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43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43B1
KR890001043B1 KR1019830005807A KR830005807A KR890001043B1 KR 890001043 B1 KR890001043 B1 KR 890001043B1 KR 1019830005807 A KR1019830005807 A KR 1019830005807A KR 830005807 A KR830005807 A KR 830005807A KR 890001043 B1 KR890001043 B1 KR 89000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member
display device
magnetic
chamber
magne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292A (ko
Inventor
샤무엘 켄트 로저
Original Assignee
이.알.지 메니지먼트 서어비시스 리밋티드
제이덴 대비드 할만·린다 바바라 제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알.지 메니지먼트 서어비시스 리밋티드, 제이덴 대비드 할만·린다 바바라 제퍼트 filed Critical 이.알.지 메니지먼트 서어비시스 리밋티드
Publication of KR84000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시장치
제1도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제4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제5실시형태의 정면도 및 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제6실시형태의 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제7실시형태의 단면도.
본 발명은 쌍안정(bistable)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형태의 표시장치는 시면(viewing face)및 부재의 일측면이 시면과 정면접촉하는 제1위치와 부재의 일측면이 시면과 접촉하지 않고 타측면이 시면으로 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을 이룬 체임버의 배면과 접촉하는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체임버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기준 부재가 형성된 체임버를 가진 하우징, 및 상기 제1 또는 제2위치로 부터 다른 한쪽위치까지 상기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부재사이에 인력 및/또는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하되, 외부 구동수단이 상기 부재를 상기 제1또는 제2위치에 유지되도록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또한 체임버는 불투명 유체로 충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하우징상의 제1자기장치와 상기 부재상의 제2자기장치로 구성되며, 최소한 하나의 자기장치의 극성은 역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기준부재의 타 측면은 상기 제2자기장치를 지지하며 제1자기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부분에 삽입가능한 지주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자기장치는 전자기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기코일을 지지하는 설치판에 지지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주는 상기 부분에서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지만 그속에서 상대회전 할 수 없게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재는 상기 체임버내의 유체에서 부력이 사실상 제로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준부재, 시면 및 배면은 사실상 평면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재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재의 면과 면 사이가 서로 연통하게 되어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표시장치(10)를 도시한 것으로서, 표시장치(10)는 투명한 정면시면 (16)과 배면(15)을 가진 장방형 프리즘 체임버(12)를 형성하며 배면(15)으로 부터 연장하는 중앙으로 배치된 축방향 보조-체임버(18)가 형성된 하우징(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임버(12)는 시면(16)에 인접한 표시면(26)과 체임버(12)의 배면(15)에 인접한 배면(25)을 가진 박층형 기준부재(24)를 포함한다.
기준부재(24)에는 그 배면에서 중앙에 축방향으로 위치한 지주(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요구(18)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여 체임버(12)의 시면(16)과 배면(15)사이로 기준부재(24)가 이동시 지주(20)는 요구(18)속으로 이동한다. 지주(20)는 지주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격된 극을 갖는 영구자석을 수용한다. 요구(18)를 형성하는 하우징(14)의 부분은 직류전기 공급원에 연결되는 전자기 코일을 지지한다. 체임버(12)는 불투명 액체를 포함하고있어 체임버(12)의 배면(15)에 대하여 기준부재 (24)의 이동시 표시면(26)은 시면(16)을 통하여 관측될 수 없다. 배면(15)과 시면 (16)사이로 기준부재(24)의 이동은 전자기 코일(22)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바, 전자기코일(22)은 기준부재(24)가 이동하도록 지주(20)의 영구자석의 인접극에 대하여 반대극성으로 여기된다. 기준부재(24)를 수축시키기 위하여, 기준부재(24)를 이동시켜 체임버(12)의 배면(15)과 정면계합하도록 전자기코일의 극성을 역전시킨다 체임버(12)의 시면(16)또는 배면(15)과 정면계합하도록 기준부재(24)의 이동시, 기준부재, 지주 및 하우징 사이의 마찰력과 함께 표면장력 및/또는 응집력의 결과로서 생기는 두면 사이의 인력은 기준부재(24)를 어느단부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 기준부재(24)를 어느 단부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자기코일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다. 본 실시형태의 결과로서, 표시장치는 쌍안정으로 제조되며 표시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서만 전력을 필요로 한다. 표시장치는 기준부재(24)가 소망의 표시 또는 메세지를 운반하는 단일표시의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표시모듀울의 배열의 하나의 모듀울을 취할 수 있는데, 이경우 모듀울의 몇개의 활성화는 스포츠결과를 보여 주기 위하여 운동구장에서 사용되는 표시 및/또는 풍경이나 사건의 그래프 표시의 형태와 같은 의미깊은 모양을 제공한다.
소망에 따라 불투명액은 가스로 대체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액체는 형광을 발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는 표시장치(110)에 관한것으로서, 표시장치(110)은 표시면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다른 유사하우징과 밀접한 접촉관계로 설치판(113)과 계합 할 수 있는 하우징(11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4)은 정면의 투명한 시면 (116)과 배면(115)를 갖는 장방형 프리즘 체임버(112)를 형성한다. 체임버(112)에는 다수의 동일한 간격으로 축빙향으로 향한 요구(118)(하나만 도시되어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각 요구(118)는 설치판(113)에 설치되는 전자기코일(122)내에 수용된다. 체임버(112)는 요구로 왕래하며 각각 체임버의 투명한 시면(116)과 직면하고 있는 표시면(126)과 체임버(112)의 배면(115)과 직면하고 있는 배면(125)을 가진 다수의 기준부재 (124)내에 위치한다. 표시면(126)과 배면(125)사이가 연통되도록 기준부재 (124)를 통하여 개구(127)가 형성되어 있다. 각 기준부재(124)의 배면(125)은 튜우브형 지주(120)를 지지하며, 그 외단부는 가요성 격벽(129)이 형성된 플러그(128)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지주(120)의 내측은 영구자석(130)을 지짖하며. 영구자석 (130)을 지주(120)내의 공간을 부분적으로만 채우고 공간의 나머지는 공기가 채워진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주(120)의 외측벽은 한쌍의 직각방향으로 대향된 축 스플라인(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플라인(131)은 체임버(112)의 요구(118)의 벽에 형성된 홈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플라인(131)과 흠(132)사이의 교합기능은 지주 (120)가 요구(118)내에서의 축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지주(120)가 요구(118)내에서 회전운동을 하는것은 저지한다. 요구(118)의 벽에 형성된 다른 한쌍의 홈(133)은 지주(120)의 후단부와 요구(118)및 체임버(112)의 주요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사이로 유체유동이 가능하게 한다. 체임버(112)와 요구(118)는 불투명 액체로 충전되고 체임버는 요구(118)의 후방연장부(134)를 통하여 밀봉된다. 기준부재(124)의 지주(120)내에 함유된 공기로 인하여, 기준부재는 체임버(112)내에서 사실상 제로의 부력을 가지고 있어 체임버(112)의 벽과 기준부재(124)사이의 마찰계합이 최소로 된다. 이외에, 체임버(112)내에 함유된 액체의 열팽창 또는 수축은 기준부재의 지주(120)에 형성된 플러그(128)의 가요성 격벽(129)의 굴곡에 의하여 조절된다.
제2도 및 제3도의 제2실시형태는 하우징(114)의 길이를 따라 나란히 설치된 다수의 기준부재(124)로 구성되어 있다. 소망에 따라 표시장치는 단하나의 표시모듀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각 기준부재는 보조-체임버 사이가 서로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을 수도 있는 체임버(112)의 보조-체임버내에 수용될 수 있다.
앞의 실시형태에서, 소망에 따라, 체임버(112)내의 불투명액체 대신에 형광을 발하는 능력을 가진 가스 및/또는 유체로 대체시킬수도 있다.
소망에 따라, 기준부재는 상기 실시형태의 각각에 대하여 기술한 자기력 보다도 오히려 정전기력에 의하여 체임버(112)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기준부재와 하우징(114)의 일부는 소망하는 반발력 또는 인력이 발생되도록 적당히 대전되어 기준부재가 그의 단부위치중의 한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소망에 따라, 표시장치는 한쌍의 표시장치가 그 기준부재가 상호 대향되게 등을 맞대고 설치되어 독립 또는 공통전자기 코일을 통하여 작용할 수 있는 이면(二面)표시가 생성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제3실시형태는 이와같은 배치의 한 예이다. 제3실시형태는 한쌍의 표시장치 (210)로 구성되며, 각 표시장치는 기준부재(224)를 지지하는 한쌍의 체임버(212)를 갖고 있다. 체임버(212)는 축방향으로 향한 튜우브형 요구(218)에 의하여 상호연결되어 있으며, 요구(218)는 각 체임버의 기준부재(224)와 상호 연결되며 영구자석을 수용하는 지주(220)를 활주가능하게 수용한다. 코일(222)은 요구(218)를 둘러싸며, 그 작용은 각 체임버(212)의 기준부재(224)가 병진운동을 하게하는 것이다 소망에 따라 각 표시장치의 기준부재(224)는 상호 독립적일수도 있다.
기준부재를 그의 단부위치중 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낮은 잔류자기를 가진 강자성 기소가 영구자석과 관력하여 표시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제4실시형태는 그와같은 배치의 일예이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철기소(336)는 체임버(312)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기준 부재(324)가 그의 단부위치중 어느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연철기소는 영구자석(330)의 일측 또는 타측 극에 인접한다. 연철기소(336)와 영구자석(330)의 인접극 사이의 인력은 표시장치가 그의 양 상태에서 안정되게 한다. 제6도 및제7도의 제5실시형태는 앞의 특징의 다른 일예이다. 제5실시형태에서, 연철기소 또는 자석(436a)은 축방항요구(418)의 외측단부에 고정된 하나의 기소 및 체임버(412)의 정면에 고정된 얇은 스트립(436b) 또는 버튼 형태의 다른 연철기소 또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가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형태는 요구(518)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전자석(522a 및 522b)으로 구성되는 전자석과 관련하여 변화한다. 전자석은 체임버내의 기준부재의 이동정도에 해당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이외에 전자석은 기준부재가 그의 단부위치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면 기준부재의 자석의 하나의 극이 전자석중 하나의 전자석내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그 결과 전자석내에 부분적으로 영구자석의 단부를 갖는 전자석이 활성화 되면 기준부재에 인가된 힘이 최대화된다.
제10도 및 제11도의 제7실시형태는 전자석(622)이 요구(618)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가 요구(618)의 후단부에 기대어 있는 중앙 연철심 코일포머(former)(637)를 갖고 있다. 전자석의 활성화는 연철심(637)에 자장을 일으켜 영구자석(630)의 극성과 전자석(622)의 자장에 따라 기준부재(624)가 이동 되게 한다.
전자석이 비활성이며 기준부재가 그의 최전방 위치에 있을 때 영구자석(630)과 연철심(637)사이의 인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형 영구자석(638)은 연철심의 자유단부에 고정된다. 소형 영구자석(638)의 극의 방향은 기준부재의 영구자석(630)의 극의 방향과 반대이며, 이것이 연철심(637)에서 발생하는 유도전자계는 연철심과 영구자석 사이의 자기 홉인을 상쇄시킨다. 또한 제10도 및 제11도의 제7실시형태는 기준부재의 영구자석(630)보다 큰 치수인 요구(618)의 횡단면 배치의 변형을 나타낸다. 지주는 원통케이지형 지지체(639)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특징은 영구자석(630)뒤의 요구(618)의 부분과 체임버(612)사이로 보다 효과적인 유체전달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각각의 기준부재의 신속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준부재에 일련의 구멍을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이 구멍은 기준부재의 이동시 면 사이로 액체의 신속한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구멍의 수와 크기가 기준부재의 면과 체임버의 시면 또는 배면사이에 요구되는 응집력 또는 표면장력의 정도를 의미있게 감소시키지 않도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실시형태의 소망에 따라, 시면은 하나의 렌즈 또는 다수의 소형렌즈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표시의 돌출 향상 및/또는 모서리로부터 표시의 시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정하여도 좋다. 더우기 기준부재의 표시면은 필요에 따라 모양을 넣거나 착색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형광성을 갖게 할수도 있다. 이외에, 표시장치는 유사한 표시장치와 접촉 삽입될 수 있는 소망의 모양 또는 형상을 취할 수도 있으며 평면 또는 만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42)

  1. 표시장치에 있어서, 유체로 충전된 체임버 및 시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기준 부재, 상기 기준 부재의 정면이 상기 시면과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기준 부재의 정면이 상기 시면과 접촉하지 않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외력의 부재시 상기 제1또는 제2위치에서 상기 기준 부재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체임버내에 상기 기준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우징과 연관하여 고정된 제1자기 장치와 상기 기준부재와 연관하여 고정된 제2자기 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기준 부재가 제1또는 제2위치로 상기 자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수 있는 구동 수단으로 구성하며, 상기 유체 및 상기 기준 부재의 각각의 밀도는 설치된 상기 수단에 의하여 제공되는 잔류를 저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준 부재는 상기 제2자기 장치를 지지하는 지주가 형성된 배면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은 제1자기 장치가 설치된 하우징의 위치에서 활주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상기 지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자기 장치중 하나는 전자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자기 장치중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제1자기 장치는 상기 지주를 둘러싸는 하우징 부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제1자기 장치는 상기 지주의 한 단부의 인접한 극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제1자기 장치는 하우징에 고정된 설치판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 장치는 연철심인 전자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 장치는 그의 최외측 극에 인접하며 제2자기장치의 극에 대하여 대항관계로 위치되는 극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시켜 연철심과 제2자기장치 사이에 반발력을 충분히 제공하여 그들 사이의 고유 강자성 인력을 극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제1자기장치는 상기 지주에 대하여 충분하게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시켜 상기 기준부재가 그의 제1 또는 제2위치에 있을때 제2자기장치의 일측 또는 타측극을 제1자기장치의 일측 또는 타측 전자석으로 부분적으로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지주는 상기 하우징 부분에서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지만 그속에서 상대회전은 저지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기준부재는 상기 유체내에서 제로의 부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기준 부재는 체임버내의 압력변화를 수용하는 가요성 격벽에 의하여 폐쇄되는 내부 공동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체임버는 한쌍의 대항하는 보조 체임버로 구성하되 각각에는 시면과 배면 및 기준부재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부재들을 상호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부재들을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는 나란히 설치되는 다수의 기준부재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부재들이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체임버는 나란히 설치되며 각각 기준 부재를 지지하는 다수의 보조 체임버들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체임버들을 상호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연철기소는 하우징의 상기 배면의 대역에 위치되어 기준 부재가 그의 제1 또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자기장치의 일측극에 인접하여 놓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연철 기소는 상기 기준 부재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위치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기준 부재가 그의 제1 또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자기장치의 일측극에 인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자기 기소는 제2자기 장치의 각각의 극에 인접하게 놓여질 상기 기준 부재의 각각의 제1 및 제2위치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기준부재가 그의 제1 또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이들간의 잔류력을 제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4. 표시장치에 있어서, 유체로 충전된 체임버및 시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시면과 대항 관계로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요구, 상기 기준 부재의 정면이 상기 시면과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기준 부재의 정면이 상기 시면과 접촉하지 않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체임버내에 지지되어 있는 지주를 포함하며 외력의 부재시 상기 제1 또는 제2위치로부터 다른 한쪽 위치까지 상기 기준 부재의 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도록 상기 요구의 상기 지주와 협동하는 기준 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연관하여 고정된 제1자기 장치와 상기 기준 부재와 연관하여 고정된 제2자기 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기준 부재가 제1 또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자기 장치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수 있게, 활성화되는 능력을 갖춘 구동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자기 장치중 하나는 전자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자기 장치중 하나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제1자기 장치는 상기 지주를 둘러싸는 하우징 요구 주위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 장치는 연철심인 전자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장치는 그의 최외측 극에 인접하며 제2자기장치의 극에 대하여 대항관계로 위치되는 극을 갖는 영구자석을 포함시켜 연철심과 제2자기장치 사이에 반발력을 충분히 제공하여 그들사이의 고유 강자성 인력을 극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제1자기장치는 상기 지주에 대하여 충분하게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한쌍의 전자석으로 구성시켜 상기 기준 부재가 그외 제1 또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자기장치의 일측 또는 타측극을 제1자기장치외 일측 또는 타측 전자식으로 부분적으로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1. 제24항에 있어서, 지주는 상기 요구에서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지만 그속에서 상대회전은 저지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2. 제24항에 있어서, 기준 부재는 상기 유체내에서 제로의 부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3. 제24항에 있어서, 기준 부재는 체임버내의 압력 변화를 수용하는 가요성 격벽에 의하여 폐쇄되는 내부 공동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4. 제24항에 있어서, 체임버는 한쌍의 대항하는 보조 체임버로 구성시키되 각각에는 시면과 배면 및 기준 부재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5. 제24항에 있어서. 연철 기소는 하우징의 상기 배면의 대역에 위치되어 기준 부재가 그의 제1 또는 제2위치에 있을때 제2자기장치의 일측극에 인접하여 놓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6. 제24항에 있어서, 연철 기소는 상기 기준 부재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위치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기준 부재가 그의 제1 또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자기장치의 일측극에 인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7. 제24항에 있어서, 자기 기소는 제2자기 장치의 각각의 극에 인접하게 놓여진 상기 기준 부재의 각각의 제1 및 제2위치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기준 부재가 그의 제1 또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이들간의 잔류력을 제공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8. 표시장치에 있어서, 유체로 충전된 체임버 및 시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기준 부재, 상기 기준 부재의 정면이 상기 시면과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기준 부재의 정면이 상기 시면과 접촉하지 않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체임버내에 상기 기준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력의 부재시 상기 제1 또는 제2위치로부터 다른 한쪽 위치까지 상기 기준 부재와 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도록 상기 체임버내에서 운동하는 상기 기준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우징과 연관하여 고정된 제1자기 장치와 상기 기준 부재와 연관하여 고정된 제2자기 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기준 부재와 제1 또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자기 장치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활성화되는 능력을 갖춘 구동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기준 부재는 상기 제2자기 장치를 지지하는 지주가 형성된 배면을 포함하며 기준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은 제1자기 장치가 설치된 하우징의 위치에서 활주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상기 지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기준 부재는 체임버내의 압력 변화를 수용하는 가요성 격벽에 의하여 폐쇄되는 내부 공동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1. 표시장치에 있어서, 유체로 충전된 체임버 및 시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기준 부재, 상기 기준 부재의 정면이 상기 시면과 접촉하는 제1위치와 상기 기준 부재의 정면이 상기 시면과 접촉하지 않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체임버내에 상기 기준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력의 부재시 상기 제1또는 제2위치로부터 다른 한쪽 위치까지 상기 기준 부재의 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도록 상기 체임버내에서 운동하는 상기 기준 부재를 설치하기 의한 수단, 상기 하우징과 연관하여 고정된 제1자기 장치와 상기 기준 부재와 연관하여 고정된 제2자기 장치로 구성하되 상기 기준 부재가 제1 또는 제2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자기 장치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활성화되는 능력을 갖춘 구동 수단, 및 상기 유체의 체적의 온도 유도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기준 부재가 온도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된 가요성 격벽에 의하여 폐쇄되는 내부 작동으로 형성된 표시장치.
KR1019830005807A 1982-12-08 1983-12-08 표시장치 KR890001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F717682 1982-12-08
AUPF7176 1982-12-08
AUPF9513 1983-05-24
AUPF951383 1983-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292A KR840007292A (ko) 1984-12-06
KR890001043B1 true KR890001043B1 (ko) 1989-04-20

Family

ID=2564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807A KR890001043B1 (ko) 1982-12-08 1983-12-0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94289A (ko)
EP (1) EP0158635B1 (ko)
KR (1) KR890001043B1 (ko)
CA (1) CA1242882A (ko)
DE (1) DE3377681D1 (ko)
ES (1) ES527875A0 (ko)
FI (1) FI850055L (ko)
NO (1) NO843078L (ko)
NZ (1) NZ206489A (ko)
WO (1) WO1984002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57769B (en) * 1984-10-12 1986-09-24 Visual display system
JPS63501041A (ja) * 1985-10-03 1988-04-14 イ−.ア−ル.ジ−.マネイジメント サ−ビシイ−ズ リミテツド 改良した表示装置
GB8608363D0 (en) * 1986-04-05 1986-05-08 Harvey Jenkins Developments Lt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4831372A (en) * 1986-09-29 1989-05-16 Astec International Ltd. Display apparatus
JPH01302388A (ja) * 1988-05-31 1989-12-06 Nitto Kohki Co Ltd ディスプレイ素子、ディスプレイ方法、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US6819228B2 (en) 2003-01-28 2004-11-16 Dwain Gipson Scanning braille presentation
FR2856830B1 (fr) * 2003-06-30 2005-09-30 Jean Bernard Perrin Ecran d'affichage comportant des elements d'image constitues par une ampoule contenant de l'encre et un piston a tete blanche
GB2420903A (en) * 2004-12-01 2006-06-07 Dennis Majo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240A (en) * 1911-01-13 1912-12-31 Franz Janecek Display apparatus.
US3106794A (en) * 1960-08-02 1963-10-15 Electricite Mors Sa Soc D Devices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3162849A (en) * 1961-05-10 1964-12-22 Honeywell Inc Two position visual display indicator
CH405992A (de) * 1961-11-10 1966-01-15 Ibm Anzeigevorrichtung mit Buchstaben oder Zahlen
FR1429478A (fr) * 1965-02-04 1966-02-25 Elliott Brothers London Ltd Dispositif à voyant
US3698793A (en) * 1971-03-11 1972-10-17 Kollsman Instr Corp Solid state display
US3825927A (en) * 1972-06-14 1974-07-23 R Passien Magnetic discboard
US3812490A (en) * 1972-09-18 1974-05-21 Bendix Corp Flexible membrane display panel for generating characters visible in ambient light
FR2318474A1 (fr) * 1975-07-17 1977-02-11 Thomson Csf Dispositif d'affichage par electrophorese
NL7510103A (nl) * 1975-08-27 1977-03-01 Philips Nv Elektrostatisch bestuurde beeldweergeefinrichting.
GB2101386B (en) * 1981-06-16 1984-10-24 Robin Warne Visual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8635A1 (en) 1985-10-23
FI850055A0 (fi) 1985-01-07
EP0158635B1 (en) 1988-08-10
NZ206489A (en) 1987-08-31
WO1984002414A1 (en) 1984-06-21
ES8407229A1 (es) 1984-09-01
FI850055L (fi) 1985-01-07
ES527875A0 (es) 1984-09-01
NO843078L (no) 1984-07-31
US4694289A (en) 1987-09-15
KR840007292A (ko) 1984-12-06
DE3377681D1 (en) 1988-09-15
CA1242882A (en) 1988-10-11
EP0158635A4 (en) 1986-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043B1 (ko) 표시장치
JP2008102510A (ja) 無摩擦電源内蔵型回転ディスプレー
US4015255A (en) Magnetically operated sign
EP0561586B1 (en) Electromagnetic shutter
US4831372A (en) Display apparatus
US3537197A (en) Lever operated display device
US4775862A (en) Bi-stable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display member
NO994698D0 (no) Fremviserenheter
AU550679B2 (en) Display member
US3924226A (en) Display device having an array of movable display elements
KR910005581Y1 (ko) 표시 장치
JPH0251514B2 (ko)
CN210725003U (zh) 电子设备
CA2281081A1 (en) Display device and array
JPS59198409A (ja) レンズ駆動装置
JP6644308B1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の取付け構造
JPH0972449A (ja) 流体制御用バルブへの駆動力伝達装置
ATE259530T1 (de) Anzeigeeinheit
JPS609357A (ja) リニアモ−タ
KR960005192B1 (ko) 자력을 이용한 유영체(遊泳體)가 구비된 광고장치
CN112689065A (zh) 电子设备
JPS58166381A (ja) 表示装置
KR20010076052A (ko) 영구자석의 자기장 차단 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기기관
JPH01191484A (ja) 圧電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