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95Y1 -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95Y1
KR890001095Y1 KR2019850012436U KR850012436U KR890001095Y1 KR 890001095 Y1 KR890001095 Y1 KR 890001095Y1 KR 2019850012436 U KR2019850012436 U KR 2019850012436U KR 850012436 U KR850012436 U KR 850012436U KR 890001095 Y1 KR890001095 Y1 KR 890001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angle
rack
gear
worm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2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027U (ko
Inventor
김규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2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095Y1/ko
Publication of KR870006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부 2 : 반사경부
3 : 케이싱 4 : 조절손잡이
5 : 제1기어 6 : 워엄
7 : 제2기어 8 : 워엄휘일
9 : 래크 10 : 상부반사경호울더
11 : 고정핀 12 : 부착편
13 : 절곡부 14 : 장공
15 : 하부반사경호울더 16 : 보울트
17 : 스프링 18 : 너트
본 고안은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절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쉽게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각도는 스크린상에 비쳐지는 화상의 질과 스크린상에 의도한바대로의 크기로 상이 맺혀지게하는데 있어서 결정적 역활을 하게되며, 만일 반사경의 반사각도가 정확하게 조절되지 아니하게되면 스크린상에 맺혀지는 상이 찌그러지거나 혹은 불분명한 상이 스크린에 맺혀지게 되므로 스크린상에 정확한 상이 맺혀지기 위하여서는 정확한 반사경각도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렌즈와 투시관의 결합체를 이동시키거나 혹은 반사경이 부착되어 있는 뒷판커버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양자 모두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서는 전원을 OFF시킨 상태에서 투영텔레비젼을 분해하여 각각의 부품을 조절하여야하므로서 반사경의 각도조절장치가 번거로웠고, 또한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하고 난후에 텔레비젼을 ON시킬때까지 반사경의 각도가 정확하게 조절하였는지 파악하기 어려웠고, 만일 텔레비젼을 조립한 후에도 반사경각도가 정확하게 조절되지 아니하였을 경우에는 재차 텔레비젼을분해하여 재조절 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뒷판커버의 내면에 몇가지 기어를 조합한다음 상기 기어들의 작용을 반사경 하단에까지 연결시켜 놓음으로서, 조절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줌에 따라 반사경의 반사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사경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각도조절장치는 커버부(1)와 반사경부(2)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커버부(1)는 케이싱(3)내에 상단에 조절손잡이(4)가 끼워진 제1기어(5)에 맞물려 하부에 워엄(6)이 일체로 형성된 제2기어(7)가 설치되고, 상기 워엄(6)에는 워엄휘일(8)이 맞물려 있으며 상기 워엄휘일(8)의 워엄(6) 반대쪽에는형의 래크 (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경부(2)는 상부는 상부반사경호울더(10)가 고정핀(11)에 의해 부착편(12)에 끼워져 설치되고, 양단에 절곡부(13)가 형성되고 중앙에 장공(14)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반사경호울더(15)에는 보울트(16)에 스프링(17)과 와셔를 끼워 장공(14)과 래크(9)의 우측선단을 통과시켜 너트(18)로서 체결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9는 안내홈, 20은 안내돌기, 21은 반사경, 22는 커버, 23은 패킹, A,B는 보울트의 이동방향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케이싱(3)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기어(5)는 조절손잡이(4)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며, 직경비가 큰 제2기어(7)에 맞물려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 조절손잡이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반사경을 조절하는 힘은 크게 작동되도록 설치하였다. 제2기어(7)가 회전하게 되면 제2기어(7)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워엄(6)도 상기 제2기어(7)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워엄( 6)은 제2기어(6)의 회전방향을 90°변환시켜 워엄휘일(8)이 회전하도록 한다. 워엄휘일(8)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워엄휘일(8)에 맞물려있는 래크(9)는 워엄휘일 (8)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하운동하게 되는데, 이때 래크(9)에 형성되어있는 안내홈(19)은 케이싱(3)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기(2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반사경호울더(10)는 반사경(21)의 상부를 감싸쥐고있는 부분으로 고정핀(11)에 의해 커버(22)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편(12)에 결합시키므로서 고정핀(11)을 중심으로 반사경(21)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한다. 하부반사경호울더(15)의 절곡부 (13)에는 반사경(21)의 하단이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반사경(21)의 파손이나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반사경(21)과 절곡부(13) 사이에다 패킹(23)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 하부반사경호울더(15)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14)에는 보울트(16)가 끼워져 래크(9)의 우측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래크(9)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보울트(16)가 장공(14)내에서 A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사경(21)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래크(9)가 상방향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보울트(16)는 장공(14)에서 B방향으로 이동하며 반사경(21)을 시계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즉 조절손잡이(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되면 이때 생긴 조절손잡이의 회전력에 의해 제1기어(5)-제2기어(7)-워엄(6)-워엄휘일(8)을 거쳐 래크(9)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반사경(21)은 고정핀(1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들려지고, 역으로 조절손잡이(4)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주면 래크(9)는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사경( 21)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상과 같은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를 사용하게되면 종래와 같이 반사경의 각도조절이 번거로운 현상을 배제시키고, 전원을 ON시킨상태에서도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신속하게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하므로서 스크린상에 언제나 깨끗한 상이 맺혀지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

  1. 커버부(1)와 반사경부(2)로 구성되어 있는 반사경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에는 케이싱(3)내에 조절손잡이(4)가 끼워진 제1기어(5)가 워엄(6)과 일체로 형성된 제2기어(7)에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워엄(6)에는 한쪽에 워엄휘일(8)이 맞물려 설치되며 다른 한쪽에는형의 래크(9)가 설치되며, 상기 반사경부(2)에는 상부반사경호울더(10)에 고정핀(11)으로 부착편(12)이 끼워져 설치되는 한편, 하부반사경호울더(15)에는 중앙에 형성된 장공(14)내에 스프링(17)과 와셔가 끼워진 보울트(16)를 끼워 래크(9)의 우측선단과 너트(18)로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KR2019850012436U 1985-09-25 1985-09-25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KR890001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436U KR890001095Y1 (ko) 1985-09-25 1985-09-25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436U KR890001095Y1 (ko) 1985-09-25 1985-09-25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027U KR870006027U (ko) 1987-04-25
KR890001095Y1 true KR890001095Y1 (ko) 1989-03-28

Family

ID=1924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2436U KR890001095Y1 (ko) 1985-09-25 1985-09-25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0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027U (ko) 198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7067A3 (en) Tilt adjusting mechanism
WO2019184450A1 (zh) 一种双目摄像机
US4663635A (en) Mount for parabolic antenna or the like
KR890001095Y1 (ko) 투영텔레비젼의 반사경 각도조절장치
KR9700235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용 구조물
KR960003459Y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백밀러(Out Side Back Mirror)의 경사각 조정장치
EP0129519B1 (en) Motor vehicle spot lamp with an adjusting device
US5061055A (en) Bedside television viewer
US3592074A (en) Remote-controlled mirror
EP0908352A1 (fr) Dispositif de réglage de l'orientation d'un faisceau lumineux d'un projecteur de véhicule automobile
JPS635321Y2 (ko)
JP2530699Y2 (ja) 反射鏡の取付構造
KR910006467Y1 (ko) 투과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거울 반사각 조정장치
CN217639748U (zh) Dmd光学组件及dmd空间光调制器
KR870001531Y1 (ko) 환등기를 이용한 영상반사장치
KR900010625Y1 (ko) 프로젝션 테레비젼의 투사각 조정장치
KR0119460Y1 (ko) O.h.p의 헤드높이 조절장치
SU127079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кранировани магнитных головок
KR100598946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미러 장착 구조
KR200290842Y1 (ko) 사진촬영용 반사판
KR0182457B1 (ko)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KR900008040Y1 (ko) 모니터의 상하 경사각도 조절장치
KR930006513Y1 (ko) 차량용 실내후사경의 각도 조절장치
KR830000378Y1 (ko) 투사형 텔리비젼 장치
JPH04165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