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014B1 -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014B1
KR890000014B1 KR1019810003250A KR810003250A KR890000014B1 KR 890000014 B1 KR890000014 B1 KR 890000014B1 KR 1019810003250 A KR1019810003250 A KR 1019810003250A KR 810003250 A KR810003250 A KR 810003250A KR 890000014 B1 KR890000014 B1 KR 89000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film
film
window
planar
planar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994A (ko
Inventor
타다시 신구우
라다카즈 쓰라다
토시오 니시하라
노부오 스즈끼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기가이샤
도구마쓰 도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기가이샤, 도구마쓰 도모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014B1/ko
Publication of KR83000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구조의 1예의 일부단면도.
제2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구조의 별도예의 일부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대해 사용되는 전장부재의 1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복층창문 유니트의 1예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유리판 12 : 필름
13 : 시일부재 14 : 스패이셔
15 : 전장부재 16 : 면
17 : 필름지지체 18 : 고정구
20 : 접착부위 21 : 시일드
22 : 멈춤쇠부 23 : 요부
24 : 나사 25 : 나사
26 : 나사 30 : 퍼티
31 : 창문틀 33 : 고정수단
34 : 외틀 35 : 고정수단
36 : 필름슬립스트퍼 37 : 필름고정수단
본 발명은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장의 면상체 사이에 전장(展張)시킨, 즉 길게늘린 가요성필름을 가지는 복층구조물을 구비한 창문용 복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밀폐된 따뜻한 공간이나 냉공간을 주위환경으로부터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을 주위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는 면상에 존재하는 창문을 2중, 또는 3중의 다중창으로 했었다. 이러한 다중창의 요청은 에너지 절약이 크게 주목되고 있는 요즈음, 자연환경의 혹독한 지역에 있어서는 물론, 자연환경이 비교적 온난한 지역이나, 또는 여러가지 산업 내지는 공업분야에 있어서의 인위적인 영향이 큰 환경에 있어서도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종래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다중창의 구조의 대부분은 유리판을 복수때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으로, 이러한 다중창은 밀폐된 공간을 주위환경으로부터 유지하는 데에는 충분히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중창에 사용하는 소재를 유리판으로 한정한다면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판의 매수를 증가해야 하고, 따라서 다중창의 중량증가에 따라 다중창을 지지하는 창문틀의 보강이나 창문틀의 두께의 증가가 필요해지는 등, 비용면에서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유리만을 사용한 다중창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중창의 적어도 한쪽의 창판의 소재를 플라스틱으로 한 구조(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2-86253호 공보 참조) 또는 다중창의 한쪽의 창판을 필름으로 대치한 구조(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2-9963호 공보참조)가 제안되고 있다.
이들의 창문구조는 유리판을 창판으로한 다중창의 중량증가에 기인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만, 단순히 창판의 소재변환에 지나지 않고, 창관의 소재변환에 의하여 유리판을 창판으로한 다중창보다도 단열성이 증가되는 것도 아니다. 또, 2장의 유리판 사이에 유리판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플라스틱 시이트가 배설된 구조의 방음창도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소 53-97534호 공보참조). 또, 2장의 유리판 사이에 유리판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권취식의 차광막을 설치한 단열창도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소 55-62136흐 공보).
그러나, 종래 2장의 유리판 사이에 유리판으로부터 간격을 유지하여 가요성의 필름을 설치하고, 또 이 가요성 필름을 유리판으로부터 거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하여 전장(展張)시킨, 즉 길게 늘린 다중창은 가요성필름의 적당한 전장수단의 개발이 곤란한 문제 등이 있어 아직 제안이 안되고 있다. 가요성필름의 전장은 창문을 통해서 가장자리라 변형되지 않고 올바르게 보여야하기 때문에 전장시에 있어서 필름전체가 부분적인 이완이나 구김살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또 전장후에 시간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한 열 변형에 대응하여 상기와 같은 부분적인 이완이나 구김살 등은 해소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미 소개한 일본국 특개소 52-99635호 공보는 상기와 같이 2장의 유리판의 사이에 가요성필름을 배치한 구조와는 다른구조의 다중창에 관한 것이나, 거기에는 가요성필름을 전장하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즉, 그 전장수단은 필름의 지지체로서 미리 변형시켜 장착한 탄성체이다.
그러나, 이 일본국 특개소 52-99635호 공보에 개시된 전장수단은 탄성체의 복원력을 필름면상에 발생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전장수단은 전장후에 시간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온도차에 기인하는 열변형을 충분히 흡수시켜 열변형에 기인하는 이완이나 구김살 등의 발생을 해소하는 데에는 불충분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전장후에 시간경과에 따라 발생한 필름의 이완이나 구김살 등은 종종 다중창의 구조로서 중대한 결함이 있고, 특히 2장의 유리판 사이의 개폐가 곤란한 하나의 유니트로서 제조된 다중창에 있어서는 치명적인 결함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상체의 2장 사이에 이 2장의 면상체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가요성 필름을 전장시 및 전장후에 있어서 이완이나 구김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장시켜서 된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면상체의 2장의 사이에, 이 2장의 면상체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가요성필름을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전장시켜서 된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구조물을 포함하는 창문용 복층체 및 다중창용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잇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잇점은 본 발명의 가장 넓은 측면에서 보면, 복수매의 면상체, 이 면상체의 2장의 사이에 각각의 면상체로 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가요성 필름, 및 이 가요성피름에,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룰 가지는 방향의 힘을 부여하여 가요성 필름을 전장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장부재로 구성되고, 또 이 가요성 필름은 면상체의 창문으로서의 영역에 걸쳐서 최소한 신장되어 있고, 이 가요성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필름면측에 존재하는 면상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는 가요성필름에, 필름면에 대해 각도를 가지는 방향의 힘을 부여하여 가요성필름을 진장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장부재를 가진다.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의 힘을 부여한다는 것은 필름에 외부로부터 작용시키는 힘의 방향이 필름면상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그와 같은 힘은 필름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의 힘의 백터성분을 지니고 있다. 이와같은 힘을 부여하여 필름을 전장하면, 힘의 방향이 필름면상에 존재하는 힘을 가했을 경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른 필름의 이완이나 구김살의 발생이 저지된다. 또, 전장시에 있어서, 이완이나 구김살 등이 발생하지 않고 필름을 전장시키는 것도 극히 쉽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상체란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길고, 그들 방향의 길이에 비교해서 두께가 엷고, 그러나 4주위를 고정했을때 쉽게 파괴 또는 변형이 안되고, 예를들면 판상체 등을 말한다. 그 소재는 무기성이나 유기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유리, 아크릴수지, 염화비닐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면상체의 소재로서 적합한 것이다. 유리판은 화학적 내구성 또는 물리적 내구성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우수하고, 따라서 그와같은 성능이 요구될때에는 극히 적합하게 쓰여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면상체는, 통상 0.1mm 내지 20mm, 바람직하기로는 0.5mm 내지 10mm,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약 1 내지 약 10mm,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약 2 내지 약 6mm의 두께이다.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구조물에 있어서 가요성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필름측에 존재하는 면상체는 가요성필름의 존재의 확인이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면상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는 것은, 면상체가 이 면상체를 통하여 이 면상체의 배면에 존재하는 가요성필름을 육안으로 적어도 투시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투명성을 지니고 있음을 말한다.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구조물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면상체가 상기와 같이 사용됨으로써 2장의 면상체 사이에 존재하는 가요성 필름의 이완이나 구김살 등이 없음을 창문용 복층체구조물의 최소한 한쪽으로부터 확인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요성필름이란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신장되고 그 방향의 길이에 비교해서 두께가 매우 작고, 지지가 완되거나 또는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그 2차원적인 상태가 3차원적인 형상, 예를들면 굽은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A와 같은 비스페놀류를 디올성분으로 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 ε-카프로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와 같은, 폴리아미드와 같은 중합체를 그 소재의 정부, 또는 기본으로 하여 적합하게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중합체를 그 소재의 전부로서 구성되는 가요성필름은 1축(軸) 연신 또는 2축 연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페프날레이트의 2축연신필름은 강도가 강하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의 필름은 폴리올레핀의 열선에 대하여 독특한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필름으로서 열선을 반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2장의 면상체와 그 사이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1장의 가요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에 의하여 유리 4장으로 구성되는 4중창과 동등한 정도의 열선차단 능력을 나타내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열선반사기능이 있는 가요성필름로서는 상기와 같은 소재로 구성되는 가요성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금속단체(單體), 금속합금 및 금속산화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종류, 또는 이러한 종류와 고굴절률유전체(誘電體)와의 결합의 박층을 형성한 필름이 특히 유리하게 사용된다.
금속단체라 예를들면 금, 은, 동, 알루미늄 등이고, 금속합금이란 예를들면 금-은 합금, 은-동합금, 금-동 합금, 백금-은 합금, 백금-은-동 합금, 금-은-동합금 등이다.
금속산화물이란, 예를들면 3산화 인듐(In2O3), 2산화주석(SnO2), 카드뮴 틴 옥사이드(Cd2SnO4) 등이다.
고굴절률 유전체는 통상 1.4 이상, 바람직하기는 1.6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8 이상의 굴절률을 지니는 유기 또는 무기의 소재에서 선택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폴리메타아크릴로니트릴 산화티탄, 산화비스무드, 황화아연, 산화주석, 산화인듐 등이다.
가요성 필름에 금속산화물의 박층을 형성한 것, 또는 가요성필름에 금속의 박층과 고굴절유전체의 박층을 형성한 것은 열선반사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그와같은 박층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명성이 양호하다. 박층의 두께는 금속산화물에 있어서는 약 2000 내지 약 400Å이 적당하고, 금속단체에 있어서는 약 50 내지 약 600Å, 특히 약 75 내지 약 200Å이 좋고, 또 고 굴절률 유전체에 있어서는 약 50 내지 약 600Å 특히 약 100Å 내지 약 400Å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특히 폴리프로필렌을 소재로 하는 필름의 한쪽면에 상기와 같은 열선반사 기능을 가지는 박층을 형성한 가요성 필름은 이들의 소재가 열선 즉, 적외선의 흡수기능이 작기 때문에, 그들의 소재로 구성되는 필름층을 통과한 열선이 필름층에서 흡수되지 않고 박층면에서 반사되는 정도가 극히 크다. 이와같은 소재의 필름의 한쪽면에 열선반사 기능을 가지는 박층을 형성한 이러한 가요성필름은 필름(소재의 여하를 막론하고)의 양면에 박층을 형성한 가요성 필름과 거의 동등한 열선반사 기능을 나타낸다. 필름의 한쪽면상에 박층을 형성시키는 편이 필름의 양면에 박층을 형성하는 것보다 형성조건에 있어서 또는 제조한 가요성 필름의 성능에 있어서 우수한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가요성 필름위에의 이러한 박층의 형성은, 예를들면 진공증착법 또는 스패터링법에 의해서 행해진다. 그밖에 가요성 필름의 표면을 조면화(粗面化)한 것, 또는 가요성 필름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박층을 설치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필름은 중금속 산화물의 박층을 형성한 상기와 같은 필름보다는 열선 반사기능에 있어서는 열등하나 빛의 통과를 차단하는 능력에 있어서는 우수하다.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는 상기와 같은 면상체의 복수매와 이 복수매의 면상체의 2장의 면상체의 사이에 이 2장의 면상체로 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시킨, 상기와 같은 가요성 필름을 지니고 있다. 가요성 필름은 면상체의 면이 통상, 거의 평행이 되도록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면상체의 2장의 면상체의 모든 사이에 존재해도 되고, 또 그와같은 사이의 일부에 존재해도 된다. 예를들면, 3장의 면상체를 가지는 경우에는 3장의 면상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2개의 사이에 양쪽에 가요성 필름이 존재해도 되고, 또 그중 1개의 사이에만 가요성 필름이 존재해도 된다.
가요성 필름은 이 면상체의 창문으로서의 영역에 걸쳐서 최소한 신전(伸殿)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가요성필름을 존재시키는 목적은, 본래 면상체의 창문을 구성하는 영역, 즉 창문을 형성하는 면적부분을 통해서의 단열효과릍 기대하고 있는 데에 있다.
또, 가요성필름의 적어도 한쪽 필름면측에 존재하는 면상체는 적어도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야 한다. 이것은 가요성 필름의 한쪽면측에 존재하는 면상체가 1장일때는 물론, 2장 이상의 복수장일때에도 그들 복수장의 면상체의 전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는 것을 뜻하고 있다. 가요성 필름의 양쪽의 필름면측에 존재하는 면상체가 모두 불투명일때에는, 필름면의 어느 면측에 존재하는 면상체를 통해서도 가요성필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고, 그러므로 가요성필름을 전장하는 뜻이 상실된다. 가요성 필름의 한쪽면측에 존재하는 면상체의 전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이면, 이 가요성필름의 다른쪽 면측에 존재하는 면상체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는 이 가요성필름을 전장하기 위하여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장부재를 지니고 있다. 이 전장부재는 가요성필름에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의 힘을 부여하여 가요성필름을 전장시킨다.
전장부재는 그 자체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고, 그러므로 그 소재의 탄성에 따라서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도 되고, 또 그 자체로는 실질적으로 탄성이 없는 소재의 것이나 그 형상에 따라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도 좋다.
그와같은 소재 및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형상구조는 그 자체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또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할 것이다. 전장부재는 가요성필름의 일차적인 고정면(즉 전장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가요성필름을 고정했을 경우에 이 가요성필름이 위치할 필름면)의 전부, 또는 1부를 필름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변위식킨다. 가요성필름은 전장부재에 의하여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의 힘(압력 또는 인력)을 받아 필름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와 같은 변위를 하고, 그 결과 이완이나 구김살 등이 없이 전장된다. 그러므로, 전장부재에 의하여 전장된 가요성필름은 가요성필름의 일차적인 고정면의 외부에 전장부재와 가요성필름간의 접촉 개소가 존재한다.
전장부재는 가요성필름의 4주연부에 거의 균등하게 힘이 가해지도록, 가요성필름의 상기 4주연부에 배치된다. 예를들면 가요성필름의 4주 연부 전체에 전장부재를 배치하여도 좋고, 가요성필름의 대향하는 2변에만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 각각 전장부재는 필름의 1변의 길이에 걸쳐서 신전(伸殿)되어도 되고, 또 필름의 1변의 길이에 걸쳐서 곳곳이 절단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가요성필름의 4모서리에만 배치할 수도 있다.
가요성필름은 본 발명의 창문용복층체의 구조에 있어서, 면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 위치를 점유하여 고정된다. 그와같은 고정은 예를들면 2장의 면상체를 그 전 주연부에 있어서 봉함하는 시일부재에 대해서 실시해도 된다. 시일부재와는 별도로 설치된 2장의 면상체 사이의 공간의 간격을 규정하기 위한 스패이서에 대하여 실시해도 되고, 또 시일부재 또는 스패이서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필름지지체에 대하여 실시해도 된다. 즉, 이와같이 가요성필름을 고정하는 시일부재, 스패이서 또는 필름지지체도 또 면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 위치를 점유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장부재는 면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가요성필름에 상기와 같은 힘을 부여하여 가요성필름을 전장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전장부재는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하여 면상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 위치를 점유하도록 고정된 가요성 필름을 그 일차적 고정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복층체 구조내에 장치되어 있다. 예를들면 고정된 시일부재, 스패이서 또는 필름지지체, 또는 면상체 또는 가요성필름에 대하여 고정해서 복층체 구조의 내부에 설치할 수가 있다. 전장부재가 시일부재, 스패이서, 필름지지체 또는 면상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장부재는 가요성필름과 활성(滑性)을 가지는 접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전장부재가 가요성 필름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전장부재가 면상체와 활성을 가지는 접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 제1도 내지 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 구조에 대하여 동일한 기능을 표시하는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표기하였다.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 구조는, 2장의 면상체 예를들면 유리단(11), (11')가 스패이서(14), (14')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고, 시일부재(13)에 의하여 그 전주연부가 봉해져 있다. 가요성필름(12)은 스패이서(14) 및/또는 (14')에 면(16) 및/또는 (16')이 예를들면 접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스패이서(14), (14')는 시일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가요성 필름(12)는 면상체(114), (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일정한 위치를 점유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a"는 가요성필름(12)의 일차적인 고정면 즉 전장부재(1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가요성필름의 고정면이다. 전장부재(15)는 스패이서(14') 및/또는 면상체(11')에 예를들면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고, 가요성필름(12)를 도면에 있어서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밀어올리도록 가요성필름에 힘을 부여하며, 이 가요성필름을 일차적 고정면(a)으로부터 도시된(12)의 필름면까지 변위시켜서 전장시키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 구조는, 2장의 면상체(11), (11')가 스패이서(14), (14')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되고, 시일부재(13)에 의하여 그 주연부가 봉해지고 있다. 스패이서는 도시되어 있는바 같이 두개의 부분(14), (14')로 되어 있고, 그리고 부분(14) 및 (14')의 사이에는 전장부재(15)가 끼어져 있든가 또는 부분(14')에 대하여 예를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가요성 필름(12)는 필름지지체(17)에 접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스패이서의 부분(14)와 전장부재(15)와의 사이로 가요성필름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필름지지지체(17)는 스패이서의 부분(14)내에 결합되어 있다. 스패이서는 면상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변형이 적은 재질 및 형상을 갖추고 있을 필요가 있다. 필름지징체의 재질 및 형상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제2도에 있어서, 2개의 부분(14), (14')로 구성되는 스패이서는 그 외측이 고정구(18)에 의하여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제3도에는, 전장부재(15)로서 스프링형상의 형태에 의하여 탄성을 발휘하는 것을 사용한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형상의 탄성체는 가요성 필름과의 접촉부분이 필름에 흠을 주지않기 위하여 캡 등으로 피복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19" 및 "19'"는 각기 면상체(11)과 스패이서의 부분(14)와의 접착부위 및 면상체(11')와 스패이서의 부분(14')와의 접착부위를 표시하고 있으며, "20"은 가요성필름(12)와 필름지지체(17)간의 접착부위를 표시하고 있다.
제4도에는, 스패이서의 부분(14)가 내부에 공간이 있는 구조를 가지고, 그 공간에 전장부재(15)가 끼어져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본 발명의 창문용복층체의 구조에서는, 스패이서와 별개의 필름 지지체는 사용되고 있지 않고, 가요성 필름(12)는 스패이서의 부주(14)에 접착부위(20)를 거쳐 직접 고정되어 있다.
제5도에는, 스패이서의 부분(14), (14')가 그 가운데에 대행하는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한쪽의 부분(14')의 공간에 전장부재(l7)이 꺼어져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전장부재(17)는 탄성소재 예를들면 고무로 만들어진 속이 빈 통상체이다. 전장부재(17)는 스패이서(14), (14')의 시일드부분(21), (21')에 의하여 그의 외면전체 거의가 밀봉되어 있다. 밀봉된 전장부재는 예를들면 태양광선으로부터 차단되어 광열화(光劣化)에 의한 탄성의 상실로부터 보호된다. 가요성필름(12)은 제4도의 경우와 같이 스패이서의 한쪽부분(14)에 접착부위(20)를 거쳐 고정되어 있고, 전장부재(15)에 의하여 도면의 아래쪽으로 부터 위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전장되어 있다.
제6도에는, 제5도에서와 같이, 전장부재(15)가 시일드부분(21), (21')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전장부재(15)는 비교적 연질의 탄성소재로 만들어진 환봉형태의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스패이서이부분(14), (14')는 각각 면상체(11), (11')에 대향하는측에 요부(凹部)(23), (23')를 가지고 있고, 이 요부에는 고정구(18)의 멈춤쇠부(22), (22')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구에 의하여, 스패이서의 부분(14), (14')는 보다 확고히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제7도에는, 2장의 탄성체의 사이에 2장의 가요성 필름이 존재하는 본 발명의 창문용복층체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2장의 가요성 필름은 면상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져 있고, 또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져 있다.
전장부재(17)는, 스패이서의 부분(14)에 접착부위(20)를 거쳐 접착고정된 가요성필름(11)과 스패이서의 부분(14')에 접착부위(20')를 거쳐 접착고정된 가요성필름(11')과의 사이에, 시일드(21), (21')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고, 스패이서의 부분(14), (14')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내에 위치하고 있다. 전장부재(17)는, 한쪽의 가요성필름(12)에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힘을 부여하고, 다른쪽의 가요성필름(12')는 도면에 있어서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힘을 부여하고, 그리하여 양쪽의 가요성필름(12), (12')를 전장시키고 있다.
제8도에는 제7도와 같이 2장의 면상체의 사이에 2장의 가요성필름이 존재하는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14), (14') 및 (14")로 표시되는 3개의 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들 3개의 부분은 고정구(18)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스패이서의 부분(14), (14')는 각각 시일드 부분(21), (21')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공간에는 각각 전장부개(17),(17')를 포함하고 있다. 가요성필름(12), (12')는 각각 스패이서의 부분(14)와 (14")와의 사이 및 스패이서의 부분(14')와 (14")와의 사이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혹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어도 어느 한쪽의 부분에 화학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가요성필름(12)는 전장부재(17)에 의하여 도면에서의 윗쪽으로부터 아랫쪽으로 힘을 부여받고 있고, 한편 가요성필름(12')는 전장부재(17')에 의하여 도면에 있어서의 아랫쪽으로부터 윗쪽으로 힘을 부여받고 있다.
제9도에는, 스패이서(14), (14')가 나사(24), (25)에 의하여 일체로 확고히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의 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나사(25)는 스패이서의 부분(14')를 관통하여 스패이서의 부분(14)에 이르고, 나사(24)는 스패이서의 부분(14)를 거쳐서 나사(25)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제10도에 있어서, 스패이서의 부분(14), (14')는 나사(2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나사(24), (25) 및 (26)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부호 "18"로 나타내는 고정구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제11도에는 전장부재가 스패이서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스패이서의 부분(14')는 본 발명의 구조에 결합되기 전에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스패이서로서의 기능부분(141),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142) 및 발휘한 힘을 가요성필름에 전달하는 부분(143)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부분(14')는 그 자체 탄성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소재 예를들면 열가소성수지, 열경화성수지 혹은 금속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부분(14')는 제11도에 나타낸 구조로 조립된 때,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142)가 탄성변형하고, 발휘한 힘을 부분(143)을 거쳐 가요성필름(12)에 전달하여 가요성필름을 전장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면상체, 가요성필름 및 전장부재로 되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창문용 복층체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구창문용 복층체는, 복수매의 면상체, 그 면상체의 2장의 사이에 각각의 면상체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1장 혹은 복수매의 가요성필름, 그 가요성필름을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전장시키도록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장부재, 서로 마주대하는 면상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스패이서 및 상기 복수개의 면상체로 형셩되는 공간을 면상체의 전 주연부에서 밀봉시키는 시일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는, 상기와 같이 전 주연부가 시일부재에 의하여 밀봉되어 있다.
서로 마주대하는 2장의 면상체와 그 사이에 있는 가요성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은 연통되어 있어도 혹은 연통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전장부재는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의 힘을 필름에 부여하는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그 자세가 비교적 큰 힘을 필름에 부여하는 전장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한 공간이 연통되어 있지 않은 구조에 있어서 가요성필름의 어느면측에, 외적요인 예를들면 온도의 상승에 기인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하면 외적요인에 기인하는 그러한 힘에 대향해서 가요성필름을 본래대로 전장을 계속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서로 마주대하는 2장의 면상체와 그 사이에 있는 가요성필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 연통되고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공간의 온도상승에 의한 압력의 증가는 다른쪽 공간의 압력과 평균화되기 때문에, 외적요인에 기인하는 힘은 가요성필름의 양면에 균등하게 작용한다. 공간간의 연통은, 가장 간편하게는 가요성필름에 구멍을 뚤음(육안으로 찾아보기 어려운 구석에)으로써 행할 수가 있다. 물론, 기타 스패이서 등에 두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을 설치해도 좋다.
시일부재에 의하여 봉해지 공간에는, 공기 대신에 예를들면, 아르곤, SF2, 이산화탄소, 질소와 같은 불활성가스를 봉입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불활성가스의 봉입은 복층창문의 단열성을 한층 향상시킨다.
시일부재의 소재로서는, 복층유리창에 대하여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를들면 폴리설파이드계, 실리콘계 혹은 부틸고무계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체는 상기한 공간내에,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를들면 실리카겔, 올레큘러 시이브와 같은 건조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면상체를 창문틀에 지지시키고, 가요성필름을 창문틀 또는 면상체에 고정한 다층창문 유니트가 동일하게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다층창문 유니트는, 지지된 복수매의 면상체, 그 면상체의 2장의 사이에 각각의 면상체로 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가요성필름, 및 그 가요성필름을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전장시키도록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장부재로 구성된다.
다층창문 유니트는, 건물에 장착하면 그대로 창문이되는 구조로 조립되는 창문틀을 갖는 것이다.
제13도에는, 본 발명의 다층창문 유니트의 1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3도에 있어서, 창문틀(31), (31')에는, 각각 면상체 예를들면 투명한 유리판(11), (11')가 퍼티(putty)(30)에 의하여 끼여져 있다. 창문틀(31), (31')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층창문 유니트는 회전수단(32)에 의하여 개폐가능하지만, 통상은 창문틀 고정수단(3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다층창유니트 고정수단(35)에 의하여 외틀(34)에 대하여 고징된다.
면상체(11), (11')의 사이의 간격은 스패이서(14)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창문틀(31)은, 필름슬립스트퍼(36)을 거쳐 필름고정수단(37)에 의하여 고정된 가요성필름(12)는, 창문틀(31')위에 예를들면 접착에 의하여 고정된 전장부재(15)에 의하여, 도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힘이 부여되어, 전장되어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다층창문 유니트는 이른바 링크트 윈도우 타입(linked window type)의 것이며, 필요에 따라 한쪽의 창문틀의 개폐가 가능한 것이나, 본 발명의 다층창문 유니트가 이러한 타입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창문용 복층체구조(창문용 복층체, 다층창문 유니트를 포함한다)는, 극히 뛰어난 단열효과를 가지고 있고, 또한 장기간 사용하여도 가요성필름이 느슨해지거나 혹은 주름이 잡히거나 하는 일이 없다.
예를들면, 가요성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면에 열선방사성 박층을 실치한 필름을 사용하여, 이 필름 1장을 2장의 유리판 사이에 배치시킨 본 발명의 창문용복층체구조는 약 1.5 이하 특히 뛰어난 것에 있어서는 약 1.2 이상의 열전달 계수(단위 : Kcal/m2·hr·deg)를 나타낸다. 통상의 유리창문 및 2중유리창문의 열전달계수는 각각 약 5.4 및 약 3.0 이므로, 본 발명의 구조가 극히 뛰어난 단열성을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창문용복층체의 구조는, 예를들면 일반주택, 빌딩, 선박, 항공기 등의 창문에, 혹은 냉동쇼케이스, 쇼윈도우, 태양열온수기, 발열체의 투시창 등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복수매의 면상체, 그 면상체의 2장 사이에 각기 면상체로 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가요성필름, 및 그 가요성 필름에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의 힘을 부여하여 가요성 필름을 전장시키도록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장부재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가요성 필름은 면상체의 창문으로서의 영역에 걸쳐서 적어도 신장되어 있고, 가요성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필름면측에 존재하는 면상체는 투명 혹은 반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전장부재가 가요성 필름과 활성을 가지는 접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전장부재가 가요성필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요성필름의 일차적 고정면의 외부에, 전장부재가 가요성필름에 힘을 부여하는 접촉개소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5.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전장부재가 그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6.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전장부재가 그 자체는 실질적으로 탄성을 갖지않는 소재로 되고 그러나 그 형상에 의하여 탄성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투명 혹은 반투명의 면상체가 유기성 또는 무기성의 소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필름이 열선 반사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가요성필름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2장의 면상체와 그 사이에 있는 가요성필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연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면상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그 면상체의 전주연부에서 밀봉시키는 시일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시일부재가 가요성필름을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 대하는 면상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스패이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스패이서가 가요성필름을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필름을 고정시키기 위한 필름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16. 제1항에 있어서, 전장부재가 스패이서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충체구조물.
  17. 제13항 또는 16항에 있어서, 필름지지체가 스패이서에 결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구조물.
  18. 복수매의 면상체, 그 면상체의 2장 사이에 각각의 면상체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1장 이상의 가요성필름, 그 가요성 필름을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전장시키도록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장부재, 서로 마주대하는 면상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복수매의 면상체로 형성되는 공간을 면상체의 전주연부에서 일봉하는 시일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대하는 면상체 사이에 형성되고 시일부재로 봉지된 공간이 불활성가스로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복층체.
  20. 창문틀에 지지된 복수매의 면상체, 그 면상체의 2장 사이에 각각의 면상체로 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가요성필름, 및 그 가요성필름을 필름면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여 전장시키도록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장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창문유니트.
KR1019810003250A 1981-09-01 1981-09-01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KR89000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250A KR890000014B1 (ko) 1981-09-01 1981-09-01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250A KR890000014B1 (ko) 1981-09-01 1981-09-01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94A KR830007994A (ko) 1983-11-09
KR890000014B1 true KR890000014B1 (ko) 1989-03-02

Family

ID=1922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250A KR890000014B1 (ko) 1981-09-01 1981-09-01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0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994A (ko) 198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0611A (en) Structure of multilayered unit for windows
US5544465A (en) Thermally insulating multipane glazing struture
US5156894A (en) High performance, thermally insulating multipane glazing structure
DK0470373T3 (da) Termoglaselement
KR900700716A (ko) 곡면 삼중 창유리 글레이징
US11156030B2 (en) Door for a refrigerated cabinet
US20180328102A1 (en) Combination dynamic and switchable window glass units
US5394671A (en) Cardboard spacer/seal as thermal insulator
KR890000014B1 (ko) 창문용 복층체 구조물
EP0963171B1 (en) A window and glazing for a window
JPS5811285A (ja) 窓用複層体構造
JPS6234703B2 (ko)
JPS6234702B2 (ko)
BR112020010165A2 (pt) vidraça de aquecimento feita de material plástico estrutural
HU177449B (en) Light-passing device particularly opening closing one
JP2019095697A (ja) 調光ユニット、および、窓用調光板
JP2000280383A (ja) 複層透明板
JPS59223255A (ja)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JPS6158736A (ja)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KR20130005701U (ko) 창문용 단열 시트
JPH0625332U (ja) 複層ガラス
GB2349165A (en) Polarising panel
JPS61152448A (ja) 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50419A (ko) 단열 장치
JPS60207620A (ja) 赤外線遮光カ−テ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