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47Y1 - 유수혼합식 버어너 - Google Patents

유수혼합식 버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47Y1
KR890000747Y1 KR2019850010811U KR850010811U KR890000747Y1 KR 890000747 Y1 KR890000747 Y1 KR 890000747Y1 KR 2019850010811 U KR2019850010811 U KR 2019850010811U KR 850010811 U KR850010811 U KR 850010811U KR 890000747 Y1 KR890000747 Y1 KR 890000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pipe
air
water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086U (ko
Inventor
이규일
Original Assignee
이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일 filed Critical 이규일
Priority to KR2019850010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747Y1/ko
Publication of KR870004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6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in which an emulsion of water and fuel is spray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1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 F23D11/106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the spraying being induced by a gaseous medium, e.g. water vapour medium and fuel meeting at the burne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 Nozzles For Spraying Of Liquid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수혼합식 버어너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2차 기화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외부 급기관 8 : 분사구
9, 10, 14 : 분기관 15 : 급기통로
V1, V2, V3:밸브
본 고안은 기름과 물을 섞어 에멀존화 한 후 이를 고속기류로써 초미립자상으로 분사시켜 연소하는 유수 혼합식 버어너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버어너의 분사노즐을 통해 미립자상으로 분사되는 유수 혼합유에 재차 고속기류를 불어 넣어서 초미립자화 시켜주는 장치와, 사용후 수관과 유관 및 노즐속에 잔류하는 찌꺼기를 고속기류로 말끔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로써 이뤄진 새로운 구조의 유수 혼합식 버어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본인의 선출원 고안인 실용신안원 제85-2779호를 개량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제1도에서 보듯이 버어너 본체(1)의 내부에 출구단이 입구측보다 단면적이 작은 원뿔 구멍 모양의 급유통로(2a)와 급수통로(3a) 및 급기통로(4a)(4b)가 있고, 급유통로(2a)의 말단에 위치한 급유노즐(5) 직후방에 물과 기름 및 공기가 혼합되기에 충분한 혼합실(6)이 있으며, 여기서 혼합된 유수 혼합유 즉, 에멀존화 된 것이 제2공기통로(4b) 측에서 불어대는 고속기류로써 더욱 미립자화 한 상태로 분사, 연소되게 한 것이다.
그런데, 이같은 구성 원리로써 소기의 연소효율 극대화를 달성하는데는 일단 성공을 거두었으나, 사용후 버어너의 급수통로와 급유통로 및 혼합실 등에 잔류하는 물과 기름찌꺼기를 제거하려면 분해 소제하는 방법이외에는 달리 방도가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같은 내부 소제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사용후 보일러 내부에 잔류하는 찌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멀존화하여 분사되는 혼합유를 노즐전방에서 고속기류를 내뿜어 나선상 회류를 일으키도록 조장하여 초미립자 연료로 연소되게 함으로써 연소효율의 극대화와 공해요인 감소효과를 거두게 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작성한 첨부도면과 관련지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버어너본체, 2는 급유관, 2a는 급유통로, 3은 급수관, 3a는 급수통로, 4는 내부 급기관, 4a와 4b는 다같이 급기통로, 5는 노즐, 6은 혼합실, 7은 외부급기관, 그리고 11과 12 및 13은 개폐각도 조절단이 딸린 밸브이다.
이같은 선행기술에 있어서, 본 고안은 밸브(13)에 이르기전의 외부 급기관(7)상에 별도로 소제용 분기관(9)을 접속하고, 이 분기관(9)을 급유 및 급수 조절밸브 (11)(12) 이후의 급유관(2)과 급수관(3)상으로 분기하여 접속하는 동시에 또 다른 분기관(14)을 도출하여 노즐(5) 전방에 설치한 분사구(8)의 각 급기통로(15)에 접속하며, 이 급기통로(15)를 원주 등분한 위치마다 상향 경사지게 배치하는 한편 중앙의 분사공(16)을 중심으로 한 선단에 원추형 내면(17)을 이루도록 한 것이 주된 구성특징이다.
그리고 각 분기관상에는 밸브(V1)(V2)(V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연소시와 소제할 때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연 소 시
먼저, 밸브(11)(12)(13) 및 (V3)는 개방하고 급유 및 급수관으로 이어진 분기관상의 밸브(V1)(V2)는 폐쇄한 채로 놔둔 상태에서 버어너를 점화한다.
급유통로(2a)와 급수통로(3a) 및 급기통로(4a)(4b)로는 밸브(11)(12)(13)의 유량조절에 따라 에멀존화에 적합한 유수혼합비가 결정되고 동시에 에멀존화된 것을 미립자로 부화시켜 분사하기에 알맞는 급기가 이뤄져 노즐(5) 밖으로 분출된다.
이같은 기름과 물의 혼합은 노즐(5) 전방에 있는 혼합실에서 모두 달성된다.
노즐(5)에서 분출된 에멀존 연료는 다시 그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구(8)의 분사공(16)을 통과한 직후 각 급기통로(15)에서 불어나오는 고속기류의 영향을 받아 나선상 회류를 일으키면서 내면(17)에 부딛혀 파열돼 초미립자되어 가지고 연소된다.
따라서 연료입자가 매우 고와 완전연소에 가깝도록 연소효율이 높고, 연소효율이 높은 만큼 연료도 절약되고 또한 공해요인도 대폭 줄어든다.
※ 소 제 시
버어너의 사용을 중지하려면 급유관(2)과 급수관(3) 및 급기관(4)을 폐쇄해야 한다.
이들 관의 폐쇄는 밸브(11)(12)(13)을 잠금으로써 달성된다.
이같이 급유관(2)과 급수관(3) 및 급기관(4)을 모두 폐쇄한 후 급유관(2)과 급수관(3) 측 분기관(9)(10)의 밸브(V1)(V2)를 열고서 외부 급기관(7)으로 도입되는 고속기류를 급유관(2)과 급수관(3)으로 흘려보내면 이들 관과 급유통로(2a), 급수통로(3a)는 물론 혼합실(6)과 분사구(8)의 분사공(16)에 잔류해 있던 모든 잔유물은 말끔히 씻겨나간다.
이처럼 급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고속기류를 이용해서 버어너내의 통로상에 남아있는 기름찌꺼기와 물기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버어너의 내부 소제가 매우 편리하다.
내부 소제를 마친 후에는 분기관(9)(10)상의 밸브(V1) (V2)를 잠궈 다음 연소에 대비한다.

Claims (1)

  1. 버어너 본체의 내부에 연료유의 에멀존화를 달성할 수 있고, 이 에멀존화된 연료를 고압 공기로 분사하여 연소시킬 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급기량 조절밸브(13)의 도입부전에 있는 외부 급기관(7)상에서 분기관(9) (10)을 인출하여 급유량 및 급수량 조절밸브(11)(12) 이후의 급유관(2)과 급수관(3)상에 접속함과 동시 이들 분기관 상에 밸브(V1)(V2)를 설치하여 개폐토록 하며, 또 다른 분기관(14)은 버어너 본체(1)의 전방에 설치한 분사구(8)의 급기통로(15)에 연결하여 밸브(V3)로 개폐되게 하고, 상기 분사구(8)로써 노즐(5)에서 분출되는 미립자상의 에멀존화된 연료를 고속기류를 불어 넣어 초미립자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 혼합식 버어너.
KR2019850010811U 1985-08-24 1985-08-24 유수혼합식 버어너 KR890000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811U KR890000747Y1 (ko) 1985-08-24 1985-08-24 유수혼합식 버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811U KR890000747Y1 (ko) 1985-08-24 1985-08-24 유수혼합식 버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086U KR870004086U (ko) 1987-03-31
KR890000747Y1 true KR890000747Y1 (ko) 1989-03-25

Family

ID=1924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811U KR890000747Y1 (ko) 1985-08-24 1985-08-24 유수혼합식 버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7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086U (ko) 198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5755A (en) Gas turbine dual fuel burners
US4327547A (en) Fuel injectors
US4798330A (en) Reduced coking of fuel nozzles
US2942790A (en) Air-atomizing liquid spray nozzle
DE19750329A1 (de) Voreinspritz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flüssigen Vorbrennstoff für eine Gasturbinentriebwerks-Dual-Brennstoffeinspritzvorrichtung
US4014639A (en) Recirculating vortex burner
US4003692A (en) High velocity burner
US6793483B2 (en) Combustion burner
US4201538A (en) Large burners, particularly for liquid fuels
PL107598B1 (pl) Komora spalania silnika spalinowego,zwlaszcza wysokopreznego z doladowaniem
JP4664451B2 (ja) 予混合バーナを運転するための装置
JP2999311B2 (ja) 燃焼からのNOx放出量を最小限に抑える方法およびバーナ
GB2035540A (en) A gas turbine engine fuel injector
KR890000747Y1 (ko) 유수혼합식 버어너
US4094469A (en) Fuel injection nozzle assembly
CN1160143A (zh) 燃烧器
EP0444811A1 (en) Fuel injector
GB208390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 turbine engine dual fuel burners
KR102264596B1 (ko) 혼합 연소용 오일연료 분무 장치
JPS5813803B2 (ja) バ−ナ
RU2132480C1 (ru) Распылитель форсунки для дизеля
KR200232883Y1 (ko) 버너 연료용 산소 및 물공급장치
KR940005105Y1 (ko) 기름보일러용노즐
KR890004744Y1 (ko) 경유 버어너의 분화구
KR200200466Y1 (ko) 연료절약형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