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292Y1 - 졸음 경보기 - Google Patents

졸음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292Y1
KR880004292Y1 KR2019850008456U KR850008456U KR880004292Y1 KR 880004292 Y1 KR880004292 Y1 KR 880004292Y1 KR 2019850008456 U KR2019850008456 U KR 2019850008456U KR 850008456 U KR850008456 U KR 850008456U KR 880004292 Y1 KR880004292 Y1 KR 880004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head
drowsiness
mercury switch
alar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8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754U (ko
Inventor
류삼렬
Original Assignee
류삼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삼렬 filed Critical 류삼렬
Priority to KR2019850008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292Y1/ko
Publication of KR870002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2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졸음 경보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경사각 검출기의 사시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제2도의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
제4(a)도, 제4(b)도, 제4(c)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각 검출기 2,2' : 수은스위치
3 : 경보음 발생장치 4 : 스피커
20 : 헤드폰 30 : 이어폰
본 고안은 경보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야간에 앉아서 업무를 하는 사람이 졸고 있을때 소리로 정신을 일깨워 주기 위한 졸음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인간의 생활패턴이 다양화되어 낮에 일하고 밤에 쉬는 전통적인 생활 습관에도 불구하고 직업상 야간에 근무를 해야 하는 사람이나 시험준비를 하는 학생들은 밤에도 잠을 자지않고 정신을 집중해야 하는 고충이 뒤따르고 있다. 여기서, 인간의 정신력에도 한계가 있으며, 장시간 또는 장기간의 야간업무에는 필연적으로 누구나 졸음을 느끼게 된다. 특히, 야간에 경계근무를 하는 경비원이 앉아서 근무를 하게 될때나 입시 또는 고시 준비를 하는 학생이 앉아서 공부를 할때 졸음을 이기지 못해 자신도 모르게 앉은체로 수면상태에 빠지게 되고, 결국 누군가가 일깨워 주지 않는다면 계속 수면을 취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졸음 경보기가 제공된바 있는데, 이는 검출기 케이스내에 경보음 발생 장치와 연결된 수은 스위치를 설치한뒤, 상기 케이스를 걸고리 수단으로 귀에 걸어둔 상태로 설치하므로서, 졸음에 의해 머리가 앞으로 일정각도(약30°) 숙여졌을때 수은 스위치가 접속되면서 졸음 경보기를 작동시켜 졸음상태에 대한 경고를 행하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졸음 경보기는 머리가 전방으로 숙여졌을 경우에만 동작되므로, 조는 습관이나 방법상 머리가 뒤로 젖혀지거나 옆으로 기울게 되는 경우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람의 졸음 양태와 관계없이 머리가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게 되면 즉시 이를 감지하여 경보작용을 행하도록 하는 졸음 경보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검출기케이스 내에 경보음 발생장치와 병렬 연결된 1쌍의 수은 스위치를 접점부가 거꾸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일측 수은 스위치는 우측방과 내측면을 향해 일정각도 만큼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머리의 앞쪽과 좌측방으로의 기울음을 감지토록 하였고, 다른 일측의 수은 스위치는 좌측방과 외측면을 향해 기울도록 설치하여 머리가 뒷쪽과 우측방으로의 기울음을 감지토록 하므로서, 전방향의 감지 영역을 가지는 졸음 경보기를 제고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공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머리 부분의 경사각을 검출하는 경사각 검출기(1)는 2개의 수은 스위치(2)(2')를 포함하고, 이 수은스위치(2)(2')의 각 접점 단자는 병렬로 경보음 발생장치(3)에 연결된다.
경보음 발생장치(3)은 공지의 멜로디 IC가 내장된 챠임벨 또는 소형부저로 구성되며, 이 경보음 발생 장치(3)에는 직류전원 VD및 전원스위치 SW와 스피커(4)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회로에서 경보음 발생장치(3)의 전원 스위치 SW를 온 시킨다해도 상기 경사각 검출기(1)의 수은 스위치(2)(2')중의 어느 하나라도 경사가 져서 그 접점이 온(ON)되지 않는다면 상기 경보음 발생장치(3)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경사각 검출기(1)가 수평으로 머리 부분에 설치될때 앉아 있는채로 움직이게 되는 통상 10°경사각의 행동반경을 감안하여 경사각 검출기(1)내의 수은스위치(2)(2')가 전후좌우로 30°이상의 경사각도에 대해 각각 온(ON)될수 있게 상기 경사각 검출기(1) 내부에서 위치되어 진다면 졸리움에 의해 고개가 전후좌우로 숙여짐에 따라 경보음 발생장치(3)가 동작되어 경보음을 발할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은 스위치(2)(2')의 위치 설정은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은 스위치(2)는 스위치 접점부가 거꾸로 되어 우측면으로 약30°의 각도로 기울여져 있음과 동시에 또 다시 내측면을 향해 우측으로 30°의 경사를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있고, 또 하나의 수은 스위치(2')는 수은 스위치(2)와는 반대 방향으로 스위치 접점부가 좌측으로 거꾸로 되어 약30°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음과 동시에 외측면과도 30°의 경사를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5는 상기 수은스위치(2)(2')의 접점을 공통연결시켜 상기 경보음 발생장치(3)의 회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잭(Jack)을 나타낸다.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상기 경사각 검출기(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3(a)도, 제3(b)도는 제2도 사시도의 외측면 뚜껑을 제거하고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제3(c)도는 우측면 뚜껑을 제거하고 나타낸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제3도에서는 제2도의 사시도와 같이 경사각 검출기(1)가 수평상태에 있으므로 수은스위치(2)(2')는 모두 접점이 개방된 상태로 있다. 이때 경사각 검출기(1)가 머리에 부착된 상태로서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은 도면중 A방향이 되며, 30°이상 고개가 앞으로 숙여지면 수은 스위치(2)의 접점이 온 되어 경보음 발생장치(3)에서 경보음이 나오게 된다.
또한, 제3(a)도의 B방향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경사각 검출기(1)가 뒤로 기울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고개가 뒤로 넘어갈때 수은 스위치(2')의 접점이 온되어 경보장치가 동작하게 되며, 제3(b)도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역시 고개가 좌측으로 30°이상 기울어지면 수은 스위치(2)의 접점이 온 되어 경보장치가 동작되는 것이고, 반대로 고개가 우측으로 30°이상 기울게 되면 수은 스위치(2')의 접점이 온 되어 경보음 발생장치를 동작시키게 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택를 나타낸 것으로, 제4(a)도는 헤드폰의 일측부에 수평으로 경사각 검출기(1)를 부착하고, 수은스위치(2)(2')의 접점과 접속되게 한 플러그(21)의 연결선을 경보음 발생장치(3)의 회로와 연결시키고 헤드폰(20)의 플러그(22)를 상기 경보음 발생 장치(3)의 스피커 접속부에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헤드폰(20)을 머리에 쓰고 졸음이 올때 고개를 숙이게 되면 이 헤드폰(20)을 통해 경보음 발생장치(3)로 부터의 부저음이나 멜로디음을 듣게 되므로서 졸음이 오는 것을 자각하여 경각심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4(b)도는 이어폰(30)의 후면과 일체로 소형의 경사각 검출기(1)의 케이스를 형성하고, 이어폰의 플러그 선 및 검출기(1)의 수은 스위치와 접속된 플러그선(31) 및 (32)을 한묶음의 연결선으로 상기 경보음 발생장치의 회로에 접속시키게 한 것이고, 제4(c)도는 상기한 경사각 검출기(1)와 경보음 발생장치(3) 및 전원부를 일체로 소형 케이스(40)내에 수용시킨 것으로, 케이스 후면에 귀걸이(43)를 형성하여서 귀에 부착시킬수 있게 한 것이다.
제4(c)도에서 (41)은 박형의 멜로디 카드 소리 발생구이며, (42)는 전원스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졸음 경보기에 따르면, 경량 소형의 경사각 검출기를 헤드폰등에 부착시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이와 연결된 경보음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경보음을 혼자서 듣거나 스피커로 크게 증폭하여 들을수 있을뿐만 아니라 졸음의 초기 단계에서 자율적으로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불러 일으킬수 있는 실용상 큰 이점과 함께, 전후좌우 전방위로 졸음 검지 작용을 행하게 되므로서 기존의 1방향 검지 작용에 비하여 그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경보음 발생장치와 연결되는 수은 스위치가 내설된 졸음 경보기용 경사각 검출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검출기(1)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각기 경보음 발생장치와 병렬연결된 1쌍의 수은 스위치(2)(2')를 접점부가 거꾸로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일측 수은스위치(2)의 상단 접점부는 우측방과 내특면을 향해 25-35°의 기울기를 가지도록하여 머리의 앞쪽과 좌측방으로의 기울음을 감지토록 사각 설치되고, 다른 일측 수은 스위치(2')의 상단 접점부는 좌측방과 외측면을 향해 25-35°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머리의 뒷쪽과 우측방으로의 기울음을 감지토록 사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 경보기.
KR2019850008456U 1985-07-08 1985-07-08 졸음 경보기 KR880004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8456U KR880004292Y1 (ko) 1985-07-08 1985-07-08 졸음 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8456U KR880004292Y1 (ko) 1985-07-08 1985-07-08 졸음 경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54U KR870002754U (ko) 1987-03-18
KR880004292Y1 true KR880004292Y1 (ko) 1988-11-30

Family

ID=1924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8456U KR880004292Y1 (ko) 1985-07-08 1985-07-08 졸음 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2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54U (ko) 1987-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0756B2 (ja) タイマーアラーム装置および耳装着構造
US3906478A (en) Sleep preventing device
US6067020A (en) Apparatus for retarding drowsiness
US3208062A (en) Signal devices for alerting purposes
US4178589A (en) Thumb-sucking alarm system
KR880004292Y1 (ko) 졸음 경보기
JP6613501B1 (ja) 居眠り防止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カバー
CN214253393U (zh) 一种多功能老人救助紧急按钮
JPH09198586A (ja) いねむり警報器
KR200432265Y1 (ko) 귀걸이 졸음방지구
KR20080025602A (ko) 귀걸이 졸음방지구
JPH11169407A (ja) 車椅子用緊急警報器
JPS6347138Y2 (ko)
KR19980076676A (ko) 졸음방지기
JP3072936U (ja) いねむり防止警報器
JPS60139539A (ja) 居眼り防止装置
KR100423245B1 (ko) 환형 볼 센서를 이용한 졸음 방지 장치
CN208873124U (zh) 一种鼠标
KR900008249Y1 (ko) 베개를 겸용하는 음향기기
KR200257702Y1 (ko) 환형 볼 센서를 이용한 졸음 방지 장치
JPH07116257A (ja) 居眠り防止器
JPS59140133A (ja) 居眠り防止装置
KR100240436B1 (ko) 졸음 경보장치 및 목 보호대
TWM252092U (en) Napping reminder
JPH0548904U (ja) 姿勢保持の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