)가 설치된다.
또한 여과조(30)와 근접한 배수라인(70)에는 공기공급라인(90)이 연결되며 그 단부에는 공기유입밸브(92)가 설치된다.이 공기유입밸브(92)는 내부의 수압이 높을 때에는 닫혀 물의 유출이 방지되고, 내부수압이 낮을 때에는 개방되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된 일종의 첵밸브이며, 또 일측에는 공기유입밸브(92)의 고장시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고,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유입량조절밸브(93)가 부설되어 있다.참조번호 94는 드레인밸브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여과조(30)의 내부에 여재를 충진시킨다.이때, 상기 여재는 비중이 1보다 큰 것을 채택하여 여과조(30)의 하부에 침전시켜 여재층(43)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밸브(52)와 배수밸브(72)를 개방시키고 오폐수 공급펌프(51)를 가동시켜 오폐수탱크에 저장된 오폐수를 여과조(30)로 공급시키며, 공급되는 오폐수는 여과조(30)내에 유입되어 자중에 의해 여재층(43)을 통과하여 여과된 후 배수라인(70)을 통해 처리조(73)로 임시 저장된 후 배수된다.이때 여과조(30)로 공급되는 오폐수는 공급라인(50)이 여과조(30)의 상부에서 편재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여과조(30)내를 회전하면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로 오폐수가 유입되면 여재층(43)의 각 여재의 표면에 붙어 성장하는 미생물들이 오폐수내의 유기성 오염물질이나 부유물질 등을 분해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킨다.그렇지만 일정시간이 지나면 미생물의 성장과 또 여재사이에 끼어 공극을 차단하는 각종오염물질에 의해 물의 흐름을 방해한다.이러한 상태가 되면 정화능력은 급격히 저하됨과 아울러 오폐수가 여재층(43)을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므로 여과조(30)내에 물이 차서 수압이 발생된다.이러한 수압은 여과조(30)의 상부에 설치된 수압센서(33)가 이를 설정압력과 비교하여 그 수압이 설정압력보다 높으면 오폐수공급펌프(51)를 정지시키고, 공급밸브(52)를 닫음과 동시에 역세밸브(62)를 개방시키고 역세펌프(61)를 작동시킨다.
역세펌프(61)가 작동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30)내의 오폐수는 흡입관(37)을 통해 역류되어 초기오폐수정화조(20)로 역수된다.이때 여과조(30)내의 압력이 떨어져 처리조(73)에 있던 물이 역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공기유입밸브(92)와 공기유입량조절밸브(93)로부터 적당한 양의 공기가 공기공급라인(90)을 통해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기포가 되어 처리조(73)의 물과 함께 여재층(43)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기포는 여재층(43)의 각부분을 치면서 올라간다.이 충격에 의해 여재들 표면에 붙은 이물질들이 분리되어 물과 함께 상승하고, 여재의 표면에 붙은 미생물들에게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준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30)의 하부에 회전날개(105)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 공기유입라인(90)의 단부를 위치시키면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되는 회전날개(105)에 의해 여러방향으로 분산공급 되므로 세척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여재에 골고루 산소를 공급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해 여재에 걸린 각종 오염물질들은 여재로부터 분리되어 초기오폐수정화조(20)로 회수되어 여재는 다시 최상의 조건을 가지게 된다.
특히 역세공정시 여과조(30) 하부에 설치된 모터(41)가 작동되어 축(38)을 통해 여재층(43)내부의 세척날개(29)를 회전시키고, 이 세척날개(29)가 회전되면 여재는 세척날개(29)에 의해 선회하면서 주변의 여재들과 충돌함과 동시에 여재간의 공극을 최대한 벌려 끼인 오염물질을 물과 함께 상부로 역세되고, 여재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 또한 분리되어 역세되므로 역세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일정시간동안 역세 공정이 실시된 후에는 자동으로 역세펌프(61)가 정지되고 역세밸브(62)가 정지되며 다시 공급밸브(52)가 개방됨과 동시에 공급펌프(51)가 작동되어 오폐수탱크의 오폐수를 여과조(30)로 공급되어 다시 오폐수정화가 실시된다.이때는 배수라인(70)의 수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공기유입밸브(92)가 자동으로 닫히므로 공기가 유입이 정지될 뿐만 아니라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오폐수여과공정이 재시작되면 여과조(30)내의 여재가 다시 침전되어 여재층(43)을 형성할 때 미처 역세되지 않은 오염물질들이 여과조(30)의 하부로 침전되어 이미 정화된 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다.이 때문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밸브(72)를 차단시키고 회수밸브(82)를 개방시켜 처리조(73) 이전의 배수라인(70)에 있던 물을 회수라인(80)을 통해 다시 여과조(30)로 공급되어 재 여과되도록 한다.그리고, 일정시간이 지나 배수라인(70)의 물이 거의 회수될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회수밸브(82)가 자동으로 닫혀 오폐수탱크의 오폐수만 여과조(30)로 공급되도록 한다.필요할 경우에는 배수밸브(72)를 개방시킨 후처리조(73)의 물을 회수시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작동은 자동으로 반복됨에 따라 여재층(43)이 최상의 조건을 유지하여 오폐수 정화효율이 높아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 개략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조(100)의 상부에 실린더(101)가 설치되고 이 실린더(101)의 로드(102)가 여과조(100)내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출몰되도록 관통 설치되며, 그 선단에 역세시 여과조(100)내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37)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흡입관(37)의 하부에는 여재가 빠져나오지 못할 간격의 구멍을 가지는 여재차단망(103)이 설치되어 여재의 상부를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그리고 여과조(100)내에 유입된 여재들은 비중이 1보다 작은 것으로 물에 뜨는 여재들이 충진된다.(물에 가라앉는 여재도 가능함)
이러한 여재들을 이용하여 여과공정을 실시할 때는 여과조(100)의 상부에 형성된 여과재 투입구를 통하여 여과재를 투입시킨 후 여과조(100) 상부의 실린더(101)를 작동시켜 로드(102)의 하단에 설치된 흡입관(37)을 하강시킨다.그리고 여재의 상부를 눌러 여재층(43)이 일정한 공극을 가짐으로써 여과시 필요한 공극을 유지하는 여재층(43)을 가진다.이러한 작동이 완료되면 오폐수를 공급하여 전술한 오폐수여과공정을 실시한다.
역세시에는 실린더(101)를 이용하여 흡입관(37)을 상승시켜 여재들이 부력에 의해 상부로 뜨도록 한다.이 상태에서 공기와 역세펌프(61)를 작동시켜 역세라인(60) 및 흡입관(37)으로 물을 흡입하여 일정시간동안 여재들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실린더(101)를 작동시켜 흡입관(37) 및 여재차단망(103)을 하강시켜 여재층(43)을 형성한 후 상술한 오폐수 여과공정을 실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다세대가 사는 임의의 지역에 이를 설치하면서 배수라인을 정화조로 연결하여 역세때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가정의 정화조로 배수시키고, 또 정화된 물을 처리조에 집수시킨 후 이를 각 가정에 연결하여 공급함으로써 1차 사용후 버려지는 물을 정화하여 다시 허드렛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첫째,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역세 공정시 기포가 여재층에 충격을 가함과 동시에 세척날개가 회전하여 여재들의 유동을 활성화시켜 여재에 끼인 이물질이나 여재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역세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역세공정후 일정시간 동안 회수라인의 회수밸브를 개방시켜 배수라인에 있던 물을 공급펌프로 여과조에 재 공급시킬 수 있도록 회수밸브를 개방시킴에 따라 역세후 여과조하부에 가라앉은 오염물질을 다시 걸러낼 수 있어 오염물질의 완벽하게 정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염상태에 따라 높아지는 여과조내의 수압을 센싱하여 설정압력과 비교한 후 높을 경우에는 역세공정을 일정시간동안 작동하도록 된 수압센서부에 의해 오폐수 처리장치를 자동으로 운영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역세시 여과조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의 입구가 넓게 형성되어 여과층의 전부분에 골고루 분포됨에 따라 여과조내의 여재가 동일한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여과조내의 흡입관을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고, 그 하부에는 여재층을 가압하는 여재망을 부착하여 비중이 1보다 작아 물에 뜨는 여재도 주변장치의 변화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여재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다세대가 사는 가정에 공동으로 설치하여 1차 사용되어 버려지는 물을 정화하여 허드렛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많은 물비용을 줄일 수 있고, 또 물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여재층(43)을 포함하는 여과조(30)를 가지고, 초기오폐수 처리장치를 거쳐 정화된 오폐수탱크의 오폐수를 공급펌프(51)를 통해 여과조(30)로 공급하는 공급라인(50)을 가지고, 상기 여재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라인(70)과 이 배수라인(70)에 설치된 처리수조를 구비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여과조(30)내의 여재층(43) 상부에 상협하광형상의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관(37)을 설치하여 이에 상기 역세라인(60)과 연결 설치하고, 상기 공급라인(5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가 상기 흡입관(37)의 상부에서 공급되도록 여과조(30)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배수라인(70)의 일측에 역세시 자동 개방되어 공기의 유입이 가능토록 한 공기유입밸브(92)와 그 량을 조절하는 공기유입량조절밸브(93)를 구비하고, 상기 오폐수공급라인(50)과 배수라인(70) 사이에 공급펌프(51)에 의해 정화되어 배수되는 일부의 물이 개폐밸브를 통해 일정시간동안 회수되도록 회수라인(80)을 구비하되, 상기 여과조(30)의 내부 수압을 측정하여 설정압력보다 높을 경우 역세공정이 자동 실시되도록 하는 압력센싱부를 구성하며, 상기 여과조(30)의 여재층(43) 내에 역세시 작동하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여재를 세척하는 세척날개(29)를 구비하며, 상기 여과조(100)의 상부에 실린더(101)를 설치하고, 그 로드(102)를 여과조(100)내로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출몰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단부에 상기 흡입관(37)을 연결하고, 상기 흡입관(37)의 하부에 여재차단망(103)을 설치하여 역세시 승강시키고 오폐수정화시 하강하여 여재층(43)간의 공극을 강제 조절토록 하며, 상기 여과조(30)의 하부에 회전날개(105)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공기유입라인(90)의 단부를 위치시켜 유입되는 공기가 여재층(43)에 균일하게 분산공급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0-0023756A 2000-05-03 2000-05-03 오폐수 처리장치 KR100378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56A KR100378924B1 (ko) 2000-05-03 2000-05-03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56A KR100378924B1 (ko) 2000-05-03 2000-05-03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55A KR20010102655A (ko) 2001-11-16
KR100378924B1 true KR100378924B1 (ko) 2003-04-07

Family

ID=4578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756A KR100378924B1 (ko) 2000-05-03 2000-05-03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039B1 (ko) * 2007-12-27 2010-06-29 주식회사 포스코 폐용액 처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507A (en) * 1979-11-08 1981-06-06 Nissan Motor Co Lt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ype water treating apparatus
JPS56168811A (en) * 1980-06-01 1981-12-25 Yoshihiko Ueda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filter tank
US5006240A (en) * 1990-02-06 1991-04-09 Aqua Systems Division Of Chem-Free, Inc. Water-treatment system
JPH0523664A (ja) * 1991-07-24 1993-02-02 Meidensha Corp 生物活性炭処理塔の逆洗自動制御方法
KR19980018113A (ko) * 1997-05-22 1998-06-05 윤복현 오폐수 세정방법 및 장치
KR200179942Y1 (ko) * 1999-11-30 2000-04-15 협진기술개발주식회사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토록 된 폐수 정화기
KR20000013205U (ko) * 1998-12-24 2000-07-15 신현준 여과층 역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507A (en) * 1979-11-08 1981-06-06 Nissan Motor Co Lt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type water treating apparatus
JPS56168811A (en) * 1980-06-01 1981-12-25 Yoshihiko Ueda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filter tank
US5006240A (en) * 1990-02-06 1991-04-09 Aqua Systems Division Of Chem-Free, Inc. Water-treatment system
JPH0523664A (ja) * 1991-07-24 1993-02-02 Meidensha Corp 生物活性炭処理塔の逆洗自動制御方法
KR19980018113A (ko) * 1997-05-22 1998-06-05 윤복현 오폐수 세정방법 및 장치
KR20000013205U (ko) * 1998-12-24 2000-07-15 신현준 여과층 역세척 장치
KR200179942Y1 (ko) * 1999-11-30 2000-04-15 협진기술개발주식회사 자체 세척청소가 가능토록 된 폐수 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55A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4988B2 (ja) 重力式繊維ろ過器
US6110389A (en) Filtration unit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1160567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2009847B1 (ko) 비점오염 저감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RO201400001U1 (ro) Dispozitiv pentru tratarea şi post-tratarea biologică a apei uzate şi metodă de tratare şi post-tratare biologică a apei uzate
CN104208941A (zh) 一种纤维转盘滤池
KR100378924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160090599A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257861B1 (ko) 자동여과장치
KR100745121B1 (ko) 여과장치
KR101884307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역세시스템이 구비된 침지형 여과장치
KR102046562B1 (ko)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1705299B1 (ko) 공기역세가 가능한 부상여재 여과처리장치
CN218485249U (zh) 一种便于石英砂滤料清洗的排水装置
JP4393807B2 (ja) 濾過ユニット、およびその設置方法、ならびに該濾過ユニットを設置した濾過装置
CN219730576U (zh) 一种建筑废水净化处理装置
CN213738660U (zh) 一种自动淤泥清理装置
CN114906952B (zh) 河流水质提质增效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365421Y1 (ko) 오.폐수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