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482Y1 -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482Y1
KR880004482Y1 KR2019850006256U KR850006256U KR880004482Y1 KR 880004482 Y1 KR880004482 Y1 KR 880004482Y1 KR 2019850006256 U KR2019850006256 U KR 2019850006256U KR 850006256 U KR850006256 U KR 850006256U KR 880004482 Y1 KR880004482 Y1 KR 880004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video camera
automatic gain
light quantit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5506U (ko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6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482Y1/ko
Publication of KR860015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5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482Y1/ko

Links

Landscapes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화면의 명암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량조절회로 2 : 자동조리개 조절회로
3 : 자동이득 조절회로 Q1∼Q4 : 트랜지스터
C1∼C3 : 콘덴서 D1 : 다이오드
CP : 비교기 SF : 광량조절 스위치
본 고안은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조리개 조절회로와 자동이득조절회로를 갖춘 비디오 카메라에서 화면이 점차 밝아지거나 희미해 지도록 조리개를 통해 입사되는 광량의 조절해 주도록 된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에는 광량조절회로가 구비되어 있어, 조리개를 통해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해 주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조리계조절회로와 자동이득조절회로를 제어해 줌으로써 화면이 점차 밝아지거나 희미해 지도록 할 수가 있으나, 통상 개인용으로 되어 있는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에는 광량조절회로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면을 점차 밝아지도록 하거나 희미해 지도록 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에다 입사되는 광을 조절해 주도록 된 광량조절회로를 설치해 줌으로써 화면의 명암을 조절해 주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조리개조절회로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화면이 점차 밝아지거나 희미해지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된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와 자동이득조절회로(3)를 갖춘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리개 조절회로(2)와 자동이득조절회로(3)에는 온/오프조작에 따라 광입력시간을 결정해 주는 광량조절수위치(SF)와 이 광량조절스위치(SF)의 온 조작시 발생되는 신호를 지연시켜 주는 시정수회로(R2, C1), 이 시정수회로(R2, C1)의 출력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트랜지스터(Q1), 이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에 따라 제어되면서 상기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와 자동이득조절회로(3)에 조리개 구동신호를 출력해 주는 트랜지스터(Q2, Q3, Q4)가 포함되어 구성된 광량조절회로(1)가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B+는 동작전원, IC는 조리개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제1도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제1도에슨 광량조절회로(1)에 대한 상세한 회로구성과 이 광량조절회로(1)가 접속되는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와 자동이득조절회로(3)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서의 회로도를 제2도에 도시된 화면의 명암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면저, 광량조절스위치(SF)를 누르지 않았을 경우에는 광량조절회로(1)에 있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로울레벨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므로 그 컬렉터전위는 하이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켤렉터에 접속 된 트랜지스터터(Q2)(Q3)(Q4)의 베이스에도 하이레벨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Q3)(Q4)가 턴오프되므로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와 자동이득조절회로(3)에서는 광량조절회로(1)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와 동일의 통상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다음의 (표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트(Q1)의 베이스는 로울레벨(L), 켈렉터는 하이레벨(H), 트랜지스터(Q2)(Q3)(Q4)의 베이스는 하이레벨(H), 켈렉트는 로우레벨(L)상태인 1상태가 되어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에서는 조리개제어신호(IC)에 의해 도시되지 않는 조리개를 구동제어해주게 되는 통상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표1]
각 상태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및 컬렉전위
이에 대해, 광량 조절스위치(SF)를 누르고 있을 때에는 동작전원(B+)이 저항(R2)을 매개해서 콘덴서(C1)에 인가되므로 콘덴서(C1)가 충전되게 되어 스위치 입력신호가 저항(R2)과 콘덴서(C1)에 의한 시정수동안 지연된 다음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로울레벨(L)에서 켈렉터는 하이레벨(H)로 되면서 그 컬렉터는 하이레벨(H)에서 로우레벨(L)로 되므로 트랜지스터(Q2)(Q3)(Q4)에 베이스에는 하이레벨(H)에서 로우레벨(L)로 되는 신호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2)(Q3)(Q4)의 컬렉터전위가 로우레벨(L)에서 하이레벨(H)로 되어 자동조리개조절회로(2) 미 자동이득조절회로(3)에 인가되는데, 이 경우 상기 자동조리개 조절회로(2)에 구성된 비교기(CP)의 양(+)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 음(-)의 단자로 인가되는 전압이 높게 되도록 설정해 주게 되면 비교기(CP)는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조리개구동모우터를 구동시켜서 조리개의 렌즈를 닫는 상태 즉 상기(표1)의 ②상태로 되어 입사되는 광량이 적어지게 되므로 화면이 점차 어두워진다.
이어, 광량조절스위치(SF)를 오프시키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위는 저항(R2)과 콘덴서(C1)의 시정수에 따라 서서히 하이레벨(H)에서 로우레벨(L)로 되므로 그 컬렉터전위는 로우레벨(L)에서 하이레벨(H)로 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2)(Q3)(Q4)에 베이스전위가 로우레벨(L)에서 하이레벨(H)로 되므로 컬렉터 전위는 하이레벨(H)에서 로우레벨(L)로 되어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에 있는 비교기(DP)의 양(+)의 단자로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 음(-)의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비교기(DP)는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조리개구등모우터를 구동시켜서 조리개의 렌즈를 개방시키는 상태 즉, 상기(표1)에 ③상태로 되므로 입사되는 광이 많아지게 되어 화면이 점차 밝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 즉, (표1)에 따른 각 상태가 제2도에서 광량조절스위치(SF)의 온/오프 시간에 따라 화면이점차 어두워지는 상태와 밝아지는 상태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동작을 하는 본 고안을 휴대용 비디오 카메라에 설치해 주게 되면, 자동조리개조절회로와 자동이득조절회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화면이 점차 밝아지거나 어두워지게 하는 기능을 손쉽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조리개구동모우터를 구동시키는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와 입력전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는 자동이득조절회로(3)를 구비하고 있는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와 자동이득조절회로(3)에는 온/오프 조작에 따라 광입력시간을 결정해주는 광량조절수위치(SF)와 이 광량조절스위치(SF)의 온 조작시 발생되는 신호를 지연시켜주는 시정수회로(R2, C1), 이 시정수회로(R2, C1)의 출력신호에 의해 온/오프제어되는 트랜지스터(Q1), 이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에 따라 제어되면서 상기 자동조리개조절회로(2)와 자동이득조절회로(3)에 조리개구동신호를 출력해 주는 트랜지스터(Q2, Q3, Q4)가 포함되어 구성된 광량조절회로(1)가 접속되어 화면의 명암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KR2019850006256U 1985-05-25 1985-05-25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KR880004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256U KR880004482Y1 (ko) 1985-05-25 1985-05-25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256U KR880004482Y1 (ko) 1985-05-25 1985-05-25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06U KR860015506U (ko) 1986-12-30
KR880004482Y1 true KR880004482Y1 (ko) 1988-12-20

Family

ID=1924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256U KR880004482Y1 (ko) 1985-05-25 1985-05-25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4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5506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4482Y1 (ko) 비디오 카메라의 광량조절회로
US4339696A (en) Light switch delay circuit
CA1237468A (en) Photographic lighting apparatus
KR940022174A (ko) 액정투사기의 화면크기 제어방법
US4193677A (en) Warning circuit in an auto-controlled flashlight photographing device
US4309092A (en) Automatic exposure control circuit for camera
US4460262A (en) Automatic exposure control circuit for TTL automatic electronic flash
KR920008254Y1 (ko) 비데오 카메라의 역광보정회로
KR20090063558A (ko) 인버터의 주파수 가변회로
US473766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reducing the settling time of logarithmic amplifiers
KR0110324Y1 (ko) 위상 제어 방식을 이용한 트라이악의 직접 구동 제어 회로
US4350426A (en) Time determination circuit for camera
KR910001574Y1 (ko) 비데오 카메라의 화면 명암 조절회로
KR890000780B1 (ko)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조리개 조절방법
KR200215133Y1 (ko) 백라이트용 인버터의 휘도 제어 회로
KR940006823Y1 (ko) 카메라 레코더의 자동램프 제어장치
JP3093324B2 (ja) スレーブフラッシュ
US5598210A (en) On chip driver for electric shuttering
JPS5949528B2 (ja) 測光回路
KR920008255Y1 (ko) 역광보정회로
KR200144243Y1 (ko) 인버터스텐드의 형광램프조도 자동제어장치
KR920004228Y1 (ko) 카메라의 역광 보정회로
KR910007198Y1 (ko) 브라운관의 밝기 조절회로
KR950008219Y1 (ko) 캠코더의 램프 제어회로
JPH03264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