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286Y1 - 모우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모우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286Y1
KR890000286Y1 KR2019850013820U KR850013820U KR890000286Y1 KR 890000286 Y1 KR890000286 Y1 KR 890000286Y1 KR 2019850013820 U KR2019850013820 U KR 2019850013820U KR 850013820 U KR850013820 U KR 850013820U KR 890000286 Y1 KR890000286 Y1 KR 890000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haft
support plate
coupled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3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481U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3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286Y1/ko
Publication of KR870007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6Means for adjusting casings relative to thei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우터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도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도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우터 2 : 모우터받침판
3 : 나사구멍 4, 4′ : 축구멍
5,5′ : 회전블럭 6 : 보울트
7 : 모우터설치대 8, 8′ : 고정블럭
9 : 고정너트 10, 10′ : 조정보울트
11 : 회전축
본 고안은 모우터를 일반 기계에 고정 설치하는 모우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우터를 받쳐주는 판을 좌우이동 및 상하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벨트와 인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하고, 벨트의 교환을 신속히 할 수 있는 모우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모우터는 모우터축의 풀리와 종동축의 폴리에 연결한 벨트를 통하여 모우터의 운동에너지를 종동축에 전달하여 주는데, 종래에는 모우터를 다수개의 보울트로 고정시켜 설치하였기 때문에 모우터를 좌우이동시킬 수 없어 벨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모우터축과 종동축의 축간거리를 조정하기 어렵고, 또한 축간거리가 맞지 않음으로 인하여 미끄럼이 발생하게 되며, 그 결과 모우터의 운동에너지가 정확하게 종동축에 전달되지 않아 미끄럼으로 인한 동력의 낭비뿐만 아니라 인장력의 과도로 인해 벨트의 수명이 짧아지고, 벨트를 교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모우터축과 종동축간의 벨트 인장력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고, 벨트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모우터 받침판의 하부 일측에 회전블럭을 고정 결합시키며, 모우터 설치대의 상부 일측에 고정블럭을 조정보울트로 결합시키되 고정블럭은 상기 회전블럭 외측에 회전축으로 결합시켜 상기 모우터 받침판이 상하로 회동자재되도록 하고, 모우터 설치대의 타측에는 조정보울트를 결합설치시켜 상기 모우터 받침판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한 모우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모우터(1)가 장착되는 모우터 받침판(2)의 하부 일측에 나사구멍(3)과 축구멍(4)을 갖춘 회전블럭(5)(5')을 보울트(6)로 각각 고정 결합시키고, 모우터 설치대(7)의 상부 일측에 축구멍(4')을 갖춘 고정블럭(8)(8')을 고정너트(9)가 장착된 조정보울트(10)로 결합시키되 고정블럭(8)(8')은 상기 회전블럭(5)(5') 외측에 결합시키며, 상기축구멍(4)(4')에는 회전축(11)을 삽입 결합시켜 상기 모우터 받침판(2)이 상하로 회동 자재되도록 하고, 모우터 설치대(7)의 타측 중앙에는 고정너트(9)가 장착된 조정보울트(10')를 결합설치시켜 상기 모우터 받침판(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2는 벨트, 13은 스크류우, 14는 모우터측, 15는 종동축, 16은 풀리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벨트(12)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벨트(12)의 교환을 신속히 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로서, 모우터 받침판(2)의 하부 일측에는 회전블럭(5)(5')을 보울트(6)로 고정 결합시키는데, 상기 회전블럭(5)(5')에는 스크류우(1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3)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모우터 받침판(2)의 상하회전 및 좌우이동 중심이 되는 회전축(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축구멍(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우(13)는 나사구멍(3)을 통하여 모우터 받침판(2)의 상하회전 및 좌우이동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또한, 모우터 설치대(7)의 상부 일측에는 고정블럭(8)(8')을 조정보울트(10)로 결합시키는데, 상기 고정블럭(8)(8')에도 회전축(11)이 삽입설치될 수 있도록 축구멍(4')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블럭(8)(8')은 상기 조정보울트(10)로 높낮이가 조정되어 모우터축(14)과 종동축(15)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였으며, 조정보울트(10)에는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한 고정너트(9)가 장착되어 있고, 모우터 설치대(7)의 타측 중앙에도 고정너트(9)가 장착된 조정보울트(10')를 결합설치시켜 상기 모우터 받침판(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이는 모우터 받침판(2)위에 모우터(1)를 보울트(6)로 결합시키는데, 회전블럭(5)(5')도 함께 결합시키고, 모우터 설치대(7)에는 고정너트(9)가 장착된 조정보울트(10)로 고정블럭(8)(8')을 결합시켜 회전축(11)을 상기 회전블럭(5)(5')과 고정블럭(8)(8')에 형성된 축구멍(4)(4')에 삽입 결합시키며, 모우터 설치대(7)에서 고정블럭(8)(8')이 결합된 타측 중앙에 고정너트(9)가 장착된 조정보울트(10')를 결합 설치시킨 것이다.
또한,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도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우터축(14)과 종동축(15)의 축간거리를 조정하여 벨트(12)를 교환하기 위한 상하회전은 모우터 설치대(7)에 결합된 조정보울트(10)(10') 중 조정보울트(10')를 하향 조정하면, 제4도와 같이 모우터축(14)과 종동축(15)의 축간거리가 짧아져 벨트(12)를 폴리(16)로부터 쉽게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모우터축(14)과 종동축(15)의 축간거리를 조정보울트(10)(10')로 조정하는 것이며,조정보울트(10)(10')의 고정은 조정보울트(10)(10')에 장착된 고정너트(9)로서 모우터 설치대(7)에 고정시키는데, 조정보울트(10)는 모우터 받침판(2)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한편, 모우터 받침판(2)의 좌우이동은 회전블럭(5)(5')의 나사구멍(3)에 결합된 스크류우(13)를 풀면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블럭(5)(5')이 좌우이동되는 것이고, 이동이 맞춰졌으면 다시 스크류우(13)를 조여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벨트(12)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모우터 설치대(7)에 결합설치시킨 조정보울트(10)(10')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인장력의 과소로 힌한 동력의 낭비뿐만 아니라 인장력의 과다로 인한 벨트(12)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벨트(12)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조정시간과 벨트(12) 교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모우터(1)가 장착되는 모우터 받침판(2)의 하부 일측에 나사구멍(3)과 축구멍(4)을 갖춘 회전블럭(5)(5')을 보울트(6)로 각각 고정 결합시키고, 모우터 설치대(7)의 상부 일측에 축구멍(4')을 갖춘 고정블럭(8)(8')을 고정너트(9)가 장착된 조정보울트(10)로 결합시키되 고정블럭(8)(8')은 상기 회전블럭(5)(5') 외측에 결합시키며, 상기 축구멍(4)(4')에는 회전축(11)을 삽입 결합시켜 상기 모우터 받침판(2)이 상하로 회동자재되도록 하고, 모우터 설치대(7)의 타측 중앙에는 고정너트(9)가 장착된 조정보울트(10')를 결합 설치시켜 상기 모우터 받침판(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한 모우터 고정장치.
KR2019850013820U 1985-10-22 1985-10-22 모우터 고정장치 KR890000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820U KR890000286Y1 (ko) 1985-10-22 1985-10-22 모우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820U KR890000286Y1 (ko) 1985-10-22 1985-10-22 모우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481U KR870007481U (ko) 1987-05-13
KR890000286Y1 true KR890000286Y1 (ko) 1989-03-08

Family

ID=1924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820U KR890000286Y1 (ko) 1985-10-22 1985-10-22 모우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2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309Y1 (ko) * 2003-02-06 2003-05-09 옥재섭 집열실이 형성된 구이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309Y1 (ko) * 2003-02-06 2003-05-09 옥재섭 집열실이 형성된 구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481U (ko) 1987-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146157A (zh) 便于安装的机电设备升降支架
KR890000286Y1 (ko) 모우터 고정장치
US4503792A (en) Pivotable motor with mounting pin
CN2305524Y (zh) 调正传动带跑偏的带轮装置
CN210806950U (zh) 一种电机稳定底座
CN213878968U (zh) 一种电气自动化设备调速装置
JP7201541B2 (ja) 傾斜回転テーブル装置
CN209873275U (zh) 一种双针床经编机用轴同步转动的装置
CN213777012U (zh) 电气设备状态监测装置
CN112671153A (zh) 一种压力机电机安装调节装置
CN210135425U (zh) 一种智能楼宇监控装置
CN213846434U (zh) 一种用于车床的电机安装结构
CN216883343U (zh) 主轴旋转机构
CN216216304U (zh) 一种用于焊丝生产的电机座
CN2293814Y (zh) 电子皮带秤用橡胶耳轴支座
CN218856914U (zh) 一种机电工程安装用工作台
CN212149139U (zh) 自平衡装置和具有其的电动摩托车
CN214900437U (zh) 一种用于电机马达的稳定框架
CN218733520U (zh) 一种马达安装结构和马达传动机构
CN219421240U (zh) 一种通信工程用节电控制器
CN212012416U (zh) 一种电机冲片理片机
CN219510094U (zh) 一种用于摊铺机的发电机驱动连接结构
KR910002792Y1 (ko) 압축벽돌 성형 모우터와 제동장치의 설치구조
CN210982567U (zh) 一种便于断路器安装的电力系统用电表箱
CN220320887U (zh) 一种45度倾斜旋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