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457B1 -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 Google Patents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457B1
KR0182457B1 KR1019960013406A KR19960013406A KR0182457B1 KR 0182457 B1 KR0182457 B1 KR 0182457B1 KR 1019960013406 A KR1019960013406 A KR 1019960013406A KR 19960013406 A KR19960013406 A KR 19960013406A KR 0182457 B1 KR0182457 B1 KR 018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a
holder
sides
panel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074A (ko
Inventor
김주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1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457B1/ko
Publication of KR97007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의 관한 것으로, AMA패널과, 상면에 상기 AMA패널이 결합되고, 양측면이 좌우 양쪽에는 가이드리브가, 그 양측면의 중심선상에는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소정 길이의 안내공이 형성되며, 전후면과 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태의 AMA홀더와, 상기 AMA홀더의 양측면 내측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하여 임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웜(Worm)과, 상기 AMA홀더상에 형성된 안내공에 끼워져 설치되며, 양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웜과 맞물리는 웜기어가 형성되고, 그 양단면에는 공구홈이 형성된 조정축과, 상기 AMA홀더의 양측면외측으로 돌설되는 가이드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AMA홀더에 끼워지는 조정축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공구홈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조정공이 형성된 케이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므로써 프로젝터등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프로젝션렌즈쪽으로 재반사시켜 스크린상에 영상이 발현되도록 하는 AMA패널이 Z축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 미세조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AMA 패널의 미세조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정장치를 이용하여 AMA패널을 Z축 방향으로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 AMA패널 34 : 가이드리브
38 : AMA홀더 40 : 브라켓
42 : 웜 44 : 웜기어
48 : 조정축 54 : 케이지
본 발명은 AMA(엑츄에이티드 미러 어레이;Actuated Mirror Array)패널의 미세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등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프로젝션렌즈쪽으로 재반사시켜 스크린상에 영상이 발현되도록 하는 AMA패널이 Z축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 미세조정될 수 있도록 한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A패널(12)과, 상면에 상기 AMA패널(12)이 결합되고, 양측면의 좌우 양쪽에는 가이드핀(14)이 돌설되며, 전후면과 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태의 AMA홀더(16)와, 상기 AMA홀더(16)의 폭방향 중심선상에 끼워져 설치되며, 외측단에는 공구홈(18)이 형성된 편심의 조정봉(20)과, 상기 AMA홀더(16)의 양측면외측으로 돌설되는 가이드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공(22)이 형성되고, 상기 AMA홀더(16)에 끼워지는 조정봉(2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공구홈(18)이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끼우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방형의 조정공(24)이 형성된 케이지(26)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미세조정장치(10)를 이용한 AMA패널(12)의 미세조정은 상기 케이지(26)의 면상에 형성된 조정공(24)에 드라이버같은 조정공구를 삽입하여 그 조정공구를 끝이 상기 조정봉(20)의 외측단에 형성된 공구홈(18)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정공구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조정봉(20)이 제자리에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AMA홀더(16)는 상기 조정봉(20)의 편심된 거리에 해당되는 범위내에서 Z축방향으로 미세이동되는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이와 같은 AMA패널(12)의 미세조정동작은 상기 AMA홀더(16)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가이드핀(14)과 케이지(26)상에 형성된 가이드공(22)의 상호 안내작용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10)에서는 상기 편심된 조정봉(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조립시 공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드라이버같은 조정공구의 회전력이 상기 조정봉(20)의 양단에 균일하게 인가되지 못하게 되어 상기AMA홀더(16)및 AMA패널(12)의 Z축방향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y축방향이나 또는θx방향으로 회동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로젝터등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프로젝션렌즈쪽으로 재반사시켜 스크린상에 영상이 발현되도록 하는 Z축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 마세조정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MA패널과, 상면에 상기 AMA패널이 결합되고, 양측면의 좌우 양쪽에는 가이드리브가, 그 양측면의 중심선상에는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소정 길이의 안내공이 형성되며, 전후면과 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태의 AMA홀더와, 상기 AMA홀더의 양측면 내측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하여 임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웜(Worm)과, 상기 AMA홀더상에 형성된 안내공에 끼워져 설치되며, 양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웜과 맞물리는 원기어가 형성되고, 그 양단면에는 공구홈이 형성된 조정축과, 상기 AMA홀더의 양측면외측으로 돌설되는 가이드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AMA홀더에 끼워지는 조정축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공구홈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조정공이 형성된 케이지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의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30)는 AMA패널(32)과, 상면에 상기 AMA패널(32)이 결합되고, 양측면의 좌우 양쪽에는 가이드리브(34)가, 그 양측면의 중심선상에는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소정 길이의 안내공(36)이 형성되며, 전후면과 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태의 AMA홀더(38)와,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 내측에 별도의 브라켓(40)에 의하여 임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웜(42)과, 상기 AMA홀더상(38)에 형성된 안내공(36)에 끼워져 설치되며, 양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웜(42)과 맞물리는 웜기어(44)가 형성되고, 그 양단면에는 공구홈(46)이 형성된 조정축(48)과,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 외측으로 돌설되는 가이드리브(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공(50)이 형성되고, 상기 AMA홀더(38)에 끼워지는 조정축(4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공구홈(46)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조정공(52)이 형성된 케이지(54)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각 브라켓(40)은 일측면에 소정폭의 절개부(40a)가 형성되고, 그 상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웜(42)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돌설되는 회동축(42a)이 끼워지는 관통공(40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크류(56)에 의하여 상기 AMA홀더(38)내면의 정해진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정축(48)은 중심부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장착시에는 스크류(56)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리브(34)는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 소정 위치를 'ㄷ'자형으로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은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직각되게 절곡시킴에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및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 내측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웜(42)이 브라켓(40)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임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공(36)을 통하여 상기 조정축(48)이 끼우져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정축(48)상의 웜기어(44)가 상기 브라켓(40)상의 절개부(40a)를 통하여 상기 웜(42)과 서로 맞물리며,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4)는 상기 케이지(54)상에 형성된 가이드공(50)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편, 상기 케이지(54)상의 조정공(52)의 외측으로는 상기 조정축(48)의 상단면에 형성된 공구홈(46)이 노출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AMA패널(32)을 Z축방향으로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조정공(52)에 드라이버같은 조정공구를 삽입하여 그 조정공구의 끝이 상기 조정공(52)에 결합된 조정축(48)양 단면상의 공구홈(46)에 끼워지도록 한 후, 그 조정공구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조정축(48)이 제자리에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조정축(48)상의 웜기어(44)와 맞물린 웜(42)이 회동되면서 Z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AMA홀더(38)및 그 AMA홀더(38)의 상면에 결합된 AMA패널(32)의 Z축방향으로의 미세조정의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미세조정동작중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설된 가이드리브(34)가 상기 케이지(54)상의 가이드공(50)에 끼워져 가이드되고, 상기 조정축(48)은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공(36)을 통하여 안내되므로 Z축방향으로의 미세이동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며, 상기 AMA홀더및 AMA패널의 Z축방향으로 미세조정이 웜기워와 웜의 맞물림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도 안정적인 조정이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AMA패널(32)과; 상면에 상기 AMA패널(32)이 결합되고, 양측면의 좌우 양쪽에는 가이드리브(34)가, 그 양측면의 중심선상에는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소정 길이의 안내공(36)이 형성되며, 전후면과 저면이 개방된 육면체형태의 AMA홀더(38)와;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 내측에 별도의 브라켓(40)에 의하여 임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웜(42)과; 상기 AMA홀더상(38)에 형성된 안내공(36)에 끼워져 설치되며, 양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웜(42)과 맞물리는 웜기어(44)가 형성되며, 그 양단면에는 공구홈(46)이 형성된 조정축(48)과; 상기 AMA홀더(38)의 양측면 외측으로 돌설되는 가이드리브(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가이드공(50)이 형성되고, 상기 AMA홀더(38)에 끼워지는 조정축(48)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공구홈(46)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조정공(52)이 형성된 케이지(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40)은 일측면에 소정폭의 절개부(40a)가 형성되고, 그 상면과 바닥면에는 상기 웜(42)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돌설되는 회동축(42a)이 끼워지는 관통공(40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축(48)은 중심부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장착시에는 스크류(56)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KR1019960013406A 1996-04-29 1996-04-29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KR0182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406A KR0182457B1 (ko) 1996-04-29 1996-04-29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406A KR0182457B1 (ko) 1996-04-29 1996-04-29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074A KR970073074A (ko) 1997-11-07
KR0182457B1 true KR0182457B1 (ko) 1999-05-01

Family

ID=1945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406A KR0182457B1 (ko) 1996-04-29 1996-04-29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4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074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9082B1 (en) Actuator unit housing for a rearview mirror
US7911411B2 (en) Projection apparatus
US4189222A (en) Camera with sliding case
US11009219B2 (en) Housing box and lighting apparatus
JP3959614B2 (ja) 絞り機構
KR0182457B1 (ko)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US20200378567A1 (en) Driving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JP2005116953A (ja) 蓋開閉機構及びその装置
KR0182459B1 (ko) Ama패널의 미세조정장치
JPH09222665A (ja) 画像投射装置
JP3340369B2 (ja) ヘッドランプ
JPH08220999A (ja) 液晶パネルの調整装置
US6714738B2 (en) Motor mounting structure for cameras
CN218601667U (zh) 一种微型投影仪
JPH10134627A (ja) 照明器具
KR20000014351A (ko) 액정표시장치의 각도 조절 구조
KR200212024Y1 (ko) 카오디오 컨트롤패널용 볼륨조정장치
US6198883B1 (en) Range finding device for camera
US5911089A (en) Aperture size changing apparatus for a camera
US5678104A (en) Field size switching mechanism for a camera
KR200286742Y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근접 촬영 스위치 조정장치
JPH02221944A (ja) 電子閃光装置
KR200170158Y1 (ko) 카메라의 파노라마 구동장치
JP3639711B2 (ja) テレビドアホンのカメラ方向可変構造
JPH0712991Y2 (ja) 光学装置におけるワイヤの張力調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