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818Y1 -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818Y1
KR890000818Y1 KR2019860006251U KR860006251U KR890000818Y1 KR 890000818 Y1 KR890000818 Y1 KR 890000818Y1 KR 2019860006251 U KR2019860006251 U KR 2019860006251U KR 860006251 U KR860006251 U KR 860006251U KR 890000818 Y1 KR890000818 Y1 KR 890000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up
transistor
terminal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859U (ko
Inventor
장보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06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818Y1/ko
Publication of KR870018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8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화처리장치 2 : 컵 적재부
3 : 컵 투출장치 M : 컵 투출모우터
DS : 음료배출 허가신호 TR1: 트랜지스터
SS : 판매신호 출력단자 ES : 컵투출신호 입력단자
PC : 포토커플러 D1: 다이오드
CI : 주화주입구 RL : 동전반환레버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컵이 음료배출 이전에 완전히 투출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완전히 투출되었을 경우에만 음료를 배출시키고, 컵이 투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음료를 배출시키지 않게됨과 더불어 주화반환레버 작동으로 지불된 금액을 전면 반환할 수 있도록 된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자동판매기는 선혼합시스템(pre-mix system)과 후혼합시스템(post-mix system)으로 구분되는데, 선혼합시스템은 장착된 원료를 미릴 일정선분비로 혼합해 놓고 온수만 공급하여 원료를 용해시키면서 배출시키는 방법이고, 후혼합시스템은 필요한 원료를 모두 각각 다른 용기에 장착하였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원료를 혼합하면서 온수와 같이 용해시켜 배출시키는 방법인바, 일반적으로는 후혼합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후혼합시스템에서는 이용자가 원하는 선택버턴을 선택하였을 경우 종이컵의 제조과정과 보관상태의 불량 및 자동판매기의 잘못 사용으로 종이컵이 투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음료만 배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그에 따라 소비자측에서는 원하는 음료를 얻지못할 뿐만 아니라 투입한 금액을 환전받지 못하게 되므로 자동판매기에 대한 불신감을 갖게되고, 운영자측에서는 음료가 그냥 자동판매기에 배출되므로 기계가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아까운 재료를 그냥 낭비해 버리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자동판매기에 컵의 투출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설치하여 컵이 투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원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투입된 금액을 반환레버 작동으로 환불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인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주화처리장치(1)의 판매신호 출력단자(SS)에는 릴레이(RY1)가 연결되고, 이 릴레이(RY1)에는 상품선택스위치(SW)에 결속된 릴레이(RY2)와 릴레이(RY3)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RY2)와 상품선택스위치(SW)의 일단에는 컵투출장치 (3)내의 컵투출 모우터(M)가 연결되고, 릴레이(RY3)에는 릴레이(RY4)가 연결되며, 릴레이(RY4)의 자화코일(L4) 양단에는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자와 포토커플러(P C)의 발광부(L)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는 저항(R3)과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1)와 다이오드(D1)를 매개하여 포토커플러(PC)의 수광부(R)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단자에는 상기 수광부(R)의 일단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는 컵적재부, CI는 주화주입부, RL은 주화반환레버, ES는 컵투출 신호입력단자, SS는 판매신호 출력단자, DS는 음료배출 허가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이용자가 주화주입구(CI)를 원하는 음료의 금액에 해당되는 주화를 투입하게 되면 주화처리장치(1)의 판매신호 출력단자(SS)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어 릴레이(RY1)의 코일(L1)을 자화시키게 되므로 스위치(SW1)는 접점(1)으로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AC전원은 릴레이(RY3)의 스위치접점(2)을 통해 릴레이(RY1)의 스위치(SW1)에 인가되므로 코일(L1)은 계속 자화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음료선택스위치(SW)을 선택하게되면 스위치(SW1)의 접점(1)을 통해 출력된 신호는 음료선택스위치(SW)을 매개하여 릴레이(RY2)의 유도코일(L2)에 인가되게 됨과 더불어 컵투출 모우터(M)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AC전원은 릴레이(RY4)의 스위치접점(2)을 통해 릴레이(RY2)의 스위치접점(1)을 매개하여 컵투출 모우터(M)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RY2)의 유도코일(L2)을 계속 자화상태로 유지시키게 됨과 더불어 컵투출 모우터(M)를 구동시켜 컵적재부(2)에 적재된 종이컵을 1개 투출시키게 된다.
이때 컵의 적재불량과 컵투출장치의 고장등 외부원인에 의해 컵이 투출되지 않으면 포토커플러(PC)의 발광부(L)에서 발광된 빛에 의해서 수광부(R)가 동작을 하게되므로 수광부(R)의 컬렉터 로우신호가 다이오드(D1)를 매개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게 됨과 더불어 릴레이(RY4)를 오프시키게 된다(즉, 중앙접점이 2와 2' 접점에 접속됨). 그러므로 음료배출 허가신호(DS)가 출력되지 않게됨과 더불어 주화처리장치(1)의 컵투출신호 입력단자(ES)로 입력되는 신호가 있게 되므로 원료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주화반환레버(RL)를 조작하여 주입한 금액을 전부 환불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컵투출 모우터(M)의 구동에 의해서 정상적으로 컵적재부(2)의 종이컵이 투출되게 되면 포토커플러(PC)의 발광부(L)에서 출력된 빛이 종이컵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차단되게 되므로 수광부(R)의 컬렉터단자에 나타나는 하이신호가 다이오드(D1)와 저항(R3)을 매개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게 되어 트랜지스터( TR1)를 턴온시키게 된다. 여기서 콘덴서(C1)는 순간적인 응답시간을 지연시켜 릴레이( RY4)의 온/오프동작에 지장을 없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편 트랜지스터(TR1)의 턴온에 의해 유도코일(L4)이 자화되게 되고, 스위치(SW4)(SW4')의 중앙접점은 접점(1) (1')으로 각각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AC전원이 스위치(SW4)의 접점(1)을 통해 유도코일(L3)에 인가되게 되어 릴레이(RY3)의 스위치(SW3)가 접점(1)쪽으로 접속되므로 주화처리장치(1)의 컵투출신호 입력단자(ES)로 컵투출신호를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주화처리장치(1)에서는 그 신호를 감지하여 주화주입구(CI)를 통해 주입된 금액을 회수하게 됨과 더불어 스위치(SW4')의 접점(1')을 통해서 출력된 음료배출 허가신호( DS)에 의해서 음료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컵이 완전히 투출되었을 경우에만 원료를 배출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비정상 작동시의 원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판매기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주화처리장치(1)의 판매신호 출력단자(SS)에는 릴레이(RY1)가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RY1)에는 상품선택스위치(SW)에 접속된 릴레이(RY2)와 릴레이(RY3)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RY2)와 상품선택스위치(SW)의 일단에는 컵투출장치 (3)내의 컵투출 모우터(M)가 연결되고, 상기 릴레이(RY3)에는 릴레이(RY4)가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RY4)의 자화코일(L4) 양단에는 트랜지스터(TR1)의 컬랙터단자와 포토커플러(PC)의 발광부(L)가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는 저항(R3)과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1)와 다이오드(D1)를 매개하여 포토커플러(PC)의 수광부(R)가 연결되며,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단자에는 상기 수광부(R)의 일단이 연결되어 컵이 불투출 되었을 때 원료투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KR2019860006251U 1986-05-06 1986-05-06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KR890000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251U KR890000818Y1 (ko) 1986-05-06 1986-05-06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251U KR890000818Y1 (ko) 1986-05-06 1986-05-06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859U KR870018859U (ko) 1987-12-26
KR890000818Y1 true KR890000818Y1 (ko) 1989-03-25

Family

ID=1925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251U KR890000818Y1 (ko) 1986-05-06 1986-05-06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8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859U (ko) 198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9596A (en) Vending machine accessory permitting dual mode machine operation with either money or coded cards
EP0092368A2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890000818Y1 (ko) 자동판매기의 컵투출 감지회로
US5855295A (en) Automatic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automatic vending machines
KR100370726B1 (ko) 자동 판매기의 통신 장치
KR19990009269A (ko) 자동판매기의 원료감지 장치 및 방법
US3836046A (en) Circuit for multi-column vending machines having columns arranged for conjoint operation
KR910001284Y1 (ko) 자동판매기의 컵 및 원료불투출 감지회로
KR0129009B1 (ko) 자동판매기의 원료매진 검출방법
KR950004182Y1 (ko) 캔 자동판매기의 솔레노이드 동작 검출회로
KR940007746A (ko) 자동판매기의 음료 판매장치 및 판매방법
US5103956A (en) Goods selling control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KR0128352B1 (ko) 담배 자동판매기
KR950005562B1 (ko) 캔 자동판매기의 캔투출 고장검출 방법
KR950009844B1 (ko) 자동판매기의 솔레노이드 배선회로의 단선검출장치
JP3501554B2 (ja) 飲料定量販売装置
GB2119124A (en) Beverage-dispensing machine
KR0118582Y1 (ko) 자동판매기의 연속판매 장치
KR950030003A (ko) 커피자동판매기의 컵투출감지회로 및 그 방법
KR850001837B1 (ko) 자동판매기의 제어장치
KR890006514Y1 (ko) 자동판매기의 컵 자동 송출 장치
JPS632943Y2 (ko)
JPS586061Y2 (ja) 自動販売機
KR880000524B1 (ko) 자동판매기의 주화 자유투입장치 및 구동회로
KR200161492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부 전원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