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200Y1 -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200Y1
KR890000200Y1 KR2019850009990U KR850009990U KR890000200Y1 KR 890000200 Y1 KR890000200 Y1 KR 890000200Y1 KR 2019850009990 U KR2019850009990 U KR 2019850009990U KR 850009990 U KR850009990 U KR 850009990U KR 890000200 Y1 KR890000200 Y1 KR 890000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pindle head
crank
cam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9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641U (ko
Inventor
기꾸오 와다나베
미쓰오 고바야시
노보루 히로세
게이이찌 사또오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가와사마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가와사마 가쓰지 filed Critical 부라더 고오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50009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200Y1/ko
Publication of KR870003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6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22Rotary disc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7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th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passing it on to other transfer devices, which insert it in a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공작기계
제1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주요 구성부재의 배치를 개략 도시한 설명도.
제2도는 당해 공작기계의 내부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당해 공작기계의 일부 잘라낸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내용구조를 관찰 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단면 표시한 일부평면도.
제5도는 공구 매거진의 개략도.
제6도는 공구를 잡는 기구의 개략도.
제7(a)도~제7(a)도, 제7(b)도~제(c)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설명도.
제8도는 공구를 잡는 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 단면도.
제10도는 제2의 크랭크의 선단에 설치한 브랜치부가 주축에서 수평으로 돌출하는 핀 윗쪽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p>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프레임 (18) : 주착헤드
(20) : 공구 (22) : 공구매거진
(24) : 공구지지대 (26) : 주축
(28) : 제1의 크랭크 (30) : 제2의 크랭크
(40) : AC 서어보모우터 (44) : 보올나사
(46) : 너트 (52) : 공구장착부
(66) : 공구협지부재 (96) : 공구를 잡는 기구
(162) : 제1의 캠 (188) : 제2의 캠
본원 고안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공구교환장치(ATC)를 구비한 공작기계에 있어서, 공구의 회전할출(割出) 가능한 공구매거진을 주축헤드와는 독립해서 프레임상에서 이동자재로 배설하고, 주축헤드의 제1단계의 복등에 의해 공구매거진에 부착한 잡는 부재가 주축 선단의 공구를 잡아, 주축헤드의 제2단계의 복동에 의해 주축의 공구에 대한 협지(挾持)를 해제하며, 다시 주축헤드의 제3단계의 복동에 의해 주축에서 공구를 완전히 이탈시키고, 이어서 공구매거진을 회전 할출한 다음, 주축헤드에 앞서와는 반대의 단계적인 왕동동작(往動動作)을 행하게 하여 일련의 공구교환시켄스를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피가공물에 나사절단이나 구멍뚫기 등의 가공을 다기능으로 할 수 있게끔 구성한 머시닝센터(MC) 등의 공작기계에서는 탭이나 드릴등의 공구를 미리 소정의 수납위치에 다수 격납해 두고, 소망의 공구를 적시에 선택하여 이것을 사용이 끝난 공구와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장치(ATC)가 일반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이 자동공구교환장치로서는 여러가지 형식의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비교적 간단한 형식의 것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소 58-51046호 공보에 개시된 공작기계처럼, 다수의 공구를 방사형상으로 배설한 원반형의 공구매거진을 주축헤드에 회전자재로 부착하여, 상기 주축헤드가 그 가공동작 영역(가동을 위해 주축헤드가 통상적으로 왕복 승강하는 영역)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자동교환영역에 도래했을 때만 상기 공구매거진이 주축헤드에 대해 슬라이드할 수 있게끔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공작기계에서는 공구교환시에 상기 자동교환영역에 있어서 공구매거진에 대해 주축헤드를 슬라이드시키면서 상승시킴으로써 사용이 끝난 공구를 주축선단에서 뽑아내며, 이어서 상기 공구매거진을 회전 할출하여 소망의 공구를 상기 주축의 바로 밑에 도래시켜 축선을 정렬 일치시키고, 그후, 주축헤드를 강하시킴으로써 새로운 공구의 장착을 하게끔 되어 있다. 그러나 이처럼 구성한 공작기계에서는 주축헤드가 상기 가공 동작영역에 있어서 피가공물에 가공을 하고자 하강하기 시작하면, 이 영역에 있어서 공구매거진은 주축헤드와 일체적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피가공물의 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공구매거진에 장착되어 반경방향으로 연출(延出)하는 공구가 가공중인 피가공물과 간섭하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 있어서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는 매우 복잡한 기구로 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고장이 빈발하거나 제조원가가 비싸진다는 등의 결점도 지적되어 있다.
본원 고안은 다수의 공구를 방사형상으로 배설한 원반형의 공구매거진을 회전시켜 소망의 공구를 할출하도록한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공구 교환장치를 구비한 공작기계에 내- 재하고 있는 상술한 결점을 감안하여, 이것을 적절하게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주축헤드가 피가공물의 절삭가공을 위해, 하강하더라도 공구매거진은 프레임상의 정위치에 유지되도록 하여, 당해 공구매거진에서 연출하는 공구가 가공중에 피가공물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자동교환 영역에 있어서, 주축헤드를 왕복동작시킴으로써 각종연계기구가 작동하여 공구를 잡는 일. 공구의 풀스태드에 대한 협지의 해방 및 주축으로부터 공구를 뽑아내는 일이나 새로 산출된 공구의 주축헤드에의 장착등의 일련의 자동교환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기구를 제기하여, 제조원가 및 고장의 저감을 아울러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에서는 공구매거진을 회전자재로 추지하는 공구지지대를, 주축헤드에서 독립해서 공작기계 본체의 프레임에 주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끔 부착하고, 상기 공구매거진은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공구를 방사형상으로 유지하여 소망의 공구를 회전 할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회전 할출된 공구는 주축헤드에 회전자재로 지지한 주축 선단에 그 축선을 정렬시켜 도래하도록 구성하고, 다시 상기 자동교환영역에 있어서 주축헤드의 복동에 의해 캠작동하여 상기 공구지지대를 주축헤드와 일체적으로 승강시키는 제1의 캠 및 크랭크 기구를 설치하여, 이것에 의해 공구매거진에 배설한 공구를 잡는 기구의 개폐동작을 시키며, 또 상기 제1의 캠 및 크랭크기구의 캠동작에 의해 주축헤드 및 공구지지대가 일체적으로 복동할 때에, 상기 주축헤드에 조입한 제2의 캠 및 크랭크기구가 캠동작을 함으로써 주축중에 설치한 공구협지부재에 힘이 가해져서, 주축선단에 부착한 공구에 대한 협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구성함으로써, 상기 가공동작영역에 있어서 주축헤드가 하강하여 피가공물의 가공을 할 때, 공구매거진은 프레임상의 정위치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가공물과 간섭하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상기 자동교환영역에 있어서 주축헤드를 승강 동작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확실하게 공구의 자동교환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상세에 대해, 적절한 예를 들어첨부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주요 구성부재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제2도는 본원에 의한 공작기계의 내부 구조의 상세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역시 공작기계의 일부 잘라낸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일부 평면도로서, 내부구조를 관찰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단면 표시한 것이다.
제1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10)의 개략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공작기계(10)는 공구장착부(52)를 일단에 설치한 주축(26)을 회전자재로 지지하는 주축헤드(18)를, 프레임(16)에 대해 왕복 승강가능하게 지지하여 피가공물에 소요의 가공을 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상기 공구장착부(52)에는 공구(20)를 붙이고 떼기자재로 협지하는 공구협지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개의 공구를 잡는 기구(96)를 방사형상으로 배치한 공구매거진(22)이 공구지지대(24)에 회전산출 자재로 추지되며, 이 공구지지대(24)는 상시 주축헤드(18)와는 독립해서 프레임(16)에 승강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것처럼 공구를 잡는 기구(96)에 힘을 가하여 주축(26)의 선단에 설치한 공구(20)를 잡거나 해방시키는 제1의 캠 및 크랭크기구(162),(28) 및 공구협지부재(66)를 작동시켜, 주축(26)으로부터의 공구(20)의 해방 및 뽑기를 하는 제2의 캠 및 크랭크기구(188),(30)가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주요한 구성에 대해 제2도~제7도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공작기계(10)에 있어서의 기대(12)에 직립 배치한 콜럼(14) 앞면에는 상자형 중공케이싱으로 이루어진 견고한 프레임(16)이 수평으로 배설 고정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16) 중에 주축헤드(18)(주축26을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있다)가 승강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즉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콜럼(14)의 앞면에 대향적으로 직립 배치한 한쌍의 장척기둥(長尺柱) 부재(32),(32)의 각 길이 방향 수직단면에 나사(34)를 통해 가이드레일(36)이 각기 수직으로 구착되며, 주축헤드(18)의 후부에 소정간격 이간시켜 상하 한쌍씩 배설한 좌우 한조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회전자(38),(38)를 상기 가이드레일(36),(36)에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밀착해서 끼워 맞춤으로서, 이 주축헤드(18)에는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안정된 승강이 확보되게끔 되어있다.
또, 상기 한쌍의 장척기둥부재(32).(32)의 정상부 사이에는 지지판(39)이 수평으로 교가(橋架)되어 보을트로 고정되며, 로우터리엔코어더(42)를 내장한 AC 서어보모우터(40)가 상기 지지판(39) 상에 직립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어보모우터(40)의 수직회전축(41)의 선단에는 커플링(43)을 통해 보올나사(44)가 고착되며, 이 보올나사(44)는 제4도에서 판명되는 것처럼,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36),(36) 중간에 있어서 수직아래쪽으로 연재(延在)하고 있다. 또한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축헤드(18)의 배면돌출부에는 보울트(48)를 통해 너트(46)가 수평으로 고정되며, 이 너트(46)에 상기 보올나사(44)가 삽통해서 나사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AC 서어보모우터(40)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보올나사(44)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너트(46)에 백러시가 없는 직선운동을 부여하고, 주축헤드(18)는 소정의 스트로우크만큼 수직방향으로 자재로 승강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즉, 상기 AC 서어보모우터(40), 보올나사(44) 및 이것에 나사맞춤한 너트(46)는 주축헤드(18)의 왕복구동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주축헤드(18)의 승강스트로우크는 나중에도 언급하지만 ①주축헤드(18)가 피가 공물을 향해 통상적으로 반복 승강하여 가송을 하는 가공동작영역 A과, ②이 영역보다 윗쪽 레벨 위치해서, 주축(26)에 대한 공구(20)의 일련의 붙이고 떼기 교환동작이 행해지는 자동교환영역 B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교환영역 B 안을 주축헤드(18)가 복동 상승하는 과정에 있어서, 일련의 공구교환동작을 시키기 위한 3개의 변절점이 나타난다(후술한). 참고로 제1도~제3도에 나타낸 주축헤드(18)는 피가공물에 대한 통상의 가공을 종료하여 가공동작영역 A의 상한(자동교환영역 B의 하한)에 까지 상승하여, 다음의 가공지령 또는 공구교환지령의 어느 하나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상기 주축헤드(18)의 하부에는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중공원통현상의 주축(26)이 베어링(50)에 삽통되어 회전자재로 축받이되며, 이 주축(26)은 그 하단부에 공구장착부(52)를 갖는 동시에 그 상단부에 있어서 상기 주축헤드(18)의 정상부에 직립 배치한 모우터(56) 및 감속기(58)의 출력축(60)에 커플링(54)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구장착부(52)는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테이퍼셩크로 이루어진 아아버(arbor)(62)를 구비한 공구(20)를 붙이고 떼기 자재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아아버(62)의 밀밀착삽통 용하는 재두원추상(栽頭円錐狀)의 구멍트인 곳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구(20)의 아아버 후단부에는 풀스태드(6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주축(26) 안에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삽통한 공구 협지부재(66)에 의해 상기 풀스태드(64)를 협지함으로써 공구(20)를 주축(26)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이 공구협지부재(66)는 상기 풀스태드(64)의 네크부를 복수의 보올(68)에 의해 둘러싸도록 구성한 공지의 콜리트(collet)로 이루어지며, 당해 공구협지부재(66)가 주축(26)의 중공부를 축선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임으로써 상기 풀스태드(64)의 클램프 및 해제를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축(26)의 중공부내에 있어서의 소정 높이위치에는 플럭(70)이 상하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삽입되는 동시에, 이 플럭(70)에 뚫어서 설치한 중공중에 드러우버(76)의 상단부가 삽통 고정되어 주축(20)의 중심 축선에 연해서 느러지고, 또 당해 드로우버(76)의 하단부는 상기 공구협지부재(66)의 정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주축(26)에 있어서의 플럭(70)의 배선위치에는 제2도에서 판명되는 것처럼 장원형의 슬롯(74),(74)이 대향적으로 뚫어서 설치되며, 상기 플럭(70)에 직교적으로 삽통한 핀(72)의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슬롯(74),(74)을 통해 주축(26)의 바깥쪽으로 수평으로 연출하고 있다(제4도 및 제10도 참조).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공구 장착부(52)에 공구(2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주축 중공부의 아래쪽에 형성된 단부와 상기 플럭(70)의 하단부에 설치한 워셔(80)와의 사이에 일군의 접시스프링(78)이 탄력적으로 압축 개삽(介揷)되며, 이 다수의 접시스프링(78)의 중심부를 드로우버(76)가 삽통 연재(延在)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시에는 이 접시스프링(78)의 탄력에 의해 플럭(70)을 윗쪽으로 눌러서 정위치에 유지하는 동시에, 공구협지부재(66)를 탄력적으로 끌어올려 풀스태드(64)의 협지를 확실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주축 바깥쪽으로 연재하고 있는 직교핀(72)의 윗쪽에는 제2도, 제4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후술하는 제2의 크랭크(30)의 선단에 두 갈래로 형성한 포오크부(81)가 비접촉으로 근접적으로 향하며, 당해 크랭크(30)의 동작에 의해 핀(72)을 눌러서 힘을 가하여 드로우버(76)를 하강 시키게끔 되어 있다. 즉 후술하는 제2의 캠 및 크랭크기구(188), (30)의 캠 작동에 의해 직교핀(72)을 아래쪽으로 눌러서 힘을 가하면 상기 드러우버(76)는 축선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공구협지부재(66)를 강하시켜 보울(68)에 위한 풀스태드(64)의 누름을 해제하며, 따라서 공구(20)는 공구장착부(52)에서 해방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도에 있어서 부호(83)은 공구(20)에 붙이고 떼기 자재로 부착되는 드릴이나 탭 등의 절삭공구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프레임(16) 상에는 공구지지대(24)가 상기 주축(26)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프레임(16)을 구성하는 대향하는 한상의 측변(16a),(16b)의 좌상단부에는 지지판(82),(82)이 수평으로 부착되며, 각 수평지지판(82)의 적소에 뚫어서 설치한 수직관통공에 환봉현상(丸棒形狀)의 가이드레일(84)(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구지지대24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이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삽통되어 있다. 또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프레임(16)의 아래쪽에서 각기 좌우 한쌍을 이루는 수평지지판(86)이 연통하고, 이 수평지지판(86)에 뚫어서 설치한 수직관통공에 상기 가이드레일(84)이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삽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84)(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2개 있음)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공구지지대(24)의 두부에 수평으로 교가(橋架)한 천판(88)에 설치한 지지판(91) 및 저부에 설치한 지지판(89)에 각기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구지지대(24)는 가이드레일(84)을 수평지지판(82),(86)에 대해 미끄러져 움직이게 함으로써 프레임(16)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제1의 캠 및 크랭크기구(162),(28)가 주축헤드(18)의 복동에 의해 캠 동작함으로써,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구지지대(24)의 두부에 설치한 상기 지지판(91)에는 스토퍼보울트(90)가 높이조절자재로 삽통해서 나사식으로 붙여지며, 이 보울트(90)의 하단부가 평상시에는 상기 수평지지판(82)의 평면에 휴식함으로써, 당해 공구지지대(24)를 프레임(16)에 대해 소정의 높이위치로 유지하게끔 되어 있다.
상기 공구지지대(24)에는 다수의 공구(20)를 방사형상으로 유지한 공구매거진(22)의 회전 산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공구지지대(24)에는 수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비스듬한 아래쪽으로 경사시킨 축선을 갖는 추측(92)이 돌출 고정되어 있고, 이 추측(92)에 공구 매거진(22)은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기본적으로 대경인 평기어(98)를 베이스로 한 원반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공구매거진(22)의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연출하는 복수개의 공구를 잡는 기구(96)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대경의 평기어(98)를 베어링(94)에 보울트(100)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공구지지대(24)에 배설 고정한 모우터(102)의 회전축(104)에 고착한 피니언(106)이 상기 평기어(98)와 맞물려서 공구매거진(22)을 회전시킴으로써, 소망의 공구(20)의 산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공구지지대(24)의 적절한 위치에는 상기 추축(92)과 그축선이 평행으로 되도록 설정한 중공원통부재(108)가 배설되며. 이 원통부재(108)안에 탄럭적으로 수납한 압축스프링(110)에 의해 보올(112)을 평기어(98)을 향새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평기어(98)의 평탄면에는 주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노치(114)가 오묵하게 만들어지며, 이 노치(114)에 상기 보올(112)을 탄력적으로 놀러 착좌(着座)시킴으로써, 상기 공구매거진(22)에 있어서의 소망 공구(20)의 회전 산출시에, 이 공구(20)는 정위치에서 클릭스톱되게끔 되는 것이다. 또한 제2도 및 제5도와같이 상기 추축(92)의 선단에는 이 추축의 중심축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재하는 브랜치부재(116)가 보울트(118)를 통해 조여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랜치부재(116)의 두갈래부 하면 사이에는 소정두께의 지지판(120)이 교가되며 이 지지판(120)의 상면 및 하면에 있어서 이 지지판의 두께 치수만큼 이간시켜 평행 배치한 한쌍의 부착판(122),(122)에 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한쌍의 광센서(124)가 그 광축을 일치시켜 대향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이 광센서(124)를 구성하는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94)에 배설 고정되어 공구매거진(2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슬릿원반(126)이 비접촉으로 개재하여 상기 광축을 차단 통과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이처럼 슬릿원반(126)이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사이를 통과하여 차광함으로써, 공구매거진(22)에 유지된 복수의 공구(20)중 어느 공구(20)가 현재 주축(26)에 유지되고 있는지를 적절한 전기회로에 의해 지시할 수 있다.
다음에 공구매거진(22)의 외주에 배설되어 있는 공구를 잡는 기구(96)에 대해 설명한다. 이 공구를 잡는 기구(96)는 제6도에 명확히 나타낸 것처럼 한쌍의 클릭부재(128),(128)와 이 클릭부재(128)를 개폐자재로 선회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휭거(130)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즉 제2도에 있어서, 공구매거진(22)의 기체를 이루는 평기어(98)의 주방향으로 소정의 중심각으로 북수의 휭거(130)가 보울트(132)에 의해 고정되어 반경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이 휭거(13)는 소요의 각도로 절곡 형성한 판상부재로 구성되며, 이 휭거(130) 상에 "L"자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또한 소정 간격만큼 이간 배치한 한쌍의 클릭부재(128),(128)(제6도)가 각기 그 절곡부에 있어서 원추형접합핀(134)에 위해 소요의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도록 추지되는 동시에, 양 부재간에 인장스프링(136)이 탄력적으로 장가(張架)되어 있다. 이 클릭부재(128)의 서로 대향하는 클릭부는 후술하는 벨크랭크기구에 의해 힘이 가해져서 개방 및 폐성운동을 하고, 공구(20)에 형성한 흠이 달린 플랜지(196)를 붙이고 떼기자재로 잡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한쌍의 클릭부재(128),(128)의 휭거(130)상에 위치하는 각 타단부는 축핀(138)에 의해 공통적으로 유착(遊着)되며, 이 축핀(138)은 휭거 뒷면에 있어서 약간 거리만큼 돌출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축핀(138)을 제6도에 있어서 화살표X방향으로 누르면, 각 클릭부재(128)는 원추형 접합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폐성하여 상기 공구(20)의 홈이 달린 플랜지(196)를 잡는다. 또 반대로 상기 축핀(138)을 화살표 Y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각각의 클릭부재(128)는 바깥쪽으로 회동하여, 공구(20)의 홈이 달린 플랜지(196)를 잡고 있었던 것을 해방하개 된다(제6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냄), 이처럼 공구매거진(22)의 외주에 있어서 복수개의 공구를 잡는 기구(96)의 각각을 지지하는 상기 휭거(130)의 절곡각도는 공구매거진(22)을 회전시켜 산출된 특정의 공구를 잡는 기구(52)의 아래쪽에 도래했을 때에 당해 공구(20)의 축선이 주축(26)의 중심 축선상에 위치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공구를 잡는 기구(96)의 개폐를 하는 힘을 가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공구지지대(24)에 설치한 지지판(89)(상기 가이드레일 84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음)의 하면부에 그 크레비스(140)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크레비스(140)에 소요 형상을 한 벨크랭크(142)가, 그 중앙부에 있어서 핀(144)을 통해 회동자재로 원추형접합으로 축받이 되어있다. 이 벨크랭크(142)의 하단부에는 브랜치부(146)가 형성되며, 공구매거진(22)이 회전 산출되어 상기 공구를 잡는 기구(96)가 주축(26)의 아래쪽에 도래한 위치에 있어서, 클릭부재(128),(128)를 개폐 구동하는 축핀(138)이 상기 브랜치부(146) 사이에 개재하는 위치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프레임(16)에 부착한 상하의 수평지지판(82),(86)에는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직판(148)이 배설 고정되어 있으며, 이 수직판(148) 앞면에 홈캠(152)(소정의 굴곡홈 150이 형성되어 있음)이 보울트(154)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벨크랭크(142)의 상단부에는 핀(156)를 통해 부착되어 있으며, 이핀(156)은 상기 홈캠(152)의 굴곡홈(150)에 준해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더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지지대(24)는 프레임(16)에 대해 소정의 스트로우크만큼 상승할 수 있게끔 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제1의 캠 및 크랭크기구(162),(28)에 의해 힘이 가해져서 공구지지대(24)가 상승을 개시하면, 이 공구지지대(42)에 축착(軸着)된 상기 벨크랭크(142)도 일체적으로 상승한다. 이 때문에 벨크랭크(142)의 상단부에 부착한 핀(156)은 프레임(16)측으로 고정한 상기 홈캠(152)의 굴곡홈(150)에 준해서 미끄러져 움직이며, 이것에 의해 캠동작이 주어져서 상기 벨크랭크(142)는 핀(14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장향으로 약간 회동하게 된다. 즉 벨크랭크(142)의 브랜치부(146)는 공구를 잡는 기구(96)의 축핀(138)을 제6도에 있어서 화살표 Y방향으로 구동하고, 한쌍의 클릭부재(128),(128)는 폐성되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또 반대로 벨크랭크(142)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브랜치부(146)는 공구를 잡는 기구(96)의 축핀(138)을 제6도에 있어서 화살표 y방향으로 구동하고, 한쌍의 클릭부재(128),(128)를 해방시키게 된다.
다음에 주축헤드(18)의 복동에 의거하여, 상기 공구지지대(24)를 상기 자동교환영역 B에 있어서, 프레임(16)에 대해 상승시키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댜. 제2도~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프레임 (16)의 서로 대향하는 직립측벽(16a),(16b)의 내면에는 가기, 제3도에 명확히 나타낸 것처럼 L자형상을 갖는 제1의 크랭크(28)가 축(158)을 통해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이 제1의 크랭크(28)는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각 측별의 안쪽에 있어서 대향 적으로 한쌍 평행하게 배설되는 것으로 하고, 각 클릭부재(128),(128)를 구성하는 한쪽의 짧은 아암부(167)의 끝부분에는 로울러(160)가 회전자재로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또 제3도에 명확히 나타낸 것처럼 주축헤드(18)의 측면에는 경사캠면(164)을 형성한 제1의 판캠(162)이 보울트(166)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의 판캠(16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축헤드(18)가 자동교환영역 B의 상한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크랭크(28)에 축받이한 상기 로울러(160)의 아래쪽에 소정거리 이간해서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의 크랭크(28)를 구성하는 다른쪽의 긴 아암부(168)에는 그 상단면에 접촉자(17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접촉자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공구지지대(24)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천판(88)에 고정시킨 지지판(91)에 비틀어 넣은 보울트(172)의 하단부와, 평상시에는 약간의 거리만 이간해서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것처럼 서어보모우터(40)를 회전시켜 주축헤드(18)를 상승시키면, 이 주축헤드(18)의 양 측면에 각기 부착한 상기 판캠(162)의 경사캠면(164)이 상기 제1의 크랭크(28)의 로울러(160)에 맞닿아, 이 크랭크(28)를 축(158)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문에 긴 아암부(168)의 접촉자(170)가 상기 보울트(172)의 하단부에 맞닿아, 소정의 스트로우크만큼 공구지지대(22)를 가이드레일(84)에 연해서 상승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제1의 크랭크(28)의 긴 아암부(168) 및 짧은 아암부(167)의 치수비율 및 양 암의 절곡각도는 주축헤드(18)의 상승거리와, 상기 제1의 캠 및 크랭크기구(162),(28)에 의행 상승되는 공구지지대(24)의 상승거리와 일치하며, 또한 그 상승속도가 동기하는 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 제1의 캠 및 크랭크기구(162),(28)에 의해 주축헤드(18)및 공구지지대(24)가 일체적으로 복동될때에 주측(26)의 공구 장착부(52)중에 설치한 공구협지부재(66)가 공구(20)를 해방하도록 작동하는 제2의 캠 및 크랭크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축헤드(18)의 내부에는 L자형상을 갖는 제2의 크랭크(30)가 축(176)을 통해 소정의 회동각도만큼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제2의 크랭크(30)를 구성하는 긴 아암부(178)의 선단에는 로울러(180)가 회전자재로 원추형 접합되어 있으며, 또 짧은 아암부(182)는 제4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그 선단이 브랜치부(184)로서 분기 형성되어 있다. 이 브랜치부(184)는 주축(26)을 바깥쪽에서 둘러싸는 동시에, 상기 드로우버(76)의 정상부에 설치한 플럭(70)에 삽통한 직교핀(72)의 약간 윗쪽에, 상시 비접촉으로 위치하여 공구해방지령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주축(26)은 가공 지령을 받아 모우터(56)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지만, 가동완료시에는 상기 보우터(56)의 회전축은 항상 정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되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주축(26)에서 직각으로 연출하고 있는 상기 핀(72)도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브랜치부(184)의 바로 밑의 정위치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제2의 크랭크(30)의 작동시에 있어서, 브랜치부(184)는 확실하게 핀(72)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주축헤드(18)에 축받이한 제2의 크랭크(30)가 상기 자동교환 영역중을 주축헤드(18)의 상승에 수반해서 상승이동하는 경로중에, 소요의 경사를 붙인 캠면(186)을 갖는 제2의 판캠(188)이 배설되며, 상기 제2의 크랭크(30)와 맞닿아 소정의 캠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2의 판캠(188)은 제2도 및 제4도에서 판명할 수 있듯이. 기둥부재(32)의 정상부에 부착한 상기 로우터리엔코오더(42)의 수직 케이싱면에 보울트(90)을 통해 고정되며, 그 경사캠면(186)을 수직 아래족으로 지향시키고 있다. 그리고, 주축헤드(18)를 상승시키면, 제2의 크랭크(30)에 있어서의 긴 아암부(178)의 선단에 축받이 한 로울러(180)가 상기 판캠(188)의 경사캠면(186)에 올라타는 결과로소, 당해 제2의 크랭크(30)는 축(176)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중심각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짧은 아암부(182)의 선단에 설치한 브랜치부(184)가 상기 직교핀(72)에 접촉하며, 이 핀(72)을 눌러서 드로우버(76)를 소정거리만큼 끌러 내림으로써 공구협지부재(66)도 하강하며, 이것에 설치한 보올(68)이 상기 풀스태드(64)로부터 해제되어 공구장착부(52)에 있어서의 공구(20)의 협지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크랭크(30)의 긴 아암부(178)에는 판스프링(192)이 부착되며, 이 판스프링(192)의 해방끝부분은 주축헤드(18)의 정상부에 설치한 수평지지판(194)의 직립단면에 상시 접촉하여 이 크랭크(30)에 시계방향으로의 북귀력을 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크랭크(28) 및 이와 맞닿아서 캠작용을 부여하는 제1의 판캠(162)과의 동작타이밍은 상기 제2의 크랭크(30) 및 이와 맞닿아서 캠작용을 부여하는 제2의 판캠(188)과의 동작 타이밍보다도 항상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관계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나중에 동작의 설명에서 기술하는 것처럼, 제2도에 나타낸 기본위치(자동교환영역 B의 상한위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주축헤드(18)가 20미리 상승하는 동안에 제1의 크랭크(30)가 제1의 판캠(162)과 접촉해서 캠작동을 하여 공구지지대(24)를 20mm 들어올리고, 다시 주축헤드(18)가 30mm 상승하는 과정으로 이행함으로써 제2의 크랭크(30)가 제2의 판캠(188)과 맞닿아 캠작동을 하며, 상기 드로우버(76) 밀어내려 공구(20)의 풀스태드(64)에 대한 공구협지부재(66)의 협지를 해제하는 시켄스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공구매거진(22)에 부착한 공구를 잡는 기구(9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6도에 나타낸 공구를 잡는 기구(96)보다도 간단한 구성이며 또한 공구를 붙이고 떼는 조작도 용이해지는 것이다.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공구매거진(22)의 원주방향에 소정 중심각으로 반경방향에 연출하도록 복수기 배설된 상기 휭거(130)에는 공구(20)의 대경 플랜지부(196)의 삽통을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한 환상구멍트인곳(198)(이것은 일부 잘라 내어져 있음)을 형성한 잡는 부재(200)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구매거진(22)의 회전산출에 의해 선택된 특정의 공구를 잡는 기구(96)가 주축헤드(18)의 아래쪽에 도래했을 때에, 상기 환상구멍트인 곳(198)의 중심부가 주축(26)의 중심축선과 정렬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잡는 부재(200)의 환상기부에는 예를 들어 단부착관통공(202)이 120°의 중심각으로3개 수평으로 뚫어서 설치되며(제9도 참조), 이 단부 착관통공(202) 중에 산단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봉형상돌기(204)가 삽입되어 상기 반구형상 선단부를 환상구멍트인곳(198)에서 안쪽으로 도출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02) 중에서 압축스프링(206)이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나사(208)를 회동시킴으로써 더욱 이 압축스프링(206)이 스프링압의 조절을 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또한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공구(20)의 대경 플랜지부(196)에는 산형상(山形狀)홈(210)이 주설(周設)되어 있고, 공구(20)를 상기 잡는 부재(200)의 환상구멍트인 곳(198)중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봉형상돌기(204)의 구형상(球形狀) 선단부가 상기 산형상홈(210)과 압력적으로 끼워 맞추어서, 이 공구(20)를 잡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축헤드(18)를 정위치에 도래시키면 주축선단에 장착한 공구(20)는 상술한 기구에 의해 공구를 잡는 기구(96)에 잡히며, 이 상태에 있어서 주축헤드(18)만을 정위치보다 하강(절삭가공을 할 경우)시키거나, 상승(공구교환을 할 경우)시키거나 하면 상기 플랜지부(196)의 산형상홈(210)은 이것에 끼워 맞추어져 있던 봉형상돌기(204)의 선단부에서 이탈하여 잡는 것을 해제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처럼 구성한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는 주축헤드(18)가 통상의 절삭가공을 종료하여, 상기 가공동작영역 A에 있어서의 상한의 정위치에까지 복동해서 정지되며, 또한 주축(26)이 소정위치(핀(72)이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2의 크랭크(30)의 짧은 아암부(182)와 직교하는 위치)에 정지된 다음, 다음의 지령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다음의 지령이 계속해서 절삭가공을 해야 한다는 취지의 지령이면, 주축헤드(18)는 가공동작영역 A을 왕동하여 피가공물에의 가공을 하고, 또 공구를 교환해야 한다는 취지의 지령이면, 당해 주축헤드(18)는 후술하는 것처럼 자동교환영역 B을 향해 다시 복동 상승하는 것이다. 또 제2도에서는 공구를 잡는 기구(96)는 그 축핀(138)을 상기 벨크랭크(142)의 브랜치부(146)에 의해 Y방향(제6도)으로 눌려서 유지되고 있는 결과로서, 클릭부재(128),(128)는 개방하여 공구(20)를 잡는 것을 해제 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서는 상기 클릭부재(128),(128)에 의해 잡혀지는 공구(20)의 플랜지부(196)에 형성한 산형상홈(210)은 이 클릭부재(128)보다 거리α만큼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있어서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양 클릭부재(128),(128)가 폐성해도 공구(20)를 정위치에서 잡을 수는 없다. 그러나 주축헤드(18)의 상승에 의해 제2도에서 제7(a)도에 나타낸 위치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1의 판캠(162)은 제1의 크랭크(28)에 설치한 로울러(160)에 당접하는 동안까지의 거리 α만큼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상술한 산형상홈(210)이 이 클릭부재(128)보다 거리 α만큼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문제점은 흡수 보상된다.
제2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공구교환지령이 나오면 상기 AC서어보모우터(40)가 구동되어 보올나사(44)가 회전하고 너트(46)을 통하여 주축헤드(18)를 자동교환영역 B을 향해 수직으로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주축헤드(18)는 제7(a)도 및 제7(b)도에 나타낸 제1단계의 복동에 들어간다. 즉, 제7(a)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측헤드(18)는 거리 α만큼은 단독으로 상승하며(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공구플랜지부의 산형상홈(210)이 클릭부재(128)보다 거리 α만큼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제1의 판캠(162)이 제1의 크랭크(28)의 로울러(160)에 맞닿아, 이 크랭크(28)를 축(158)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크랭크(28)의 긴 아암부(168)에 설치한 접촉자(170)가 공구지지대(24)의 지지판(91)에 설치한 보울트(172)의 한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AC서어보모우터(40)는 극히 저속으로 회전 구동되어, 접촉자(170)와 보울트(172) 사이에 생기는 당접음이 적어지도록 제어되며, 그 후는 소정의 속도로 구동된다.
이어서 제7(b)도에 나타낸 것처럼 주축헤드(18)는 예를 들어 20미리 상승한다. 이 상승과정에 있어서 제1의 크랭크(28)는 제1의 판캠(162)과의 캠작동에 의해 다시 회동하며, 가이드레일(84)을 통해 프레임(16)에 대해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재로 지지한 공구지지대(24)를 주축헤드(18)와 일체적으로 20미리 상승시킨다. 이 공구지지대(24)의 상승에 의해, 이 공구지지대(24)에 축착된 상기 벨크랭크(142)도 일체적으로 상승하며, 그 상단부에 부착한 핀(156)은 프레임(16)측에 고정시킨 상기 홈캠(152)의 굴곡홈(150)에 준해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이것에 의해 상기 벨크랭크(142)에 캠동작이 주어지며, 핀(14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킨다. 즉, 벨크랭크(142)의 브랜치부(146)는 공구를 잡는 기구(96)의 축핀(138)을 제6도에 있어서 화살표 X방향으로 구동하고, 한쌍의 클릭부재(128),(128)를 폐성(閉成)시켜, 공구의 플랜지부(196)에 있어서 이것을 확실하게 잡는다.
또한 주축헤드(18)는 계속해서 제7(c)도에 나타낸 제2단계의 복동에 들어간다. 이때 제1의 크랭크(28)의 로울러(160)는 제1의 판캠(162)의 경사캠면(164)과 맞닿아 전동하고 있는 도중에 있으므로 공구지지대(24)는 주축헤드(18)와 일체적으로 예를 들어 30미리 상승한다. 또 주축헤드(18)의 제2단계의 복동에 의해, 제2의 크랭크(30)의 긴 이암부(178)에 설치한 로울러(180)가 윗쪽 정위치에 있는 제2의 판캠(188)에 맞닿아 이 크랭크(30)를 축(176)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것에 위해 짧은 아암부(182)의 선단에 설치한 브랜치부(184)가 상기 직교핀(72)에 접촉하여, 이 핀(72)을 아래쪽으로 눌러서 드로우버(6)를 소정거리만큼 끌어내려 공구협지부재를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 보올(68)이 공구(20)의 풀스태드(64)에서 해제되며, 주축(26) 선단의 공구장착부(52)에 있어서의 공구(20)의 협지도 해제된다. 이때 공구(20)가 공구매거진(22)에 설치한 공구를 잡는 기구(96)에 의해 이미 잡혀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따라서 공구(20)가 자중(自重)으로 아래쪽으로 탈락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프레임(16)축에 고정시킨 홈캠(152)에 대해서는 공구지지대(24)에 부착한 벨크랭크(142)는 상승하지만, 핀(144)은 굴곡홈(150)의 경사홈을 이미 통과해서 주축(26)의 축선과 평행인 홈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벨크랭크(142)는 이 에어리어에서는 캠작동하지 않는다.
이어서 주축헤드(18)는 제7(d)도에 나타낸 것처럼 제3단계의 복동에 들어가, 예를 들어 70미리 상승한다. 이때 제1의 크랭크(28)의 로울러(160)는 제1의 판캠(162)의 평탄면에 올라 타 있으므로 캠 작동을 하지 않으며, 따라서 공구지지대(24)는 상승하지 않고 주축헤드(18)만이 단독으로 상승한다. 또 제2의 크랭크(30)의 로울어(180)도 제2의 판캠(188)의 평탄면에 올라타 캠동작은 하지 않고, 상기 드로우버(76)도 아래쪽으로 눌린 상태를 유지하며, 풀스태드(64)는 여전히 협지가 해제된 그대로이다. 더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20)는 공구를 잡는 기구 (96)에 의해 이미 정위치로 잡혀 있으므로,주축헤드(18)의 단독상승에 의해 공구(20)의 아아버(62)가 주축(26) 선단의 공구장착부(52)에서 빠져 나온다.그리고, 주축헤드(18)는 공구를 잡는 기구(96)에 의해 잡혀 있는 공구(20)의 풀스태드(64) 정상부보다 윗쪽에 위치해서 정지한다.
이어서 공구매거진(22)에 있어서의 모우터(102)가 구동되어 공구(20)의 회전산출을 하고, 앞서의 공구장착부(52)에서 빠져 나온 공구(20)를 운반해 가는 동시에, 새로 선택된 소망의 공구(20)를 공구장착부(52)의 아래쪽에 도래시켜 축선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정지시킨다. 그 다음에 제7(a)도~제7(d)도에 나타낸 상기 동작의 반대 동작을 행함으로써, 공구의 자동교환이 달성된다. 즉, 주축헤드(18)가 70미리 하강하여 공구장착부(52)에 공구(20)의 아아버(62)가 장착되며, 다시 30미리 하강함으로써, 드로우버(76)에 대한 제2의 크랭크(30)에 의한 누르기가 해제되어, 일군의 접시스프링(78)의 탄력 작용하에 공구 협지부재(66)가 공구(20)의 풀스태드(64)를 협지한다. 계속해서 주축헤드(18) 및 공구지지대(24)가 20미리 하강함으로써, 벨크랭크(142)가 역작동하여 공구를 잡는 기구(96)의 축핀(138)을 제6도에 있어서 Y방향으로 누르며, 클릭부재(128)(128)를 개방해서 공구(20)를 잡았던 것을 해제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본원 고안에 의한 공자기계에서는 공구 매거진을 회전자재로 추지하는 공구지지대를, 주축헤드로부터 독립해서 공작기계 본체의 프레임에 주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끔 부착하고, 상기 가공동작영역에 있어서 피가공물의 가공을 하기 위해 주축 헤드가 하강할 때에, 공구매거진은 프레임상의 정위치에 지지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매거진에 장착한 공구가 상기 피가공물과 간섭하는 일이 없다. 더구나 상기 자동교환영역에 있어서 주축헤드를 승강 동작시키는 것만으로 확실하게 공구의 자동교환을 달성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는 등 많은 유익한 효과를 거두는 것이다.

Claims (1)

  1. 일단(一湍)에 공구 장착부(52)를 갖는 주축(26)을 회전자재로 지지하는 주축헤드(18)를 프레임 (16)에 대해 상기 주축(26)의 축선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ㅇ여 피가공물에 가공을 행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6)상에 회전 산출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에 배설한 복수개의 공구를 잡는 기구(06) 중에서 회전 산출된 1개의공구를 잡는기구(96)에 잡힌 공구(20)에 축선이 상기 주축(26)의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정 된 공구매거진 (22)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를 잡는 기구(96)는 한싸의 클릭부재(128),(128)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공구(20)를 잡는 파지 위치와 공구(20)를 해방하는데 해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상기 공구매거진(22)상에 지지되고, 피가공물의 가공시에는 공구를 잡는 기구(96)가 해방위치에 이동되어 각 클릭부재(128),(128)사이를 상기 주축헤드(18)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공작기계.
KR2019850009990U 1985-08-02 1985-08-02 공작기계 KR890000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990U KR890000200Y1 (ko) 1985-08-02 1985-08-02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9990U KR890000200Y1 (ko) 1985-08-02 1985-08-02 공작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41U KR870003641U (ko) 1987-03-28
KR890000200Y1 true KR890000200Y1 (ko) 1989-03-08

Family

ID=1924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9990U KR890000200Y1 (ko) 1985-08-02 1985-08-02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2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41U (ko) 198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55338A (ja) 工作機械
US6007464A (en) Tool-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achine tool
US3973863A (en) Drill changing device
KR970008474B1 (ko) 공작기계의 자동공구교환장치
JP4731653B2 (ja) 工作機械
KR100226169B1 (ko) 전자부품 표면실장장치
US4873756A (en) Machine tool
KR100217948B1 (ko) 머시닝 센터의 공구교환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장치
EP0262368B1 (en) Tool change apparatus for machining center and the like
JPH0460774B2 (ko)
EP1315596B1 (en) Tool changer for removal and installation of tools in a machining centre
US4813122A (en) Machine tool
JPS6384839A (ja) 工作主軸の角位置を決める機構
KR890000200Y1 (ko) 공작기계
KR20050014682A (ko) 고정식 전극칩 제거장치
JPH0663833A (ja) 自動工具交換装置
KR920003659Y1 (ko) 공작기계
EP0462081B1 (en) An automatic machine for force-fitting drilled, shaped elements onto a shaft
JPS5839622B2 (ja) マシニングセンタ
JPH042756Y2 (ko)
JPH1158167A (ja) 工具交換装置及び工具交換方法
EP0258992A2 (en) Automatic tool changer
JPS61274833A (ja) 自動工具交換装置
GB2214845A (en) Machine tool with indexable tool magazine
JPH0386408A (ja) 工作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