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248Y1 -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248Y1
KR880004248Y1 KR2019850016276U KR850016276U KR880004248Y1 KR 880004248 Y1 KR880004248 Y1 KR 880004248Y1 KR 2019850016276 U KR2019850016276 U KR 2019850016276U KR 850016276 U KR850016276 U KR 850016276U KR 880004248 Y1 KR880004248 Y1 KR 880004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support
welding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753U (ko
Inventor
김태균
권기찬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6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248Y1/ko
Publication of KR870009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7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종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누름판 작동 상태를 도시한 일부 종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장치중 소재를 고정하는 이동판의 단턱보다 두께가 두꺼운 소재를 고정하였을 때 고정력의 방향을 나타낸 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 장치를 소재 고정용 이동판의 일실시 예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받침대
4 : 사각봉 6 : 셋팅핀
7 : 축판 8, 8' : 이동판
9, 9' : 조절나사 10, 10' : 지지판
12, 12' : 지지대 13, 13' : 육각너트
14, 14' : 나사봉 15, 15' : 누름판
16, 16' : 압축스프링 17, 17' : 손잡이
본 고안은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에 소재를 고정하는데 있어서, 좌우 양측 소재의 용접부분을 일직선으로 정열시키기에 간편하고도 정확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양소재 간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고정 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을 이용한 용접에 있어서는, 좌우 양측의 소재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소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하여야하는 것이기에 반드시 지그에 소재고정 장치가 부설되어 있는 것이었으나, 통상의 고정장치는 양측 소재를 받침 대상에 조임구로 고정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조임구로 고정시키기 이전에 소재의 용접부위를 정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일직선 정열에 대한 정확성을 기하기가 매우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또한 정열된 상태의 양소재간에 미세한 틈새가 생기게 되므로서 용접후 안정된 조직을 얻기가 어려우며, 용접시 열에 의해 소재의 휨이 발생하여 용접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접시 중요한 요소가 되는 소재용접부위의 일직선 정열의 정확도 및 용접소재에 적당한 압력을 가해 양쪽소재의 틈새가 벌어지지 안혹 일직선으로 정열 할 수 있도록 수직과 수평의 가압을 받는 이동편으로 양 소재를 고정하도록 하여 양 소재의 맞닿는 부분이 일직선상으로 정열된 상태에서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용접시 발생열에 의해 소재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소재를 정열하기 위한 사각봉 및 이동판과 이동판을 조일 수 있는 조임나사와 누름판 및 누름판에 압압력을 가할 수 있는 압축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그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대(1) 상부에 받침판(2)이 고정되어 있고, 그 받침판(2) 중앙에 천공된 횡공(3) 양측 단부에는 사각봉(4)이 삽입될 수 있는 장홈(5)이 요설되있으며, 그 일측방에는 셋팅핀(6)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받침판(2) 전후방 양측으로 세워 설치된 측판(7) 외향으로는, 하면에 단턱(8a)(8'a)이 형성된 이동판(8)(8')을 밀어조일 수 있는 조임나사(9)(9')가 나사 결합되는 지지판(10)(10')이 각각 조립되어 있다.
측판(7) 상단 내측으로는 장공(11)(11')뚫린 지지대(12)(12')가 설치되 있으며, 장공(11)(11')을 관통하고 조절될 수 있는 육각너트(13)(13')가 중간에 체결되있는 나사봉(14)(14') 하단에는 누름판(15)(15')을 용접시키고, 그 누름판(15)(15')과 지지대(12)(12')간에 압축스프링(16)(16')을 탄성하며, 상기 나사봉(14)(14') 상단에는 손잡이(17)(17')가 나사 결합시켜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동판(8)(8')의 단턱(8a)(8'a)을 제5도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S)(S')는 상호 용접되는 좌, 우 양측의 소재를 도시한 것이며, (WT)는 용접토오치이며, 제5도의 부호는 이동판(8)(8')이 실질적으로 받는 압력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는 일측소재(S)를 정열 및 고정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소재(S)를 받침판(2) 위에 올려 놓은후, 사각봉(4)을 셋팅핀(6)에 밀착되도록 요삽홈(5)에 삽입한 다음, 이동판(8)을 소재(S) 위에 올려 놓는다.
이 상태에서의 누름판(15)은 제3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승되어 머물러 있는 상태에 있다.
즉, 제3도에서 가상선과 같이 손잡이(17)를 들어 올려 나사봉(14) 중간에 체결되 있는 육각너트(13)가 지지대(12) 상단으로 상승되도록 한 다음 화살표와 같이 일측으로 제끼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11)의 협소 공간에 육각너트(13)가 걸리게 되어 누름판(15)은 상승된채 정지돼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판(8)을 소재(S) 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지지판(10)에 나사 결합되있는 양측의 조임나사(9)를 회전시켜 이동판(8)을 밀게 되면 이동판(8)의 단턱(8a)에 소재(S)가 삽입되어 사각봉(4)에 밀착됨과 아울러 일축소재(S)는 정확하게 일직선으로 정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승되 있는 누름판(15)을 하강시키면 압축 스프링(1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15)은 이동판(8)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동판(8)과 이동판하부에 삽입되어 있는 소재(S)는 위치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소재(S)는 이동판(8)에 고정되 있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 사각봉(4)을 제거한 다음, 제2(b)도와 같이 타측소재(S')를 정열 고정한다.
즉, 사각봉(4)을 제거한 상태에서 타측소재(S')와 이동판(8')을 받침판(2) 위에 올려 놓은 다음, 조임나사(9')을 이용하여 이동판(8')을 밀게 됨에 따라 이동판(8') 단턱(8'a)에 삽입된 타측시편(S')은 내측으로 이동하여 일측소재(S)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일측소재(S)가 정열된 상태에서 타측소재(S')가 맞닿게 되므로 결국에는 양측소재(S)(S')는 정확히 일직선으로 정열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양측의 조임나사(9)(9')로 양측 소재(S)(S')를 일부 삽입하고 있는 이동판(8)(8')간의 틈새를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승되 있는 누름판(15')을 하강시켜 압축스프링(16')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15')이 이동판(8)(8')을 압압하게 하므로서 타측소재(s')를 고정시키면, 제5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소재(s)(s')를 고정시키는 이동판(8)(8')가 나사봉(14)(14')에 의하여 수직으로 눌림을 받으며 조임나사(9)(9')에 의하여 전진 수평방향으로 가압을 받게 되어 압력방향(P)이 내측 경사 방향이기 때문에 소재(S)(S')의 두께가 이동판(8)(8')의 단턱(8a)(8'a)보다 두껍다 하더라도 소재(S)(S') 고정력에 별 문제가 없는 것이며, 소재(S)(S')의 두께에 따라 그에 맞는 단턱(8a)(8'a) 으로된 이동판(8)(8')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턱(8a)(8'a)을 다단으로 형성시킨 이동판(8)(8')을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양측소재(S)(S')를 정확히 일직서능로 정열시킴과 아울러, 양소재(S)(S') 간의 틈세가 생기지 않도록 조임나사(9)(9')로 조여주고, 압축스프링(16)(16')을 이용하여 누름판(15)(15')이 이동판(8)(8')과 그 밑에 삽입된 양소재(S)(S')을 고정시키도록함과 동시에, 조임나사(9)(9')와 압축스프링(16)(16')이 가 하는 압력에 의해 이동판(8)(8')이 양소재(S)(S')를 잡아준 상태하에서 용접하게 되므로, 용접발생열에 의해 양소재(S)(S')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 할 수가 있으며, 용접이 완료된 후에는 제3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7)(17')를 들어 올려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장공(11)(11')의 협소공간에 육간너트(13)(13')가 걸리게 하면 누름판(15)(15')은 동시에 상승 정지하게 되고, 따라서 조임나사(9)(9')를 풀면 이동판(8)(8')이 해지된 상태가 되므로 이동판(8)(8')을 들어낸 후 용접된 소재(S)(S')를 손쉽게 제거 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기대(1) 받침판(2) 중간에, 삽탈가능한 사각봉(4)이 삽입되는 장홈(5) 일측방에 셋팅 핀(6)이 고정 설치되었고, 하면에 단턱(8a)(8'a)이 형성된 이동판(8)(8')을 밀어 조일 수 있는 조절나사(9)(9')를 나사 결합시킨 지지판(10)(10')을 각각 양측에 설치하고, 축판(7)에 고정된 지지대(12)(12')에 뚫린 장공(11)(11')을 관통하고 중간에 육간너트(13)(13')가 체결된 나사봉(14)(14')의 하단에 누름판(15)(15')을 용접하여 이 누름판(15)(15')과 지지대(12)(12') 사이에 압축스프링(16)(16')이 탄설하고, 상기 나사봉(14)(14') 상단에는 손잡이(17)(17')를 각각 나사결합시켜 구성하여서된 레이저 빔 용적용 시편 고정 장치.
KR2019850016276U 1985-12-06 1985-12-06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 장치 KR880004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276U KR880004248Y1 (ko) 1985-12-06 1985-12-06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6276U KR880004248Y1 (ko) 1985-12-06 1985-12-06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753U KR870009753U (ko) 1987-07-08
KR880004248Y1 true KR880004248Y1 (ko) 1988-11-30

Family

ID=1924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276U KR880004248Y1 (ko) 1985-12-06 1985-12-06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2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79B1 (ko) * 2011-12-19 2013-07-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시편 제작용 지그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16B1 (ko) * 1999-12-21 2005-11-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박판용접용 고정장치
KR20040020324A (ko) * 2002-08-30 2004-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박판접합용 고정장치
KR102359948B1 (ko) * 2017-11-30 2022-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레이저 용접 테스트용 시편 지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679B1 (ko) * 2011-12-19 2013-07-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시편 제작용 지그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753U (ko) 1987-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4094B2 (ko)
KR880004248Y1 (ko) 레이저 빔 용접용 지그의 소재 고정 장치
US3063707A (en) Machine shop vise
DE202006009437U1 (de) Modulares Spannbacken-System
US3020041A (en) Vise
ATE121639T1 (de) Backen für eine tourenskibindung.
WO1991004831A1 (en) Machine tool vise
US49475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pallets
GB2071534A (en) Clamp apparatus
US4845825A (en) Apparatus for repairing pallets
CN115609135A (zh) 一种测量搅拌摩擦焊接过程中焊件对搅拌针根部作用力的装置及方法
US2779364A (en) Veneer clamp
JPS58192728A (ja) ワ−ククランプ装置
CN219966897U (zh) 用于焊接工作台的压簧式夹持组件
GB2231833A (en) Work bench
US4231503A (en) Microtomy knife breaker
CN220145127U (zh) 一种焊接物料夹紧设备
CN219254842U (zh) 一种拖拉机箱体加工手动快速装夹装置
DE19846371C2 (de) Vorrichtung zum Spannen zweier prismatischer Teile gegen ihre Stirnflächen
JPH0744448Y2 (ja) バイス
KR890004912Y1 (ko) 철판 경사용접용 지지대
US5076554A (en) Article fixing device
JPH0214203Y2 (ko)
DE83757C (ko)
SU170346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ссовани древес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