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090Y1 - 테이프 카셋트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셋트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090Y1
KR880003090Y1 KR2019850010093U KR850010093U KR880003090Y1 KR 880003090 Y1 KR880003090 Y1 KR 880003090Y1 KR 2019850010093 U KR2019850010093 U KR 2019850010093U KR 850010093 U KR850010093 U KR 850010093U KR 880003090 Y1 KR880003090 Y1 KR 880003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se
tape cassette
projections
locking
cassett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347U (ko
Inventor
최원상
Original Assignee
최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상 filed Critical 최원상
Priority to KR2019850010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090Y1/ko
Publication of KR870004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0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G11B23/0236Containers for several cassett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셋트 수납 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종단면도.
제4(a)도, 제4(b)도,제4(c)도는 본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제4(b)도의 "가"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납케이스 (2) : 상면
(3) : 저면 (4)(4') : 안내돌조
(5)(5') : 안내홈 (6)(6') : 걸림돌기
(7)(7') : 경사면 (8)(8') : 굴곡부
(9)(9') : 걸림돌기홈 (10)(10') : 경사면
(11)(11') : 걸림턱 (12) : 수납함
본 고안은 테이프 카셋트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테이프 카셋트 수납케이스는 단순히 테이프 카셋트를 수납하는 것에만 그쳐 테이프 카셋트가 수납된 수납케이스를 별도의 보관함에 보관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여행등을 할 때에는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던바 이를 시정한 것은 테이프 카셋트 수납케이스 상면과 전면에 괘지돌조와 패지홈을 형성하여 수납케이스를 적응할 수 있게 하였으나 이것은 괘지돌조를 괘지홈에 끼우더라도 수납케이스를 들때 한쪽으로 기울거나 하게 되면 괘지돌조가 괘지홈에서 빠지게 되어 휴대시나 적층 보관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면과 저면의 안내돌조와 안내홈이 형성된 것에 경사면과 굴곡부가 형성된 걸림돌기와 경사면의 형성된 걸림돌기홈과 걸림턱을 형성하므로서 일단 수납케이스와 수납케이스가 결함이 되면 인위적으로 해체시키지 않는한 걸림돌기에 의해 쉽게 빠지지 않으므로 여행등을 할때 여러개를 휴대하거나 여러개의 결합 보관시 일측으로 기울거나 하여 결합된 수납케이스가 해체되어 흩어지는 것을 막기위해 일일이 신경을 써야 하는 불편을 제거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다같다.
수납케이스(1)의 상면(2)에는 안내돌조(4)(4')가 형성되고 저면(3)에 안내홈(5)(5')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면(2)의 안내돌조(4)(4')사이에 경사면(7)(7')과 굴곡부(8)(8')과 걸림돌기(6)(6')를 형성하고 저면(3)에 경사면(10)(10')이 형성된 걸림돌기홈(9)(9')과 걸림턱(11)(11')을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수납케이스(1)의 상면(2)에 형성된 안내돌조(4)(4')를 수납케이스(1') 저면(3)의 안내홈(5)(5')에 삽입하여 수납케이스(1')를 밀게되면 제4도에 표현된 바와 같은 위치까지 끼워지게 되는 이때 안내돌조(4)(4')사이에 돌설된 걸림돌기(6)(6')의 경사면(7)(7')이 걸림돌기홈(9)(9')의 경사면(10)(10')에 인접되게 되고 이때 상부의 수납케이스(1')를 더 밀게 되면 걸림돌기(6)(6')의 경사면 (7)(7')이 걸림돌기홈(9)(9')의 경사면(10)(10')과 밀착되며 걸림돌기(6)(6')가 걸림돌기홈(9)(9')의 경사면(10)(10')을 넘어 걸림턱(11)(11')에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걸림돌기(6)(6')가 걸림턱(11)(11')에 도달하게 되면 상, 하부의 수납케이스(1)(1')는 완전히 일체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제4(c)참조).
그런데 이렇게 걸림돌기(6)(6')가 걸림돌기홈(9)(9')을 넘을때 걸림돌기(6)(6')와 걸림돌기홈(9)(9')이 맞닿는 부분이 각각 경사면(7)(7')(10)(10')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넘게되고 일단 걸림돌기(6)(6')가 걸림돌기홈(9)(9')을 넘어서 걸림턱(11)(11')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돌기(6)(6')가 걸림턱(11)(11')가 걸리게되므로 상, 하부의 수납케이스(1)(1')의 결합을 완벽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결합된 수납케이스(1)(1')는 인위적으로 힘을 가하기 전에는 해체가 되지 않아 휴대나 보관시 해체되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결합된 수납케이스(1)(1')를 해체하고자 할때에는 인위적인 약간의 힘으로 상부의 수납케이스(1')를 후방으로 밀게된면 걸림돌기(6)(6')의 일측에는 굴록부(8)(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턱(11)(11')을 용이하게 벗어나게 되어 걸림돌기홈(9)(9')에 삽입되게 되고 이때 후방으로 더 밀게되면 상부의 수납케이스(1')는 하부의 수납케이스(1)와 해체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별도의 수납케이스(1)(1') 보관함을 사용치 않고도 다수의 수납케이스(1)(1')를 결합하여 보관하거나 휴대하므로서 수납케이스(1)(1')의 보관과 휴대를 편리하게 하며 결함된 수납케이스(1)(1')가 일편으로 기울거나 쓰러질 경우 해체되는것을 방지하여 완전히 결합된 상태로 휴대나 보관을 하므로서 분실 되는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보관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수납케이스(1)(1')의 상면(2)과 저면(3)에 각각 안내돌조(4)(4')와 안내홈(5)(5')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면(2)의 안내돌조(4)(4')사이에 경사면(7)(7')과 굴곡부(8)(8')가 형성된 걸림돌기(6)(6')를 돌설하고 저면(3)에 경사면(10)(10')가 형성된 걸림돌기홈(9)(9')과 걸림턱(11)(11')을 형성시켜서된 테이프카셋트 수납케이스.
KR2019850010093U 1985-08-06 1985-08-06 테이프 카셋트 수납 케이스 KR880003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093U KR880003090Y1 (ko) 1985-08-06 1985-08-06 테이프 카셋트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093U KR880003090Y1 (ko) 1985-08-06 1985-08-06 테이프 카셋트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347U KR870004347U (ko) 1987-07-31
KR880003090Y1 true KR880003090Y1 (ko) 1988-08-31

Family

ID=1924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093U KR880003090Y1 (ko) 1985-08-06 1985-08-06 테이프 카셋트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0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347U (ko) 198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20012A (ja) 替刃式理容用レザ−の替刃収納容器
US4658967A (en) Extendible rack assembly
KR880003090Y1 (ko) 테이프 카셋트 수납 케이스
US4831729A (en) Razor set
US6109707A (en) Storage case for recording media
US4507818A (en) Collapsible hairbrush
JPH0414356Y2 (ko)
JPS6140415B2 (ko)
JPS638349Y2 (ko)
JP2583176Y2 (ja) コンパクト容器
KR940008577Y1 (ko) 콤팩트 디스크 보관케이스
JPS638347Y2 (ko)
KR900007935Y1 (ko) 다목적 화장품 케이스
GB2214804A (en) Multi-purpose comb structure
JPS5943013Y2 (ja) 電気かみそり用充電スタンド
JPS621995Y2 (ko)
KR200168002Y1 (ko) 다단 조립식 씨디 케이스
KR820002460Y1 (ko) 휴대용 면도기 겸용 치솔
JPS6118804Y2 (ko)
JPS631923Y2 (ko)
KR200278645Y1 (ko) 시디보관케이스
KR840002887Y1 (ko) 카세트 케이스
KR840002656Y1 (ko) 휴대용 머리빗
KR920004004Y1 (ko) 서류보관 케이스
KR200224843Y1 (ko) 화장용품류 케이스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