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56B1 -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56B1
KR890000756B1 KR1019850007223A KR850007223A KR890000756B1 KR 890000756 B1 KR890000756 B1 KR 890000756B1 KR 1019850007223 A KR1019850007223 A KR 1019850007223A KR 850007223 A KR850007223 A KR 850007223A KR 890000756 B1 KR890000756 B1 KR 89000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fuel
pressurizing chamber
passag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429A (ko
Inventor
신야 노자끼
Original Assignee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모찌즈끼 가즈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모찌즈끼 가즈시게 filed Critical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7/00Fuel-injector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F02M57/02Injec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fuel-injectio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
제1도는 유닛인젝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작용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플런저배럴(plunger barrel) 2a : 플런저가압실
3 : 연료분사노즐 13 : 연료흡입로
17 : 전자밸브 28 : 연료압송용플런저
27 : 제1의 세로홈 28 : 제2의 세로홈
29 : 홈(groove)
본 발명은 연료분사노즐과 연료압송용플런저가 일체로 되어서 실린더헤드에 장착되는 유닛인젝터(unit injector)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유닛인젝터라고 하면, 종래에는 일본국 특개소 54-50726호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것은 분사 스타아트와 분사 엔드를 단일의 전자밸브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시동할때의 저전압(셀모우터를 구동하는 관계상 전원이 저전압으로 된다)일때에도 연료의 시동중량을 꽤하기 위하여 전자밸브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전압부족으로 전자밸브의 작동이 불확실하게 되어서 시동중량이 확실하게 얻을 수 없음과 동시에 제어장치나 전자밸브가 고장이 생겼을 경우에 곧바로 연료분사를 정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놓은 것으로, 통상 운전시는 전자밸브의 밸브폐쇄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분사시간 및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서도, 시동시에 있어서는 전자밸브에 관계없이 그 연료의 시동중량을 확실히 할 수 있음과 함께 제어장치라거나 전자밸브가 고장이 생겼을 경우, 연료 흡입로를 차단하여 연료분사를 곧 정지할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런저배렐 내에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 장착한 연료압송용플런저를 플런저배럴 내에 통상 운전위치ㆍ시동위치ㆍ긴급 정지위치의 3위치에 택일적으로 회동 조정할 수 있도록 배설하였으며, 플런저를 통상 운전위치에 회동시켰을때, 연료흡입로와 연료일류로(溢流路)를 플런저 가압실에 각기 유통하는 2개의 종구(縱構)를 전술한 플런저에 마련함과 동시에 상한위에 있는 플런저를 시동위치에 회동하였을때, 한편의 종구를 연료흡입로에 연통하는 흠을 플런저에 마련하여서 된 것으로, 이 플런저가 통상 운전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와 연료일류로가 전술한 양종구를 개재하여 플런저 가압실에 연통되었으며, 또 시동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가 홈 및 한편의 종구를 개재하여 플런저 가압실에 연통됨과 동시에 연료일류로와 플런저 가압실과의 연통이 플런저에서 차단되고, 또한 긴급정지 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 및 연료일류로와 플런저 가압실과의 연통이 플런저에서 각기 차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유닛인젝터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중(1)은 유닛인젝터보디로서 플런저배럴(2)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이 플런저배럴(2)의 하단부에는 연료분사노즐(3)이 틈메꿈쇠(distance piece)(4),(5)를 개재하여 억제너트(ret aining nut)(6)로 지지하고 있다.
노즐(3)은 노즐보디(7)내에 ; 이 노즐보디(7)의 분사구멍(도해없음)을 개폐하는 노즐니이들(8)을 상하동 할 수 있도록 끼워서 된 것이며, 이 노즐니이들(8)은 노즐스프링(9)에 따라 분사구멍을 폐쇄하는 방향, 즉 아래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있다. 플런저배럴(2)의 플런저 가압실(2a)의 내부와 노즐보디(7)의 분사구멍 근방의 가압공기인 유류실(油溜室)(도해없음)과의 사이는 틈메꿈쇠(4),(5)에 마련한 통로(10), (11) 및 노즐보디(7)에 마련한 통로(도해없음)을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다.
전술한 유닛인젝터보디(1)의 한쪽에 마련한 연료입구(12)는, 이 유닛인젝터보디(1)내에 마련한 연료흡입로(13)를 개재하여 플런저배럴(2)의 플런저 감장실(嵌裝室)(14)안과 연통하고 있다. 또 유닛인젝터보디(1)의 다른쪽에 마련한 연료출구(15)는 유닛인젝터보디(1)안에 마련한 연료일류로(16)를 개재하여 플런저 감장실(14)안과 연통하고 있다. 더우기, 이 연료일류로(16)와 연료흡입로(13)의 플런저 감장실(14 )안으로 대하는 개구단면은 둘레방향으로 서로 180°한쪽으로 치우쳐서 대면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연료일류로(16)의 도중에는 전자밸브(17)가 개재되었으며, 이 전자밸브(17)의 밸브폐쇄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연료분사시간 및 연료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 감장실(14)안에는 연료압송용플런저(18)가 회동 및 축방향(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다. 이 플런저(18)는 제2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통상 운전위치ㆍ시동위치ㆍ긴급 정지위치의 3위치에 택일적으로 회동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플런저(18)는 유닛인젝터보디(1)의 윗쪽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마련한 컨트롤슬리이브(19)에 대하여 회전이 정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방향으로는 접동할 수 있도록 걸려있다. 이 컨트롤슬리이브(19)에 고정한 피니언(20)에는 회동 고정용 컨트록랙(rack)(21)이 맞물려 있으며, 이 컨트롤랙(21)을 제1도 속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플런저(18)를 회동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컨트롤랙(21)은 수동으로 또는 유압피스톤 및 스테핑전동기등의 적당한 구동수단(도해없음)으로 구동된다.
플런저(18)는 플런저스프링(22)에 의하여 상방으로 힘이 가하여지며, 이 스프링(22)은 플런저(18)의 상단에 고정한 태핏(tappet)인 스프링받침부재(23)와, 유닛인젝터보디(1)의 상부에 돌설한 통상부(24) 내저부의 스프링받침단부(變段部)(25)와의 사이에 개재 장착하고 있다. 스프링받침부재(23)는 역저부통상커버(26)안에 감합하고 있으며, 이 커버(26)는 통상부(24)의 내주면에 접동이 자유롭도록 감합하고 있다.
커버(26)의 상단면에는 회전캠(도해없음)의 캠면이 미끄럼접합(摺接)하고, 이 캠은 내연기관(도해없음)의 출력측에 연결되었으며, 이 내연기관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이 캠의 회전에 수반하여 플런저(18)가 왕복운동한다.
플런저 감장실(14)의 플런저(18) 하단면과 틈메꿈쇠(4) 상단면과의 사이에 플런저 가압실(2a)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18)의 외주면 한쪽에는 제1의 종구(2 7)가, 또 다른쪽에는 제2공구(28)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종구(27) 및 (28)은 플런저(18)의 축방향으로 잇따라 또한 둘레방향 180°한쪽으로 치우쳐서 서로 대면하고 있다. 제1 및 제2의 종구(27) 및 (28)의 하단은 플런저(18)의 하단면에서 개방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단은 플런저(18)의 축방향 대략 중간위치에 있다.
더우기, 제1종구(27)의 상단위치는 플런저(18)의 상한위치에서 흡입로(13)와 대략 동일한 레벨에 있으며, 제2의 종구(28)의 상단위치 보다도 일정치수만큼 아래쪽에 설정되어 있다. 또 제2의 종구(28)의 상단위치는 플런저(18)의 완전히 리프트(lift)하였을 때에 걸쳐서 일류로(16)와 제2공구(28)와의 연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플런저(18)를 통상 운전위치에 회동시켰을때 제2도(a)에서와 같이 연료흡입로(13)와 제1공구(27) 및 연료일류로(16)와 제2공의 종구(28)가 각기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18)의 축방향 대략 중간부 외주면에는 일단이 제1종구(27)의 상단에 연통된 일정치수의 홈(29)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홈(29)은 상한위치에 있는 플런저(18)를 시동위치에서 회동시켰을때 제2도(b)에서와 같이 연료흡입로(13)와 연통하고, 이에 따라 이 흡입로(13)와 제1종구(27)가 홈(29)을 개재하여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전자밸브(17) 및 컨트롤랙(21)의 구동수단은 전자제어장치(도해없음)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전자제어장치에는 연료분사제어상 필요로 하는 엔진회전수, 부하, 냉각수온도 및 배기가스온도 등의 각종의 데어터신호가 입력되었으며, 이와같은 각 신호를 기초로 당해 엔진의 운전상태에 가장 적합한 분사시기 및 분사량이 되도록 전자밸브(17)를 컨트롤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연료입구(12)는 관로를 개재하여 급수펌프(어느 것의 도해도 없음)의 배출구에 접속하고 있으며, 또 연료출구 (15)는 관로를 개재하여 연료탱크(어느 것의 도해도 없음)에 접속하고 있다. 더우기, 제1도중 (30) 및 (31)은 분사노즐(3)로 부터의 누설연료를 연료흡입로(13)에 도입하는 복구통로로서 틈메꿈쇠(4) 및 유닛인젝터보디(1)에 각기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통상운전시의 경우에는 컨트롤랙(21)을 수동 또는 구동수단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플런저(18)를 제2도(a)에서 보는바와 같이 통상운전위치에 회동조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플런저(18)가 상한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13)와 플런저 가압실(2a) 및 연료일류로(16)와 플런저 가압실(2a)이 각기 제2종구(28)를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캠의 회전에 따라 커버(26)를 개재하여 태핏인 스프링받침부재(23)의 주기적인 조작력이 부여되면, 플런저스프링(22)의 가하여주는 힘과 서로 어울려서 플런저(18)가 플런저 감장실(14)안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그 상승행정에서 연료입구(12)로 부터 연료흡입로(13) 및 제1종구(27)를 개재하여 가압실 (2a)안으로 연료가 흡입되고, 그 다음의 하강행정에서 흡입로(13)가 플런저(18)의 주벽면에서 폐쇄됨과 함께 연료일류로(16)가 전자밸브(17)에 의하여 폐쇄되면 흡입된 연료과 가압되어서 고압으로되고, 통로(10),(11)를 개재하여 유류실로 보내어 진다. 이에 따라서, 이 유류실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 압력이 노즐스프링(9)이 가하여주는 힘을 극복하면(밸브를 오프닝하는 압력에 도달하면) 노즐니이들(8)은 상승하여 밸브가 오픈하여 분사구멍으로 부터 연료가 분사된다. 이런 경우에 전자밸브(17)를 폐쇄하는 시기를 제거함에 따라 분사시기를, 배브폐쇄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분사량을 각기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밸브폐쇄시간은 전자제어장치로 부터의 출력신호로 제어되어서, 이 내연기관의 운전상태에 대응한 가장 적합한 분사시기 및 분사량 상태로 되는 것이다.
다음에, 내연기관을 시동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랙(21)을 구동시켜서 플런저 (18)를 제2도(b)에서 보는바와 같이 시동위치(통상운전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대략 45°회동한 위치)에 회동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플런저(18)가 상한위치에 있을때, 흡입로(13)가 홈(29) 및 제1종구(27)를 순차 개재하여 가압실(2a)과 연통하였으며, 일류로(16)와 제2종구(28)는 서로 둘레방향으로 한쪽에 치우쳐서 일류로(16)가 플런저(18)의 주벽면에서 폐쇄되어 있으므로, 일류로(16)와 가압실(2a)과의 연통은 차단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플런저(18)의 상승행정에서 연료입구(12)에 연료흡입로(13), 홈(29) 및 제1종구(27)를 순차로 개재하여 가압실(2a)안으로 연료가 흡입되어, 그 다음의 하강행정에서 흡입로(13)가 플런저(18)의 주벽면에서 폐쇄되면 곧 흡입된 연료가 가압되어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유류실안의 압력이 압력이 밸브오프닝하는 압력에 도달하면 분사구멍으로 부터 연료가 분사된, 이 경우에는 일류로(16)와 가압실(2a)과의 연통은 항상 차단된 상태이며, 가압실(2a)안으로 흡입된 연료는 플런저(18)의 하강행정에서 전혀 일류하지 않고 그 전량이 분사구멍으로 부터 분사되는 것이며, 따라서 전자밸브(17)에 관계없이 시동시의 연료의 중량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나아가서, 전자제어장치 혹은 전자밸브(17)가 고장나서 연료분사제어를 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컨트롤랙(21)을 구동시켜서 플런저(18)를 제2도(c)에서 보는바와같이 긴급 정지위치(통상운전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45도 회동한 위치)에서 회동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1, 제2종구(27),(28) 및 홈(29)의 어느것도 흡입로(13)와 일류로(16)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서로 한쪽에 치우쳐 있어서, 이 흡입로(13)와 일류로 (16)는 플런저(18)의 주벽면에서 폐쇄되어 있기때문에 흡입로(13)와 일류로(16)의 어느 것도 가압실(2a)에 대하여는 차단된 상태에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플런저(18)가 상승하여도 가압실(2a)안으로 연료흡입을 할 수 없기때문에, 연료분사는 할 수 없으며, 따라서 내연기관이 긴급정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는 플런저배럴 안에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진 연료압송용플런저를 플런저배럴 안에서 통상운전위치ㆍ시동위치ㆍ긴급 정지위치의 3위치에 택일적으로 회동을 조정할 수 있도록 배설하고, 플런저를 통상운전위치에 회동시켰을때, 연료흡입로와 연료일류로를 플런저 가압실에 각기 연통하는 2개의 종구를 플런저에 마련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가 상한위치에 있고, 시동위치에서 회동하였을때 한편의 종구를 연료흡입로에 연통하는 홈을 플런저에 마련하여서 된 것으로 이 플런저가 통상운전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와 연료일류로가 2개의 종구를 개재하여 플런저 가압실에 연통되고, 또 시동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가 홈 및 한편의 종구를 개재하여 플런저 가압실에 연통됨과 동시에 연료일류로와 플런저 가압실과의 연통이 플런저에서 차단되었으며, 또한 긴급정지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 및 연료일류로와 플런저 가압실과의 연통이 플런저에서 각기 차단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통상운전시는 전자밸브의 밸브폐쇄시간의 제어함에 따라 분사시기 및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서, 시동시에 있어서는 전자밸브에 관계없이 그 연료의 시동중량을 확실히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제어장치라거나 전자밸브가 고장이 생겼을 경우 연료흡입로를 차단하여 연료분사를 곧 정지할 수 있고, 구성부품도 기존의 부품의 전용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도 절감할 수 있어 싼값으로 제공할 수 있는 등이 효과를 이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료분사노즐(3)과 플런저배럴(2)안에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진 연료압송용플런저(18)를 일체로 하여 실린더헤드에 장착함과 동시에 연료일류로 (16)에 개재장치한 전자밸브(17)의 밸브폐쇄시간을 제어함에 따라 분사시기 및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에 있어서, 플런저를 플런저배럴(2) 안에서 통상운전위치ㆍ시동위치ㆍ긴급 정지위치의 3위치에 택일적으로 회동을 조정할 수 있도록 배설하고, 플런저를 통상운전위치에 회동시켰을때 연료흡입로(13)와 연료일류로(16)를 플런저 가압실(2a)에 각기 연통하는 2개의 종구를 플런저에 마련함과 동시에, 이 플런저가 상한위치에 있으면서 시동위치에서 회동하였을때 한편의 종구를 연료흡입로(13)에 연통하는 홈을 플런저에 마련하여서 된 것으로, 이 플런저가 통상 운전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13)와 연료일류로(16)가 전술한바 2의 종구를 개재하여 플런저 가압실(2a)에 연통되었으며, 또 시동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13)가 홈 및 한편의 종구를 개재하여 플런저 가압실(2a)에 연통됨과 동시에 연료일류로(16)와 플런저 가압실(2a)과의 연통이 플런저에서 차단되었으며, 나아가서 긴급정지위치에 있을때 연료흡입로(13) 및 연료일류로(16)와 플런저 가압실(2a)과의 연통이 플런저에서 각기 차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
KR1019850007223A 1984-10-02 1985-09-30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 KR890000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05573A JPS6185570A (ja) 1984-10-02 1984-10-02 内燃機関のユニツトインジェクタ
JP84-205573 1984-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429A KR860003429A (ko) 1986-05-23
KR890000756B1 true KR890000756B1 (ko) 1989-04-03

Family

ID=1650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223A KR890000756B1 (ko) 1984-10-02 1985-09-30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85570A (ko)
KR (1) KR890000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688A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수소연료 엔진의 연료공급장치
KR20160141334A (ko) 2015-05-30 2016-12-08 한명수 위패 소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85570A (ja) 1986-05-01
KR860003429A (ko) 1986-05-23
JPH0436264B2 (ko) 199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0136A (en) Digital pump with bypass inlet valve
EP1930582B1 (en)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engin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US6530363B1 (en) Variable delivery pump and common rail fuel system using the same
US6948462B2 (en) Device for the control of at least one gas exchange valve
US5458103A (en) Fuel injection arrange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890000756B1 (ko)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
US6016786A (en) Fuel injection system
US4674461A (en) Unit inj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PL137665B1 (en) Fuel injection pump with injection starting point adjustment for self-ignited combustion engines
US5333588A (en) Pump/injector
US6223734B1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2053903B1 (en) Fuel injection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90000757B1 (ko) 내연기관의 유닛인젝터
JPH11343945A (ja) 燃料ポンプ
US5343845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JPS61226560A (ja) 内燃機関用の燃料噴射装置
US4576133A (en) Liquid fuel injection pumping apparatus
US3307491A (en) Fuel pump venting
KR100280059B1 (ko) 내연기관의연료분사펌프
KR920001426Y1 (ko) 연료분사장치
GB2142388A (en) Fuel injection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821154A1 (en) Fuel pumping apparatus
KR960012382B1 (ko) 디젤엔진용 연료분사펌프
KR100285499B1 (ko) 인젝션 펌프용 레귤레이팅 밸브
JPH11108235A (ja) 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用燃料カット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